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 안전

Search Result 4,8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n Research Trend o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연구경향 분석)

  • Kim, Sang-Goo;Lee, Wo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4
    • /
    • pp.415-420
    • /
    • 2010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is representative scientific journal about ocean environment and ocean safety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 o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through review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for 10 years tram 2000 to 2009. On the basis of the pursuit of learning and academic constitu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criteria items of analysis for research trend such as authors institution of employment, region of authors' institution, form of participation in research, article's educational nature, article's method of study, article's area of study, etc. were set up and applied to 310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for 10 years.

격자별 선박 점유율을 고려한 해상교통량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

  • 노유나;최충정;백연지;임광현;양지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4-145
    • /
    • 2023
  • 육상, 철도, 항공 등 타 교통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사고와 인명피해가 줄어든 반면, 해양분야는 해양사고가 증가하며 실효적 해양교통안전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3년간 국내 해상에서 발생한 충돌사고 중 어선을 포함한 충돌사고가 전체의 약 84%를 차지하며, 해상교통의 주요 변수인 어선을 포함한 국가의 해상교통량 파악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정부 국정과제인 '디지털 해상 교통망 구축'과 더불어 해양교통안전관리체계 마련의 일환으로 국내 전체 선박위치발신장치(AIS, V-PASS)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상교통량을 분석하고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선박 밀집도를 통한 그리드별 공간가산분석과 항적 데이터 전처리 및 선형화, 선박 길이에 따른 점용면적 산정을 통한 단위 그리드별 해상교통량을 분석한다. 또한, 과거 교통량 데이터는 딥러닝 기반의 시계열 특성을 지닌 RNN과 LSTM 모델을 활용하여 교통량 예측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상교통량과 해양사고의 연관성 분석 및 속력제한구역 등 해상정책 수립의 정량적 근거를 제공하며, 국민에게 해상교통정보 제공을 통해 교통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해양수산 CEO 교육 현황과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 Sin, Dong-Gil;Jeong, Chang-Hyeon;Yun, Dae-Geun;Kim, Hwa-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41-242
    • /
    • 2019
  • 최근 일련의 대형 해양사고로 인하여 해양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선사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는 시기이다. 해양수산 CEO 대상 해양안전리더 교육은 선박소유자 등 선사 경영층의 안전의식 내재화를 통한 업계의 안전문화 정착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진행 방식에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해로드 앱 기능개선 방안 연구

  • 김창준;마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47-49
    • /
    • 2022
  • '14년부터 대국민 해양안전을 위해 서비스 중인 해양안전 모바일 앱 '해로드(海Road)'의 다운로드 수가 50만 건을 돌파함에 따라 다양해진 이용자 특성에 맞게 앱 이용이 활성화되고 이용자 중심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

  • 최광영;김대원;송재욱;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64-65
    • /
    • 2022
  • 내항성능 해석 기반의 선박 해양활동지수에 관한 연구는 연근해에서 활동하는 30톤이하 선박에 대해 해양기상신호표지 정보 및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해서 선박의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연구하는 것이다.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연근해 활동 소형선박의 사고가 해양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선박은 복원성 승인 및 유지 제외 선박(길이 24m 미만)으로 대부분으로 건조 시부터 폐선 시까지 해양활동에 대한 안전대책이 부족하여 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 등 인명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선박의 해양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정보는 여러 기관별 목적에 맞게 수집되고 있으나 활용도가 떨어지고 실제 기상과 다를 수 있으며 지역 및 지형에 따라서도 기상여건이 상이하므로 현지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한 선박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한 해양활동 정보 지원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파고와 풍속 및 선박의 내항성능 해석 정보를 이용하여 30톤이하 선박에 대한 안전한 해양활동 대책을 강화하고자 함이다.

  • PDF

영국 해양플랜트 안전관리제도와 국내규정 개선방안

  • Jeon, Sang-Yeop;Mok, J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14-416
    • /
    • 2012
  • 동해 심해 8광구 시추작업을 계기로 우리나라 해양구조물 분야 안전관리제도의 문제점이 식별되고 있다. 이번 동해 시추작업과 관련한 사전 안전진단은 국내규정의 미비로 영국의 보건안전규정을 적용하여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위험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영국 해양플랜트 보건안전규정을 소개하고, 관련 국내규정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최적 안전항로 지원시스템의 유효성 평가

  • Kim, Hong-Tae;Kim, Eun-Chan;Choe, Hy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37
    • /
    • 2019
  •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개발 중 최적 안전항로 지원서비스는 육상에서 연안여객선과 같은 사고취약 선박이나 서비스 요청 선박에 한해 실시간 선박 교통, 해역 환경, 기상 정보 등 해사 안전정보를 활용한 최적의 안전항로를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본 발표에서 현재 개발 중인 최적 안전항로 지원서비스의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 서비스의 기능시험 결과와 효용성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및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Risk Assessment Factors and Indicators for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s (연근해어선의 안전관리 위험성평가 인자 및 지표개발)

  • Song, Byung-Hwa;Kim, Cheol-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6
    • /
    • pp.783-788
    • /
    • 2021
  •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enforcing many policies to improve the marine safety of vessels with weak safety management, the effectiveness of each policy is deficient due to the lack of a risk assessment method for ship safety management. Most previous studies in Korea of the risk assessment of ships only dealt with fragmentary risks of individual marine accident risks, so a new assessment method for comprehensive marine accident risk is needed. Examples of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s for ship safety management are the selection method for inspection targets by the Port State Control and the Norwegian Maritime Authority. In this study, indicators for the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of ship safety management were developed for and applied to coastal/offshore fishing vessels that occupy a high proportion of the registrations and marine accidents in Korea. As a result, the risk of each ship was confirmed quantitatively, and a ranking of the weakness factors for ship safety management was identified.

우리나라 도선선 충돌사고 사례 분석

  • 박영수;김대원;박상원;김소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48-249
    • /
    • 2023
  • 빠르게 변화하는 해양 교통 환경은 항상 선박과 관련 산업 종사자 등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나 선박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접이안을 지원하는 약 300여 명의 도선사와 70여 척의 도선선은 안전 운항의 최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관련 사고가 발생할 시 타 사고에 비해 그 피해가 극심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의 과거 도선선 충돌 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안전 문화의 관점을 통해 바라보면서 미래의 안전 도선 환경 마련을 위한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