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 생산

검색결과 1,371건 처리시간 0.023초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관한 硏究 (On the Phyr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Kwangyang Bay)

  • 심재형;신윤근;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186
    • /
    • 1984
  • 光陽灣 植物 플랑크톤의 分布와 環境과의 관계에 대한 硏究가 1982년 3월 에서 12월까지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이루어졌다. 本 硏究에서 總 211種이 同定 되었는데 이들은 67屬 196種 14變種 1品種으로 構成되었다. 季節別 우점종은 春季 Rhiwosolenia deiicatula, Chroomonas sp, 夏季 Chroomonas sp. 秋季 Chaetoceros debilis, C. socialis, 冬季 Skeletonema costatum, Chroomonas sp.로 季節에 따른 우점종의 遷移현상이 뚜렷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現在量의 時間的 變化는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 동물 플랑크톤에 의한 攝食壓力, 水溫의 變化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特히 春季 硅藻類의 大發生은 암모니아態 질소의 농도와 높은 相關性을 보였다. 種 多樣性指數는 비교적 낮다. 전 群集內에서 nanoplankron 의 年 평균 비율은 36.5%로 光陽灣 일차생산과 먹이망에서 중요한 位置를 占 하였다. 植物 플랑크톤의 空間分析에 의하여 硏究水域은 대체로 淡水 流入이 많은 蟾津강 河口域, 外洋水의 영향이 적은 灣 右側域, 外洋水의 영향이 큰 灣 右側域 등 3個의 특징적인 水域으로 區分된다. 공장 폐수도 植物 플랑크톤 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완도읍 및 평일만 김밭에 있어서의 동계 오개월간 수질의 조수에 따른 변동 (Tidal Variations of the Chemical Constituent Contents in the Laver Bed Sea Waters in Wan Do Gun From October 1968 to February 1969)

  • 원종훈;박길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29
    • /
    • 1970
  • 김의 성장과 품질에 대한 환경수질의 중요성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다 김 양식기에 있어서의 환경수질의 변동을 보기 위해 저자의 한 사람은 섬진강 및 낙동강 하구 김밭에 대해 이미 조사한 바 있거니와 이번에는 우리나라 유수의 김 생산지인 완도군하 김밭의 수질을 전보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으로서는 완도군 에서대체로 대표적 김밭이라 볼 수 있는 두 지점을 선정하여 1968년 10월부터 1969년 2월까지 매월 대조일에서의 수질변동을 조수의 일조기에 걸쳐 1시간마다 각 성분량을 측정하므로써 조사하였다.

  • PDF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에 관한 연구 II. 한국연안수역의 식물플랭크톤 (Phytoplankton Studies In Korean Waters II. Phyt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1-12
    • /
    • 1967
  • 바다의 플랭크톤은 장소와 시기에 따라 출현종류와 수량에 많은 변동이 있고, 이것들의 종적조성, 출현수량 또는 그 분포는 바다의 생태계를 구명하고, 해역의 생산성을 계측하는데 극히 중요한 기초적지식이 될뿐아니라 어업과 바다의 양 증식 에도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PDF

해양에서 분리한 bacillus sp. RH-5에 의한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by Bacillus sp. RH -5 Isolated from Marine Origin)

  • 류병호;정진웅;김동석;박종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3
    • /
    • 1998
  • 해양미생물로부터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에 대한 항산화 활성 균주를 검색 하였든 바 부산 인근연안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은 Bacillus sp. RH-5를 분리 동정하였다. Bacillus sp. RH-5의 항산화 활성물질의 생산 최적 배지는 1.0% glucose, 0.25% polypeptone, 0.25% yeast extract, 0.01% $FeSO_4{\cdot}7H_2O$, 50% sea water 이였다. 이때 최적 조건은 pH 7.0, 배양오도는 $30^{\circ}C$ 및 배양시간은 48시간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1~5\;\mu\textrm{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 시킨 결과 Bacillus sp. RH-5 배양액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500 및 $1,000\;\mu\textrm{g}/ml$에서 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또 $5\;\mu\textrm{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 시킨 LDL의 전기 영동거리는 native LDL 보다 다소 높았으나 LDL에 ethyl acetate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그 이동거리는 native LDL과 거의 비슷하였다.

  • PDF

해양 미생물 Pseudomonas sp.의 유전자 재조합 Alginate Ly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ecombinant Alginate Lyase of a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sp.)

  • 김영옥;김구택;김현국;김대경;허성회;공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37-642
    • /
    • 1996
  • 해양으로부터 alginate lyase분해능이 있는 Pseudomonas sp.을 분리하여 이 균으로부터 alginate lyase 유전자를 E. coli에 cloning 하여 재조합 alginate lyase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재조합 alginate lyase는 E. coli에서 $50\%$ 이상이 expression되었다. 또한 생산된 재조합 alginate lyase는 세포외로의 분비가 없었으며,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대부분이 inclusion body를 형성하지 않고 세포질내에서 soluble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을 나타내는 최적 조건은 온도 $20^{\circ}C$, pH 7.0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기질에 대한 Km값은 $0.4\%$, Vmax는 625 unit/mg이었다.

  • PDF

천리안 위성의 기상센서와 해양센서를 활용한 지표면 온도 상세화 기법 (Downscaling of Land Surface Temperature by Combining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 정재환;백종진;최민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2-131
    • /
    • 2017
  • 위성자료는 수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에 비해 보다 광범위한 현상을 표현함으로써 보다 많은 연구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와 같이 지형이 복잡하고 균일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연구 목적이나 방법에 적절한 공간해상도의 자료를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의 GOCI와 MI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융합함으로써 4 km에서 500m 까지 상세화하여 고해상도의 지표면 온도 자료를 생산하였다. 이를 12개 지점에서 관측된 ASOS 자료들과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오차는 감소하고, 상관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공간 분포 분석에서는 크게 비슷한 경향을 띄고 있으면서도 복잡한 지형을 보다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상세화 된 한반도의 지표면 온도 자료가 천리안 위성의 활용 범위를 보다 확장하고 다양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위성 해양탑재체 자료를 이용한 대기산란 효과가 제거된 컬러합성 영상 제작 (Creating Atmospheric Scattering Corrected True Color Image from the COMS/GOCI Data)

  • 이권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6
    • /
    • 2013
  •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관측 위성인 천리안 위성의 해색 센서인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는 2011년 4월부터 원시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OCI 원시 자료로부터 보다 자연색에 가까운 컬러합성영상 제작을 위한 방법론과 자료처리용 소프트웨어인 GOCI RGB Maker를 개발하였다. GOCI 원시자료는 대기보정과 재투영 기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컬러합성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알고리듬을 구현하였다. 이 알고리즘이 적용된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선택적으로 관심영역과 출력창의 크기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교육적 효과를 높였다. GOCI RGB Maker는 공개용 소프트웨어로서, GOCI 자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지궤도 관측 영상은 관측 영역의 환경특성 변화를 감시하는데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연계형 발전 시스템의 다수 풍력터빈 배치 설계 및 성능 평가 (Arrangement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Multiple Wind Turbines of 10MW Class Floating Wave-Offshore Wind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 박세완;김경환;이강수;박연석;오현석;신형기;홍기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3-1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10 MW급 부유식 파력-해상풍력 연계형 발전시스템에 설치되는 다수 풍력발전기의 배치 설계를 수행하고, 전산유체역학 해석기법을 통해 다수 풍력발전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날개요소운동량이론을 기반으로 한 풍력발전 단지 설계용 프로그램 WindPRO를 이용하여, 발전시스템의 적지 환경 풍황조건에 대해 최대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배치 설계를 도출하였고, ANSYS CFX를 이용하여 다수 풍력발전기간의 후류 간섭영향을 발전기 성능 측면에서 검토하여, 근거리 다수 풍력발전기간의 후류 간섭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제4기 후기 퇴적환경에 대한 지질${\cdot}$지화학적 연구 (Ge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 김일수;박명호;이영주;류병재;유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1호
    • /
    • pp.9-15
    • /
    • 2003
  •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두 개의 코어(00GHP-01, 00GHP-07)를 시추하였다. 채취된 코어의 제4기 후기 퇴적환경 변화 및 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기탄소의 함량은 일반적인 개방형 해양보다 높게(평균 1.8%) 측정되었다. 기존의 보고된 테프라층 연대를 이용한 지층의 층서에 따르면 울릉분지는 높은 퇴적률(12.1-14.9 cm/kyr)을 보이는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질소와 유기탄소의 비(평균 6.18-7.42)는 퇴적되어진 유기물이 주로 해양성 유기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퇴적률과 황의 함량을 각각 유기탄소의 함량과 비교하여 도시해 본 결과, 산소가 결핍되고 다소 생산성이 높은 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지역은 Termination I 동안에 유기물의 유입이 많았으며, 유입된 유기물들이 축척되기 용이한 높은 퇴적률을 갖는 산소가 결핍된 환경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광합성율과 생물량에 기초한 Sargassum confusum의 생산성 계산 모델 (An Estimation of the Algal Production of Sargassum confusum (Phaeophyta) on the Coast of Ohori, East Sea, Korea, by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Photosynthetic Rates and Biomass Changes)

  • 고철환;조성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8-116
    • /
    • 1991
  • 동해안 오호리에 서식하는 Sargassum confusum을 대상으로 광합성율과 생물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해조류의 년생산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즉 년생산량 P/SUB yr/를 P/SUB yr/ = .int.P/SUB t/·B/SUB t/dt (이때 P/SUB t/와 B/SUB t/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광합성율과 생물량을 나타낸다)의 식을 설정하여 구하 였다. P/SUB t/는 수온과 광량의 함수로 보아 서로 다른 수온과 광도의 조건에서 광합 성을 측정하여 P/SUB t/에 대입하였다. 수온과 Sargassum confusum이 서식하는 수심 3 m를 기준으로 하였다. 모델에 의한 모의 결과는 수온이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구름을 가정하여 30%의 광량을 무작위로 감소시켰을 때 해조류의 년생산량은 5%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