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공간자원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GIS-based EEZ Policy Making Support System (GIS기반의 배타적 경제수역 정책결정지원시스템 개발)

  • Park, Eun-Ji;Kim, Kye-Hyun;Lee, Chu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83-188
    • /
    • 2008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기존의 연구에서 구축된 배타적 경제수역(EEZ) 해양자원정보시스템(MRIS)을 근간으로 다양한 해양자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출하고 EEZ 관련 의사지원과 정책결정을 위한 GIS기반의 EEZ 정책결정지원시스템을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구축된 MRIS를 이용하여 분산되어 관리되던 기존의 데이터와 매년 탐사 과정을 거쳐 추가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표준화를 수립하고 관리방안을 확정하였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해양데이터의 표출방안을 이용하여 EEZ 경계획정 협상 및 정책 결정에 있어 실질적 판단근거가 되는 EEZ에 대한 법령과 각국의 정책 및 EEZ 경계획정 사례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나아가 GIS를 이용하여 표출된 공간데이터를 다양한 공간 검색과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적인 방법으로 EEZ에 대한 중요정책 결정에도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향후 EEZ 내 자원분포 및 지 역 별 경제성 비교와 쟁점지역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함에 따라 국가 간 협상에서 우리나라에 보다 유리한 협상결과를 도출하는데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주변국과 경계획정에 있어 유리한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제반 정보의 제공과 함께 보다 효율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남해군 동갈화항을 활용한 어촌지역의 특화 발전 방안 연구

  • Sin, Dong-Hyeong;An, 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9-251
    • /
    • 2019
  • 본 연구는 수산자원, 어항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어촌뉴딜300사업 수산특화형 사업의 모델을 제시하였음. 수사자원이 풍부하고 어민들의 참여가 높은 갈화마을에서 수산특화형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음.

  • PD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cean Resort Complex in all Seasons at the East Coast of GyeongBuk Province (경북 동해안지역 전천후 해양리조트단지 조성방안 연구)

  • Lee, Joong-Woo;Lee, Myo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205-209
    • /
    • 2009
  • Recently, the increase of the size of GNP and the expansion of the foreign tour opportunities by the common 5 days work system in a week, reaction of the burden for visiting foreign countries, and expansion of airlines caused the rapid increase of overseas tour but slow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due to the price rise which might impact on the competitive power, and lack of tour infrastructure and attractiveness. As the wide area along the east coast of GyeongBuk Province has great amount of cultural, ocean and natural resources, it helps to get focused the tour industries and maximize the synergy effect through the mutual development coupling the resources and regions. On the basis of the potentials for the growth of east coast area to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resources, a ocean tour and resort complex for four seasons, which has s strong connection to the local areas resulting the wide tour bond, could help to improve the local economy and balance the development of local province, and furthermore, jump to the level of the center in the East Coast area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ocean space development status and usage at the advanced foreign countries, the new meaning of the ocean space at the tour and resort complex would be proposed to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in fit.

  • PDF

A study on GIS based management of the marine exploration data (GIS기반의 해양탐사자료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oo-Jun;Kim, Kye-Hyun;Song, Hyun-Oh;Yu, H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05-109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육상자원의 고갈로 해양광물을 개발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탐사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학적 특정으로 주변국과의 자원경쟁이 불가피하여 전략적 체계적 탐사자료의 관리와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하지만 탐사 분야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가 상이하여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해양자원에 대한 정밀탐사가 이루어지고 과학적인 정보제공이 요구됨에 따라 해양광물자원정보시스템이 구축 운영되고 있지만 몇 가지 제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히 시추 퇴적물 탐사 분야에 있어 GIS기반의 표출 가능한 대상항목을 분류하였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이는 위치기반의 분석결과 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해저 퇴적층에 분야의 과학적 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반도 주변에 해양광물자원의 부존 가능 지역을 파악하는데 있어 과학적 정보를 지원하고 나아가 광물자원의 매장량 추정이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정보제공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시추퇴적물의 깊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안과 더불어 3차원 정보 제공에 대한 연구와 모델링 결과를 통해 실제 데이터에이스 구축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Drying Shrinkage and Creep Characteristics by Strength Differences of Concrete Mixed with Admixture (혼화재료 혼입 콘크리트 강도 차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프 특성 평가)

  • Park, Dong-Cheon;Song, Hwa-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1.05a
    • /
    • pp.199-200
    • /
    • 2021
  • In the study, creep and dry shrinkag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material properties necessary for structural analysis such as column shortening and differential drying shrinkage. All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The mechanical properties as well as the specific creep and ultimate dry shrinkage value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value of the high-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were considered.

  • PDF

갯녹음해역 해조인공암초의 표면처리에 의한 바다숲 조성

  • 김형근;한규삼;손용수;박기영;정인학;김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67-368
    • /
    • 2001
  • 해조류 자원은 해양의 1차 생산자로서 어, 패류의 먹이원이 되고 산란장이나 생활공간을 마련해 주게 됨으로 연안생물자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근래 갯녹음 현상으로 암초지대에 서식하는 해조숲이 줄어들고 바다가 황폐화되고 있다. 연안어장에 여러 종류의 바다생물이 서식하고 적극적인 자원조성을 하려면 우선 해조밭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해조인공암초에 어떤 표면처리 조건이 바다숲 조성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될 수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옹도등대 해양문화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Park, Seung-Yeol;Choe, Su-Bong;Kim, Gan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35-337
    • /
    • 2012
  • 인천, 평택, 대산항 입출항 선박의 주요항로상에 위치한 충청권역 내 유일한 유인등대인 옹도등대를 민간에 개방함으로서 역할을 재조명하고, 등대 해양문화공간 체험을 통한 항로표지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옹도등대 민간개방시 발생되는 해결과제, 대책 등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옹도 주변 섬과 연계한 해양관광자원 개발을 통해 국민에게 다가가는 등대로 거듭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Trends and Plans of Subsea Space Crea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해저공간창출 및 활용기술 동향과 계획)

  • Taek Hee Han;Hyemin Hong;Sung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89-90
    • /
    • 2021
  • Undersea bases built in the deep sea are built in more extreme environments than in space. In addition, it requires the convergence of mechanics, electronics, shipbuilding, meteorology, and diving science, marine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geology. Undersea base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fusion of various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of extreme technology for undersea construction will be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in each field, and it will be applied to space and other fields, so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empt the latest technology.

  • PDF

Structural response monitoring system of large floating structures (대형 부유구조물의 구조응답 모니터링 시스템)

  • 김재동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4
    • /
    • pp.67-75
    • /
    • 1996
  • 일찌기 20세기 초반부터 지구의 마지막 남은 자원의 보고로서 또한 미래의 생화공간으로서 해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해양의 에너지/광물 자원의 개발을 위한 노력은 이미 1950년대 부터 시작되어 상당한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육상기피시설물(공항, 폐기물 처리시설, 원자력 발전설비 등)들의 부지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이 선진각국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가장 타당성이 높은 방안의 하난로서 각종 생산활동을 위한 플랜트를 대형 부유구조물 위에 설치하는 해상플랜트(Barge Mounted Plant, BMP)가 제안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설비를 비롯한 대형 프랜트를 부유구조물 위에 설치할 경우, 지진의 영향을 극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상의 파도, 조류, 바람, 일사에 의한 갑판의 열변형 등 불규칙적인 환경하중에 노출되므로 이러한 환경조건하에서 구조물이 설계 수명 동안 안전하게 기능을 다할 수 있는지를 세심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MP의 안전성 평가방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평가결과에 대한 합리성을 제고하는 한편, 이를 바타응로 현재까지는 설계/건조 경험이 전무한 초대형 부유구조물의 구조설계와 관련된 기초기술 및 응용기술을 확보하는 문제는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다.

  • PDF

A Study on Trends of Technologies for Maritime Safety (신개념 해양안전기술)

  • Lee, Jong-Gap;Kim, Hong-Tae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no.7 s.25
    • /
    • pp.39-46
    • /
    • 2008
  • 국제교역의 확대에 따라 선박을 통한 물동량의 증가와 이에 따른 선박의 고속화/대형화, 해양자원 개발 및 공간 활용을 위한 해양구조물의 증가와 대형화, 삶의 수준 향상에 따른 해양 관광 및 레저 활동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 해양사고의 위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인류의 미래 삶의 터전인 해양환경 및 자원의 보전을 위한 전 지구적인 요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를 통한 안전 및 환경보호를 위한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기구 및 관련 국가들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형 해상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도 대형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강화되는 안전 및 환경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고 우리나라 해양 산업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위해도 기반(risk-based), 정보 통신기술 기반 (ICT- based), 인적요소 (human element)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개념의 해양안전 기술의 기본개념 및 핵심기술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