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 생산

검색결과 1,374건 처리시간 0.022초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제4기 후기 퇴적환경에 대한 지질${\cdot}$지화학적 연구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 김일수;박명호;이영주;류병재;유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1호
    • /
    • pp.9-15
    • /
    • 2003
  •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두 개의 코어(00GHP-01, 00GHP-07)를 시추하였다. 채취된 코어의 제4기 후기 퇴적환경 변화 및 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기탄소의 함량은 일반적인 개방형 해양보다 높게(평균 1.8%) 측정되었다. 기존의 보고된 테프라층 연대를 이용한 지층의 층서에 따르면 울릉분지는 높은 퇴적률(12.1-14.9 cm/kyr)을 보이는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질소와 유기탄소의 비(평균 6.18-7.42)는 퇴적되어진 유기물이 주로 해양성 유기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퇴적률과 황의 함량을 각각 유기탄소의 함량과 비교하여 도시해 본 결과, 산소가 결핍되고 다소 생산성이 높은 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지역은 Termination I 동안에 유기물의 유입이 많았으며, 유입된 유기물들이 축척되기 용이한 높은 퇴적률을 갖는 산소가 결핍된 환경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광합성율과 생물량에 기초한 Sargassum confusum의 생산성 계산 모델 (An Estimation of the Algal Production of Sargassum confusum (Phaeophyta) on the Coast of Ohori, East Sea, Korea, by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Photosynthetic Rates and Biomass Changes)

  • 고철환;조성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8-116
    • /
    • 1991
  • 동해안 오호리에 서식하는 Sargassum confusum을 대상으로 광합성율과 생물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해조류의 년생산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즉 년생산량 P/SUB yr/를 P/SUB yr/ = .int.P/SUB t/·B/SUB t/dt (이때 P/SUB t/와 B/SUB t/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광합성율과 생물량을 나타낸다)의 식을 설정하여 구하 였다. P/SUB t/는 수온과 광량의 함수로 보아 서로 다른 수온과 광도의 조건에서 광합 성을 측정하여 P/SUB t/에 대입하였다. 수온과 Sargassum confusum이 서식하는 수심 3 m를 기준으로 하였다. 모델에 의한 모의 결과는 수온이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구름을 가정하여 30%의 광량을 무작위로 감소시켰을 때 해조류의 년생산량은 5%감소하였다.

  • PDF

SFA를 이용한 태평양 원양연승어업의 어선별 생산효율성 분석 (Estimating the productive efficienct of distant-water longline vessels in Pacific Ocean using a Stochastic Frontier Approach)

  • 조헌주;김두남;김도훈;이성일;권유정;구정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57-3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distant-water longline fishing vessels in the Pacific Ocean and the gap in efficiencies among individual vessels. In order to estimate the efficiency, the dependent variable is set as an amount of catch and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number of crew, number of hooks, number of vessel size, and vessels engine power associated with fishing activities of distant water longline fisheries. Analytical result was shown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iciency of distant-water longline fishing vessels in the Pacific Ocean was found to be 94%. Second, the number of hook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ach input variable and the appropriate control of the number of hooks would b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a vessel and the efficiency was not found statistically.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1.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 전반적 고찰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1. The Cycl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 General Considerations)

  • 김경렬;기준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1-206
    • /
    • 1987
  • 금강을 통하여 연간 평균 64억톤의 담수가 유입되는 금강 하구(Keum River Estuary)는 총 유출량의 60%이상이 여름에 집중되어, 건기(low-descharge period) 및 우기(high-discharge period)가 뚜렷이 구별되는 강하구 환경(estuarine environment)을 이루고 있다. 금강 하구는 우기중 일부를 제외한 전 기간에서 높은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이 형성되기도 한다(Lee and Kim, 1987). Photosynthesis는, 금강하구가 금강, 생활 하수등을 통한 공급으로 영양염들이 항상 충분히 존재하는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SPM의 농도가 매우 낮았던 우기중에만 활 발히 진행되었다. 이는 금강하구에 있어서, SPM의 농도가 빛에너지 차단 등을 통하 여 일차 생산 활동의 진행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Nitrification은 건기중 무기질 화합물들과 관련되어 진행되 는 가장 중요한 respiration 작용으로서, SPM이 높은 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 었으며, turbidity maximum형태에 따라 크게 두가지 형(ammonia-nitrite산화과정 및 ammonia-nitrate 산화 과정)이 관측되었다.Nitrate생성은 turbidity maximum이 매우 좁은 지역안에 형성되었던 시기에 이 구간내에서 관측되었고, Nitrate 생성은 turbidity maximum 이 강하구 전역에 걸쳐 넓게 형성되었던 시기에 강 하구 전역 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이것은 수괴가 높은 SPM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에 따 라 반응 형태가 좌우되어, 이 시간이 짧은 경우에 nitrete까지, 충분히 긴 경우에는 nitrate까지 ammonia가 산화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KODOS-89 지역 망간단괴의 성인과 분포 (Origin of Manganese Nodules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KODOS-89 Area,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 정회수;정갑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9-204
    • /
    • 1990
  • 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 서부의 KODOS(Korea Deep Ocean Study)지역에 분포하는 망간단괴의 성인과 분포, 그리고 분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망간단괴와 퇴적물을 채취하여 화학 및 광물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 지역의 망간단괴는 Mn/Fe 비 가 크고 구리, 니켈, 아연, 마그네슘, 토도로카이트 함량이 높으며 표면조직이 거친 속성기원의 망간단괴(S-형 망간단괴)와 철, 코발트, 버나다이트 함량이 높고 표면조직 이 매끈한 수성기원의 망간단괴(S-형 망간단괴) 그리고 화학 및 광물조성과 표면조직 이 두 기원의 중간성격을 띄는 망간단괴(R-S-형 망간단괴)로 구분된다. 성인 및 부존 밀도 등의 특성에 따라 KODOS-89 지역은 크게 4지역으로 구분된다. 즉, 부존밀도가 10 kg/m$^2$이하이고 수성기원의 망간단괴가 분포하는 최북단지역, 부존밀도가 1 kg/m$^2$ 내 외이고 속성기원의 망간단괴가 분포하는 남부 지역, 그리고 부존밀도가 10 kg/m$^2$ 이 상으로 높고 수성기원의 망간단괴가 분포하는 해저산지역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망간 단괴의 분포특성은 주로 위도에 따른 수층의 생산성 및 해저지형의 차이에 의해 기인 되었다고 생각된다.

  • PDF

진해만의 3차원 수질 모델링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ing of Chinhae Bay)

  • 김차겸;이필용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00
  • 해수유동 모델과 부영양화 모델로 구성된 3차원 생태계 모델을 수립하여 진해만에 적용하였으며, 해수유동 모델과 부영양화 모델은 동일한 격자상에서 운영된다. 수치계산결과를 관측경과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계산된 COD, DIN 및 DIP의 농도는 오폐수의 과다유입과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에 의해 진해만의 북부 지역(마산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저층에서 저산소 및 무산소 수괴는 오폐수의 유입량이 많고 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진해만의 북부해역과 성층형성과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진해만의 서부 내만에서 발생하고 있다. DO 농도의 등분포선은 만 입구로부터 DO 공급과 물리적 작용에 의해 만 입구에서 만 내로 DO의 수송으로 인해 만의 입구와 평행하게 나타났다. 저층 저산소 수괴의 형성에 물리적, 생화학적 과정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중에서 해수의 수평적·연직적 확산에 의한 물리적 작용이 제일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용도에 따른 FRP재활용 공정 개발 (Development of FRP Recycling Process for Regenerating Applications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 이승희;박종원;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7-215
    • /
    • 2015
  • 환경문제를 야기시켰던 해상용 FRP재활용에 대해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서 폐FRP로부터 콘크리트 강화용 섬유 제작이 진행되어 왔다. 이렇게 제작된 강화 콘크리트에 대해 구조적 능력까지 시험한 바 있다. 시험 테스트 결과 재활용 FRP 가루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았을 뿐 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폭 특성을 상당히 증대시켰다. 그러나 폐FRP로부터 매트층의 분리 방법이 안정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폐FRP 섬유 가루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종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폐FRP로부터 매트층을 분리하는 효과적이며 친환경적인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내폭성이 강한 제품이나 구조물에 적합한 FRP섬유가루 생산 공정에 유용한 재활용 공정이라 생각한다.

광합성세균의 파이롯트 단위 생산을 위한 고순도 배양 (Highly Pure Culture of Photosynthetic Bacteria for Pilot-scale Production)

  • 조경숙;임태빈;정해윤;조정섭;김중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92-297
    • /
    • 2006
  • 오염된 양식 해수의 수질정화능력이 뛰어난 광합성세균의 고순도 대량배양을 위한 실험을 실험실 단위 및 파이롯트 단위에서 수행했다. Gas pack 반응기, flask 반응기 및 N-source로서 질소 가스를 사용한 실험 결과, 광합성세균은 현미경상 약 90%이상의 순도를 나타내었고, CFU 측정 결과에서도 붉은색을 띄는 광합성세균 colony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배지의 교차에 의한 배양실험에서 기초배지를 이용한 배양이 광합성세균의 성장에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배양조건하에서의 5L bioreactor 배양에서 비증식속도가 $0.18h^{-1}$로 나타났고, 실험실 단위의 결과를 이용한 pilot 단위에서의 배양결과, 실험실 단위의 비증식속도와 동일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부남군도에서의 조류발전단지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idal Current Farm in the Bunamgun-do)

  • 양창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5-92
    • /
    • 2013
  • 최근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감축하는 세계적 추세와 함께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는 500 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사업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적용을 받는다. 조류자원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이며, 이러한 조류자원은 매우 크지만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조류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술적, 경제적인 측면의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부남군도 해역에 부존하는 조류자원 실용화 기술개발을 위하여 조류에너지원에 대한 자료수집 등의 현황분석과 수치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조류에너지 분포도를 조사하고 이용 가능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을 산정, 조류발전기를 모듈화 하여 최적의 조류발전단지 구성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ooCBD방법론을 적용한 조선소의 HSE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HSE Management System in a Shipyard using object-oriented Component-Based Development Method)

  • 오현수;장성록;김동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77
    • /
    • 2013
  • Smart work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형태를 의미한다. 스마트워크의 유형에는 모바일 오피스, 홈 오피스, 센터근무, 원격협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마트워크 방식을 모바일 오피스라고 하며, 이동통신망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모바일 오피스는 무선환경과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무실을 구현하는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내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 검색은 물론 결재, 승인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조선소에 적용한다면, 실시간 처리로 근로자들의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업을 위한 HSE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기능을 추출하고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모바일용 HSE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10개의 기능들을 추출하였고, ooCBD 방법론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