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오염관리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iagnosis of Development Projects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ea Areas and Improvement of Impact Assessment (환경관리해역의 이용개발현황과 수질변화경향 및 영향평가 개선방안)

  • Jun, Eun Ju;Yi, Yong Min;Lee, Dae In;Kim, Gu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6
    • /
    • pp.726-734
    • /
    • 2018
  • The total number of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reviewed from 2015 to 2017 were 60. The number of development projects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ecreased steadily, but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increased. Development types in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showed that artificial structure installation was the highest ratio, followed by fishery port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habor and coastal maintenance and sea water intake and draining. By comparing the trend of water quality changes using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MEIS) data in the environment management areas from 2006 to 2017, COD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but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increased slightly, and the concentration of TN and TP decreased. Gwangyang and Masan bays in the special management sea areas and Gamak bay in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sea areas displayed oxygen deficient mass in the summer. As the use of development projects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are performed continuously,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sufficient water quality changes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and should be evaluated mainly for management of contamination by diagnosing thoroughly water quality effects and the pollution of sediment. Especially, the water quality goal for the purpose of designation in each of the environment management sea areas is set clearly, connection with pollution source control and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should be proposed and measured to reduce th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Kwangyang Bay by Point Pollution Source Control (점원 오염부하 제어에 의한 광양만의 수질관리)

  • Lee Dae-In;Park Chung-Kil;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3
    • /
    • pp.28-39
    • /
    • 2001
  • The eco-hydrodynamic model was used to simulation water quality of Kwangyang Ba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for appropriat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mean concentration of COD was 3.3㎎/L, this exceeded the third class of water quality criteria. Waste water discharging loads showed approximately 90% of total pollutant loads. For satisfaction to below 10㎍/L of Chl. a and 2㎎/L of COD, above 35% reduction of present pollutant loads of point sources are needed.

  • PDF

Investigation of Soil and Rice Crop Manganese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Areas near a Golf Courses (골프장 인근 농업지역의 토양 및 벼 작물 망간 오염 평가)

  • Junyong Heo;Taeyong Kim;Minjune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3-153
    • /
    • 2023
  • 골프장 건축 시 하부지반 구축을 위해 사용하는 잔석의 산화로 인해 중금속 용출이 발생할 수 있다. 용출된 중금속으로 인근 농업지역이 오염될 경우 인간의 식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인체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망간의 경우 식품을 통해 과다섭취할 경우 정신착란, 운동실조 등 다양한 신경학적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망간 오염에 대한 조사 및 관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골프장이 건설된 부산시 일광 회룡리 일대 농업지역에서 망간 오염 평가를 위해 지표수, 퇴적물, 벼 작물을 채취하여 망간 농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골프장 유출조부터 시작되는 관개수로에서 지표수와 퇴적물 시료를 약 20 m 간격으로 채취하였으며, 관개수로의 구조에 따라 논을 4개의 구역(Area 1 - 4)으로 구분하여 논 토양과 벼 작물을 채취하였다. 벼 작물의 경우 뿌리, 줄기, 곡물 부분으로 나누어 채취하였으며, 퇴적물과 논 토양은 시료 내 존재하는 망간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연속추출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표수의 망간 농도는 골프장 유출조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류에서의 망간농도는 상류에 비해 최대 88% 감소하였다. 퇴적물의 망간 농도는 논으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20,000 mg/kg 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농업이 진행 중인 3, 5, 7월은 최대 약 25,000 mg/kg의 농도를 보였으나, 농업이 끝난 9월에는 최대 약 3,500 mg/kg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다. 논 토양의 망간 농도는 관개수로와 첫 번째로 연결되는 Area 1에서 1,600 mg/kg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EPA에서 권고한 논 토양 망간 기준 1,000 mg/kg을 초과하는 농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이 사용할 수 없는Residual 형태의 망간 농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식물이 사용 가능한 Acid soluble, Reducible, Oxidizable 형태의 망간 농도는 추수기 이후 80% 이상 감소하였다. 벼 작물의 곡물 망간 농도는100 - 200 mg/kg으로 USDA에서 발표한 쌀 곡물 망간 농도의 평균인 5 mg/kg보다 약 20배 이상 높게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골프장 유출조로부터 발생하는 망간오염을 식별하고 주변 농업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골프장 운영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의 TAC 실시배경과 현황

  • 이동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9-39
    • /
    • 2003
  • 우리나라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어업허가제도에 의하여 어업자원을 관리하여 왔다. 그러나 어업기술의 발달로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어획노력의 증대와 더불어 대부분의 수산자원이 남획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허가제도하에서는 과잉노력량에 대한 조정이 곤란하고 현실적으로 불법ㆍ남획어업이 자행되어 어업자원 고갈현상이 가속화되고 해양오염 증가와 매립ㆍ간척으로 인한 어장축소 등으로 어업생산성 저하됨으로서 새로운 어업관리제도의 필요성 대두되어 간접적 자원관리방식의 전통적 방법에서 어획량을 직접 관리하는 TAC제도로의 전환 필요성 증대되었다. (중략)

  • PDF

A multi-criteria approach for mapping of the diffuse pollution vulnerability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을 적용한 수질오염 취약성 평가)

  • Lee, Gyumin;Kim, Jinsoo;Shin, Hyungj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6-4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 관리 측면에서 유역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우선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는 기법을 수립하고자 한다. 수질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염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기준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다기준 평가기법은 다양한 평가 항목이 포함되는 의사결정 문제에 유용하다. 연구 절차는 평가 항목 및 가중치 결정, 항목별 평가자료 구축, 수질오염에 대한 취약성 평가 후 수질오염 관리가 필요한 유역 선정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평가 대상은 814개 소유역이다. 평가 프레임워크는 오염원, 확산 과정, 수자원 현황의 3개 그룹으로 구성되며, 각 그룹에 대한 하위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오염원 그룹은 중앙 및 지방 정부에서 제공하는 오염원 조사 결과, 농업 분야 자료, 토지 사용 현황 등을 적용하였다. 확산 과정 그룹은 강우, 토지 피복, 토양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수자원 현황은 하천의 흐름, 수질 및 수생 생태계 현황 등이 반영되었다. 유역 단위로 모든 항목에 대하여 가중치를 반영한 점수를 집계하고 취약지역을 선정하였다.

  • PDF

Oil Tanker Scrap an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easures (유조선 해철 작업과 해양오염 방지 대책)

  • Kim, Kwang-Soo;Kim, Jung-Yo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187-194
    • /
    • 2007
  • In order to control and manage oil-tanker scrapped materials and wastes properly, the actual conditions and global trends of the treatment and the management of ship scrapped wastes were surveyed and some amendments to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of Korea were proposed. Global annual volume of scrapped ships was estimated to be about 22 million DWT and most of them were scrapped in 4 major ship scrap countries such as Bangladesh, China. India and Pakistan and in minor ship scrap countries such as Turkey,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Vietnam. The industry of ship scrap has been mainly developed in developing countries or undeveloped countries rather than in advanced countries. Most of scrapped ships were found to be small or medium size below 1,000 GRT In Jellanam-Do and Jeju-Do of Korea. Most of ship scrap enterprise and all enterprises of collection, transfer, treatment and disposal for ship scrapped materials and wastes were shown to be small sized in Korea. The regulations and/or rules which shall prohibit or limit trans-boundary movement of overage oil-tankers for scrap from Korea to developing or undeveloped countries, and vice versa should be Included in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of Korea. the criteria of manpower and facilities for enterprise of ship scrap, and for enterprises of collection, transfer, treatment and disposal of ship scrapped materials and wastes should be stipulated in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of Korea.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the system or concept of recycle or reuse of ship scrapped materials and wastes on producer's responsibility into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of Korea.

  • PDF

De Lege Ferenda for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Sunken Vessels (침몰선박 관리체계의 개선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 Jeon, Yeong-Woo;Jeon, Hae-Dong;Hong, S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5
    • /
    • pp.462-472
    • /
    • 2017
  • Sunken vessels on major fairways can cause many problems in terms of maritime safety and the marine environment. In order to prevent secondary marine pollution accidents caused by sunken vessels, information on sunken vessels has been collected, a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and the relevant vessels are being manag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ach assessment. However, there is still a demand for improvements. The most important of the improvement plans is a paradigm shift.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of sunken vessels needs to be transformed according to a new paradigm to manage all sunken vessels within three years from the time of sinking. Legislative improvements are also needed for the reporting system for sunken vessels, risk assessment tools, the implementation of risk mitigation measures, and criteria for the implementation cost of risk mitigation measures. In addition, close coordination between marine pollution response and sunken vessel management efforts is needed. As the division of duties between the Korea Coast Guard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vagu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ministries is required. Close collaboration is also needed between the departments of navigation safety management and sunken vessel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re clear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ystem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between the two administrative operations using the results of the risk assess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to determine the navigational risk posed by obstacles with regard to the Maritime Safety Act.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민.관 방제역할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

  • Mun, Jeong-Hwan;Yun, J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86-1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방제수행의 책임이 있는 오염자부담의 원칙성을 제고하고, 방제수행의 대표적인 두 부문인 정부-민간 부문의 방제수행 능력은 꾸준히 증가시키면서 활성화 할 수 있는 6단계 방제역할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1단계 역할정립단계에는 정부와 민간부문의 역할정립 및 오염행위자 방제실시의 원칙성을 제고하고, 2단계 산업육성 단계에는 각 부문별 장 단점을 인정하고 의도적으로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3단계 감독단계부터는 오염행위자 방제실시 여부에 따른 엄격한 책임강조 및 관리 감독을 실시한다. 4단계 해석단계는 양적 질적 성장된 방제산업계에 대한 정부의 올바른 평가 및 지도가 이뤄져야 한다. 5단계 상호의존단계는 민 관의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 의존적이며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6단계 독립단계는 정확하게 구분된 역할에 따른 자생 및 성장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6단계의 발전단계를 거침으로써 영세한 방제산업의 활성화 및 정부와 민간 부문의 정확한 역할을 구분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Database for the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Chemicals (유해화학물질 특성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Han, Jong-Yup;Song, Ki-Sup;Kang, Sung-Hy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8 no.2
    • /
    • pp.1-19
    • /
    • 1997
  • A late-comer in the marine affairs, development of ways for efficient acces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on marin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ollution prevention is important. The properties and removal methods of toxic chemicals have been entered into the database for 1,000 substances. The database of toxic chemicals for pollution and spills has also been fortified for the following term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zard and response, fire hazard and response, chemical reactivit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ther properties. The information and data running in this database are easily accessible via Internet and Korean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it is also available KRISTAL databases.

  • PDF

Analysis of marine waste monitoring platforms.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플랫폼에 대한 조사 분석)

  • Lee, Eui-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394-1396
    • /
    • 2021
  • 해양쓰레기로 인한 환경 오염이 국제적 환경문제로 부각, 해양쓰레기 발생량 저감 및 효율적 수거 사업 추진을 위해 발생원, 현존량, 재질 구성, 공간적 분포 특성, 시간적 증감 추세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에 따라 국내 해양쓰레기 현황, 관리 동향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쓰레기 해결방안이 대두됐으며, 결과적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조사의 공동협력 사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