• Title/Summary/Keyword: 해양 GIS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Visualization Method for the Ocean Forecast Data using WMS System (WMS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예측모델 데이터의 가시화 기법)

  • Kwon, Taejung;Lee, Jaeryoung;Park, Jaepy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6
    • /
    • pp.11-19
    • /
    • 2018
  • Recently, many companies offer various web-based map that is based o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Google Map, Open street, Bing Map, Naver Map, Daum Map, Vwolrd Map, etc are the few examples of such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visualize ocean forecasting model data considering the flow diagram of tidal current, streamline expression algorithm, and user convenience by using vector field data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served.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 the flow diagram of tidal current, and stream line expression algorithm is fas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ocean prediction model data by more than 2 times.

해상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지도를 활용한 황산화물 배출규제 효과 분석

  • ;;;AKHAHENDA WHITNEY KHAYENZEL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7-139
    • /
    • 2023
  • MARPOL (Maritime Pollution Treaty) 부속서 (Annex VI) 경우 대기오염 규제 내용이며, 최근 선박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 목적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충족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Sulfur Dioxide (SOx, 황산화물) 경우 2020년 기준 전 세계 해역 내 운항하는 선박은 황 함유량 0.5% 기준의 배출 요구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배출규제 해역 지정 시 해당 해역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계산 산정 기준 확립이 필요함에 따라 대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물 배출량 산출 방법론으로써 그리드 셀 내 선박 점유시간을 계산한다. 점유시간이 길수록 선박 통항 및 배기가스 배출이 밀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밀집도 분석에 더불어 선박의 특성이 반영된 시간당 배출량을 적용하여 배출 공간 인벤토리를 구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공간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기존 국내 황산화물 배출규제 해역의 효과 평가에 더불어 외항 범위까지 규제 확대 시나리오확립 후 비교 평가를 통하여 배출량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IS-based EEZ Marine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GIS를 이용한 배타적 경제수역 해양자원정보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Kye-Hyun;Kim, Sun-Yong;Park, Eun-Ji;Yoo, Hai-S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2
    • /
    • pp.55-66
    • /
    • 2007
  •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marine mineral resources as the land energy resources has been depleting from worldwide energy crisis. Also, all the coast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getting into the high competition as EEZ implemented to widen each country's marine autonomy. Especially, the adoption of EEZ in UN's marine regulation agreement at the January of 1996 has aggravated conflicts among coastal countries and eventually resulted in critical agenda to determine the boundaries of EEZ among such countries. It is imperative for us to have negoti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determine the boundaries of EEZ. For the preparation of such negotiation, it is essential to have data such as mineral distribution, deep-sea geology, related agreement and marine laws, etc. Therefore, this study mainly concentrates on analyzing existing data of resources exploration and establishing standards for each type of data and manipulating data based on such standards, thereby building a database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EEZ data from marine resources survey. MRIS has also been developed to diversely analyze and visualize graphic and attribute data considering data usage and inter-relationship in the database. This system can provide various spatial analysis and spatial searching techniques to enable easier comparison of cost-benefit analysis and data provision of any area in EEZ thereby facilitating major policy making. In addition, the system can support sustainable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of EEZ regions and data supply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national marine resources. Furthermore, this will be very useful for negotiat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determine EEZ boundaries to lead more favorable results.

  • PDF

Surface sediment migration modelling construction using ArcGIS spatial analysis; Jungangcheontoe Sand Bar in Macrotidal Channel of outer Asan Bay, KOREA (ArcGIS 공간분석을 접목한 천해 퇴적물 이동 모델링 구축; 황해 아산만 중앙 천퇴 연구)

  • Park,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7-278
    • /
    • 2010
  • 본 연구는 황해 아산만 중앙천퇴(Surface Sediment)에서 최근 대규모 방조제 건설과 연안 준설로 인해 야기된 해저지형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해저지형변화는 해도상의 수심정보를 왜곡시킴으로써 국제항을 출입하는 대형선박의 안전항해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안전한 항해수로 확보 및 해양사고 저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본적인 중앙천퇴 지형변화의 원인, 해저지형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장 단기 해저지형변화 예측을 통해, 궁극적으로 항해 위험요소 저감 대책 및 정책 마련 시 과학적인 핵심기반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GIS 기반의 해저지형 공간 분석을 토대로 기존의 미시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퇴적환경 연구결과를 객관화하고 정량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도구로 활용할 것이다.

  • PDF

A Way of Building u-GIS Based u-City (u-GIS 기반의 u-City 구축방안)

  • Kim, Hy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93-297
    • /
    • 2008
  • u-GIS를 기반으로 시설물관리방안은 국토해양부의 VC-10 과제인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의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 관리방안은 상수도 하수도 등 지하시설물 또는 지상시설물에 적용되는 기법으로, VC-10 다른 과제로 연구단 구성을 하고 있는 "U-Eco City 사업단"에서 제공하려고 하는 u-Space인 공공시설 관련 서비스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과제와 "U-Eco City 사업단" 과제를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의 관리 중심 u-GIS 기반 u-City 구축방안의 현황을 분석하여,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과제와 "U-Eco City사업단" 과제의 연계방안을 모책하여 u-GIS기반의 u-City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방향제시를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Metadata Editor for Managing the Underground Facilities on UFSN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편집기 개발)

  • Lee, Young-Kyun;Kim, Min-Suck;Kim, Gwang-Ho;Kim,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27-231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GIS 분야에서도 USN을 연동한 실시간 GIS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GIS 분야 중 지하시설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관리 감독의 어려움에 의해 정량적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을 획기적으로 정밀하게 관리 감독할 수 있는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앞서 요구되는 지하시설물 관리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관리데이터를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USN 메타데이터 표준과 국토해양부 3차원 공간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을 조합하여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로 분류하였고, 분류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 편집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FSN 기반 지하시설물 메타데이터는 개발된 편집도구에 의해 작성되어 실제 관리시스템에 적용될 예정이며, 향후 USN 기반 GIS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ocean weather information system for maritime safety (해양안전관리용 기상정보시스템 개발)

  • Na, Sung-Joon;Jeong, Jong-Chul;Sung,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47-250
    • /
    • 2010
  • 해상에서 실시간 USN 기반의 각종 해양안전 관련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고, 해상에서의 기상에 의한 안전사고는 해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해상에서의 선박안전에 필요한 기상정보시스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기상청 예보에만 의존하고 있다. 해상 및 연안에서 선박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기상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관련 담당자 및 선박운항 당사자가 사전에 미리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해양기상예보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Site Selection of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lant in Adjacent Seas of the Korean Peninsula (I) (한국근해 해양 온도차 발전소의 입지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I))

  • Suh, Young-Sang;Jang, Lee-Hyun;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 no.2
    • /
    • pp.44-5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OTEC(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operation, in the East Sea of Korea. Accumulated cruise data of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over the period 1966~1995 were used to locate appropriate spot by season as well as by latitude which would show the difference at least $15^{\circ}C$ or more between the surface layer and each depth of 50, 100, 150, 200, 250, 300, 400 and 500m.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astal areas of Pohang city met the requirement of more than $20^{\circ}C$ difference for OTEC plant from August to October. In contrast, in case that $15^{\circ}C$ would be possible thermal difference to operate OTEC plant, most coastal areas in the East Sea including Pohang from June to December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this future energy source. Therefore, we present in this paper the first option to locate the best place for OTEC plant opera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hich is currently used for multi-dimensional space analysis.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Ocean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Park, Sun-Min;Lee, Woo-Kyun;Kwon, Tae-Hyub;Lee, Beo-Dul;Son, Yo-Whan;Cho, Yong-S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3
    • /
    • pp.1-9
    • /
    • 2011
  • The vulnerability of ocean should be assessed to establish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in field of the ocean, which has big effect on human and natural system.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assessing vulnerability of ocean to climate change were employed in terms of sensitivity, adaptative capacity and exposure. And suitable indicators for the criteria were selected and spatial data set for the indicators was prepared. In the ocean sector, the data for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such as the inland and ocean data. The inland data were extrapolated and integrated to the coordinate of ocean data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the spatially diverse distribution of vulnerability on the ocean could be derived from the integration of two types of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outhwestern ocean is much more sensitive than west and east ocean. Also southwestern ocean of exposure ratio of change is higher than the other part of ocean. On the other hand the adaptative capacity found that the highest in east ocea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result showed southwestern ocean is more vulnerable than the other part of oc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