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문화공간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Ocean Cultural Space developed on the Gadeokdo lighthouse 100th anniversary memorial (가덕도등대 100주년 기념관을 활용한 해양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Han,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494-506
    • /
    • 2010
  • On the crisis of international economy, the government is making an effort to seek economic growing motivation with the method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and 'low carbon green growth'. Furthermore, to promote maritime vessel traffic service related inefficient energy wastage was revealed and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was accepted because of high price of oil in the beginning of 2008. In this situation, I'm going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eco-friendly energy system in maritime vessel traffic service with the way of cutting the budget and expansion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hich was promoted to meet governmental 'energy saving plan for high price of oil'.

  • PDF

남해안 관광벨트 활성화를 위한 동.서협력체계 구축방안

  • Eom, Jeong-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23-37
    • /
    • 1999
  • 미래 학자들은 21세기를 해양혁명(Marine Revolution)의 시대로 예견하고 있으며, 세계의 선진국가들은 해양이 지닌 방대한 자원을 개발하고 해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해양관광은 전세계적으로 신관광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심이 얕은 연안, 섬과 섬사이, 해안 등은 미래의 공간자원으로써, 제2의 국토공간개발지역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21세기 국토개발구상(안)은 해양을 중심으로 U자형의 국토개발축을 구상하고 있다. 남해안축은 한려해상, 다도해의 역사 문화자원을 이용하여 "남해안국제관광벨트"를 조성하고 정기적으로 서해안 동해안과 연계하는 관광벨트를 조성하여 3면의 해안을 활용하는 관광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 추진중에 있는 남해안 관광벨트사업은 동 서화합의 물꼬를 트는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간 화합을 추구하는 새로운 전기를 모색하고 있다. 남해안 관광벨트사업은 산발적 부분적 개발을 지양하고 해양관광벨트 산업관광벨트 환경생태관광벨트로 공간의 다원화 전략을 세계적으로 수립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주민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소득의 극대화가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남해안을 국내 외 관광객을 대거 유치할 수 있는 국제 해양관광 선도지역으로 개발을 유도하며 영 호남 공동의 상징적 프로젝터로서 21세기 해양관광시대에 대비하고 동 서화합협력체제의 구축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 PDF

Identification of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Area Regarding Marine Spatial Planning: Applying Social Big Data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 Kim, Yoonjung;Kim, Choongki;Kim, Gangs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2
    • /
    • pp.122-131
    • /
    • 2020
  •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emerging strategy that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t coastal and marine areas based on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Regarding its methodology, usage rate of resources and its impa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patial planning.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coastal tourism, visitation pattern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across coastal areas. However, actions to quantify visitation pattern have been limited due to its required high cost and labor for conducting extensive field-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ose the usage of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to identify spatial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zone throughout coastal areas. We suggested the usage of GPS information from Flickr and Twitter, and evaluated the critical management zone by applying spatial statistics and density analysis. This study's results clearly showed the coastal areas having relatively high visitor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Applied Flickr and Twitter inform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field data, when proxy excluding over-estimation was applied and appropriate grid-scale was identified in assessment approach. Overall, this study offers insights to use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for reflecting size and usage rate of coastal tourism, which can be used to designate conservation area and critical zones forintensive management to promote constant supply of cultural services.

우리나라 최초 근대식 등대 발견의 역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 Han,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70-371
    • /
    • 2014
  •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바다의 관문이다. 인천 팔미도가 현존하는 최초의 등대임을 부인할만한 역사적 자료는 거의 없으나. 우리나라의 고지도를 살펴보면 그 이전 등대의 흔적들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이전 대한제국의 역사는 팔미도 등대 빠른 시기에 부산항에 설치된 등대 존재를 강력히 나타내고 있다.

  • PDF

해양치유정책 추진방향 연구

  • Hong, Jang-Won;Yun, I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1
    • /
    • 2018
  • 이 연구는 국내외 환경 변화와 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웰니스와 치유관광의 부상, 국내 치유 휴양관광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해양치유정책의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기후변화와 고령화, 일과 삶의 균형 추구와 같은 환경 변화 및 융합관광, 슬로우트래블 등의 인기를 배경으로 치유와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는 문체부 복지부 중심의 의료관광, 산림청이 주도하는 산림치유가 활성화되고 있다. 해양치유는 해양과 배후자원을 활용한 치유행위를 말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유성 및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다. 해양치유에 대한 낮은 인지도, 사회문화적 여건 미성숙, 법제도적 기반 미비, 해양공간의 특수성과 같은 제약 요인을 고려하여 향후 국내 해양치유정책은 법제도 기반 마련, 공간 및 인프라 구축, 자원 발굴 및 홍보를 중심으로 전개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팔미도등대 역사관 건립과정 소개

  • Lee, Deok-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72-374
    • /
    • 2014
  • 인천지역의 관광명소이며 우리나라 등대 역사의 산실인 팔미도등대에 등대의 가치를 조명하고 시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역사관을 건립을 추진하고, 그 과정을 소개하고자 함.

  • PDF

아름다운 어항 조성사례 - 김녕항을 중심으로

  • Gang, Seok-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0-221
    • /
    • 2018
  • 본 사업은 어항의 독특한 해양자연경관과 배후문화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아름다운 어항 만들기(김녕항)"를 통하여 관광 레져 친수 휴양공간으로서의 새로운 가치창출과 더불어 배후어촌과의 통합적 개발을 통한 명품어촌 어항의 미항을 조성하여 낙후된 어촌의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 PDF

UNESCO Mixed Heritage Concept Sustainable Preservation of Gochang Maritime Religious Relics (유네스코 복합유산 개념으로 본 고창 해양신앙유적의 지속가능한 보존)

  • HWANG Jihae;PYUN Sungchul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7 no.1
    • /
    • pp.180-195
    • /
    • 2024
  • Community beliefs of the coastal villages in Gochang are cultural activities and rituals manifesting the hopes and spiritual worlds of the locals who live off the sea and tidal mud. Along with their societal functions wishing for peace, maritime safety, and good catches, the values of the Jwajeongdam (How god came to be), Yuraedam (History of worshipping), and Yeongheomdam (Stories of miracles), as living heritage need to be reexamined according to the recent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community beliefs of the coastal villages in Gochang, where outstanding universal intangible and tangible values coexist, have been perpetually transmitted in interactions with tidal mud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s of the sea. They reinforce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UNESCO mentions and sustainability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Furthermore, a coastal area is endowed with international accessibility over regionality. Hence the community beliefs are charged with eco-cultural values, which its preservation and promotion should also focus on to provide policies and protection activities. In short, the tidal mud and community beliefs of coastal villages in Gochang, which according to the concept of UNESCO's "mixed heritage," meet the values for natural, cultural, and intangible heritage at the same time, and so must be approached not in the scope of points or lines, but also in surfaces when arranging protection initi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