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바이오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7초

바이오로거 체외 부착방법이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의 혈액성상 및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에 미치는 영향 (Blood Property and Biologger Attachment Efficiency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depending on External Biologger Attachment Methods)

  • 강필준;이근수;오승용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32
    • /
    • 2024
  •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방법이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평균 체중 2630.8 g)의 혈액 특성과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바이오로거 미부착구(대조구), anchor attachment (AA), monofilament attachment (MA) 및 silicon tube attachment (SA) 방식의 4가지 실험구를 설정하였다. 바이오로거 부착 후 1, 7, 14, 28, 56 및 84일에 혈액성상과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을 조사하였다. 혈액 내 hematocrit, Na+, Cl-, GPT, total protein 농도 및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방법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AA 그룹의 GOT(부착 1일), hemoglobin(56일) 및 total cholesterol(56일 및 84일)와 MA 그룹의 glucose와 cortisol (14일) 및 total cholesterol(84일)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실험 기간 동안 SA 그룹의 모든 혈액 특성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p>0.05). AA, MA 및 SA 그룹의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은 부착 84일 후 각각 0.0%, 33.3%, 그리고 100.0%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최적의 외부 바이오로거 부착방법은 SA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점농어의 생체원격측정 기술 개발을 위한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 김태영;진세준;박세헌;표희동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184-196
    • /
    • 2013
  •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 대안으로 해양 미생물에 기초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해결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계획에 근거하여,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부분의 50%인 500만TOE를 해양 바이오에너지에서 생산하려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서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산유발, 부가가치 유발, 취업유발에 미치는 효과 및 연구개발 유발효과 4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403부문 중에서 66개 부문을 해양 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해양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에 2,2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생산유발효과 3,12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65억원, 취업유발효과 1,151명, 연구개발 유발효과 47.8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상용화에 대한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바이오디젤의 선박 연료 활용을 위한 품질 분석 (A Study on the Quality Analysis of Biodiesel for Ship's Fuel Utilization)

  • 장하식;이원주;이민호;나용규;백철호;노범석;김준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48-355
    • /
    • 2023
  • 바이오디젤은 중립연료로써 친환경 연료로 알려져 있으며, 육상에서는 일정 비율을 의무 혼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디젤의 선박 연료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선박용 경유와 바이오디젤의 혼합비율 0 %, 5 %, 10 %, 20 %에 대해 성분 분석, 금속 부식성 실험, 저장 안정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분 분석은 ISO 8217:2017 기준에 따라 밀도, 동점도, 인화점 등 총 8가지를 평가하였으며, 180일 동안 상온과 가혹 조건(60 ℃)에서 금속 부식성 실험과 저장 안정성 실험을 통해 바이오디젤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성분 분석은 바이오디젤 모든 혼합비율에서 ISO 8217:2017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바이오디젤 비율에 따라 동점도, 밀도, 산값은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황분은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금속 부식성은 탄소강, 철, 알루미늄, 니켈의 경우 부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구리의 경우 60 ℃ 환경 바이오디젤 20 % 혼합에서 산소가 풍부한 바이오디젤의 영향으로 부식이 발생하였다. 저장 안정성은 모든 바이오디젤 혼합비율을 180일 동안 상온과 가혹 조건에서 저장한 결과, 변색, 슬러지 발생, 연료 분리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충남 해양바이오산업 현황과 전략 분석 (Marinebio Industry review and Strategy Analysis of Chungnam Province)

  • 정명화;차선희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27
    • /
    • 2021
  • Ironically, marine bioresource production in Chungnam Province is the second-largest in the country. The province's marine bioresource production puts its lack of a marine bioindustry in the spotlight despite the region's favorable conditions to produce representative value-added and (ultra) high value-added products such as neutraceutical and/or pharmaceutical function. This juxtaposition is to be expected, as there are no institutions for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marine biology or in the fisheries industry in the West Sea area. The unique features of the region require individuals with specialized training who have been educated in accordance with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Recently, however, a plan has been initiated at the national level to foster the growth of the marine biology industry in the Chungnam Province on Korea's west coast. This plan includes increasing funds to the marine biology market to 1.2 trillion by 2030. If the Chungnam region wants to successfully revitalize the marine biology industry and put the increased funds to efficient use, it must first establish various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R&(B)D) plans regarding local marine biology infrastructures and marine biology programs at local universities. It must also focus on training specialists to protect, maintain, and develop the region's marine bio-resources to increase the growth of the region's bioindustry.

해양조류로부터 바이오에너지 생산 : 현황 및 전망 (Production of Bio-energy from Marine Algae: Status and Perspectives)

  • 박재일;우희철;이재화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833-844
    • /
    • 2008
  • 바이오에너지는 화석연료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태양, 바람, 수력발전 및 지열, 그리고 바이오매스 자원으로부터 생성된 에너지는 재생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바이오에너지들은 태양으로부터 직 간접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화석연료와 달리 신재생에너지의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오에너지의 이용은 환경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치, 경제적으로 이익을 제공한다. 바이오에너지는 이산화탄소의 순증가가 없고 무공해의 에너지 형태를 제공하는 해양 자원으로부터 생산 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지구의 약 75%가 바다로 이루어져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해양 바이오매스의 잠재력에 대해 검토한다.

반폐쇄해역에서의 잘피장 조성 바이오블록 거치의 기초자료 분석 (Basic Data Analysis on Bio Block Placement for Sea grass Field in the Enclosed Bay)

  • 안효재;이중우;강석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3-185
    • /
    • 2015
  • 반폐쇄해역에서는 해수교환이 어렵고 육상에서 유입부하와 적조 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항상 수질과 저질이 악화되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어서 이의 개선을 위한 일환으로 해양식물(잘피)의 서식환경을 복원하여 해양정화에 기여하기 위한 친환경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양한 해상환경조건하에서 잘피의 서식은 변화므로 특히, 파랑의 극한 외력여건에 견디는 친환경 잘피 지지구조물 기술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잘피장 조성의 기반기술로 해양식생 지지용 바이오 블록을 개발하고 특히, 관광지 및 해양클러스터 단지로 대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영도해역에서 영도구가 야심차게 준비해오고 있는 해상낚시터 인근해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블록의 현장시범거치를 통해 잘피 등 해양식생을 유도하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대상구역에서의 파랑해석과 식생 조성 후에 파랑의 반응특성을 수치모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계산 결과는 대상지역에 적용할 사면 피복재로 바이오 블록의 규격을 결정하는데 반영될 것이며 후속 연구에서 실제블록의 제작과 현장거치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수산부산물에 대한 해양바이오산업 활용 의향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of companies to utilize fishery by-product s in the marine bio industry)

  • 장덕희;안소언;오철홍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81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a business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fishery by-products with the aim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these by-products into various industries. The research involved surveying 312 biocompanies across the country and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outh Korea, a leading seafood-producing country with a developed seafood processing industry, provides conditions necessary to utilize seafood by-products as raw materials for the marine bioindustry. Among the surveyed biocompanies, 38.5%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industrial activities involving the use of fishery by-products in the future,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interest within the bioindustry in utilizing marine and fishery by-products. Companies showed interest in diverse materials, such as scales, fish bones, skin, and kelp holdfast beyond those currently defined under the Fisheries By-products Recycling Promotion Act (officially unnamed, 2021). This suggests a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regulatory framework to accommodate these diverse biomaterials. Furthermore, we propose enhancing the efficiency of fishery by-product utilization by focusing on regional specialization in marine bioindustry. This involves utilizing existing legal framework for upcycling fishery by-products and fostering a regionally specialized marine bio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