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공간이용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oundation Mobile System Development for Ship Navigation (항해지원을 위한 기초 모바일 시스템 개발)

  • Kang, Dong-Woo;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25-26
    • /
    • 2011
  • 해안선 및 해안지형은 지진활동 및 화산활동 등으로 인해 해양의 지형은 때때로 변화한다. 때문에 해양 선박 경로에는 많은 지형 변화와 기상 조건 등에 의해 큰 위험이 존재한다. 선박들은 이런 위험을 방지 또는 대책마련을 위하여 많은 장비를 탑재하여 항해의 안전을 도모한다. 대형 선박의 경우 AIS 장비 등의 도움으로 항해사의 중요한 업무를 보조하고, 주변 상황 인지를 통해 위험요소를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하지만 대형 선박은 AIS 등과 같은 대형 장비의 탑재가 가능한 반면, 해양 근해만을 항해하게 되는 소형 선박의 경우 고가의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비용, 공간의 제약의 부담이 있다. 이 때문에, 모바일 시스템 이용하여 항해지도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면 비용과 공간의 제약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시스템 이용하여 해양선박의 항해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도 서비스 및 기상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Current Control for an AFE Rectifier Using Space Vector PWM (공간벡터변조방식에 의한 AFE정류기의 전류제어)

  • Jeon, Cheol-Hwan;Hur, Jae-Jung;Yoon, Kyoung-Kuk;Yoo, Heui-Han;Kim, S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4
    • /
    • pp.498-503
    • /
    • 2019
  • Electric propulsion ships are gaining widespread interest in the marine industry owing to extreme air pollution concerns. Consequently, several studi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for improving the power quality.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at incorporate passive filters, notch filters, and active filters for reducing the harmonic content in the input current of a conventional diode front end rectifier. Among such filters, the active front end (AFE) rectifier is considered as an excellent technology. In this paper, current control for an AFE rectifier employing space vector PWM (Pulse Width Modulation) is proposed. Conventional current control methods for the AFE rectifier, hysteresis, SPWM (Sinusoidal Pulse Width Modulation), and SVPWM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were simulated by employing the PSIM software tool for analysis and comparisons. The results corroborate that SVPWM has the simplest structure and provides the best performance.

Finite Element Model for Analysis of Multiple Floating Breakwaters (다열 부유식 방파제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모형)

  • 박우선;이호찬;정신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256-262
    • /
    • 2002
  • 최근 육지 환경의 부족, 육상자원의 고갈 및 휴양시설의 개발에 따라 해양 공간 이용문제가 대두되면서 항만의 연안역 이용이 다변화되고 있다. 해양의 효율적 개발과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파제의 설치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착저 중력식 방파제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여러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of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for the Quantitative Marine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정량적인 해양환경패턴 분석을 위한 이변량 공간연관성 적용)

  • Hwang, Hyo-Jung;Choi, Hyun-Woo;Kim, Tea-R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155-166
    • /
    • 2008
  • The quantitative bivariate spatial pattern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water quality and nutrients data of Masan Bay, and for this analysis Pearson's r as aspatial correlation measurement, Moran's I as spatial association measurement and L index as integration of aspatial and spatial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aspat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mplicated in L index, Pearson's r as well as Moran's I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respectively, and Pearson's r and Moran's I were combined with 9 types, and also quantile of L index value was used for each of those 9 types. Finally, these types were defined as 5 groups having not overlapped L index ran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result of L index groups, bivariate water quality and nutrients showed no aspatial correlation regardless of spatial association in February and July, but they showed aspatial correlation having clustered spatial pattern in May and November.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ing the guideline for the interpretation of aspatial correlation and spatial association using L index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marine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using quantitative index for further study.

  • PDF

Identification of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Area Regarding Marine Spatial Planning: Applying Social Big Data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 Kim, Yoonjung;Kim, Choongki;Kim, Gangs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2
    • /
    • pp.122-131
    • /
    • 2020
  •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emerging strategy that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t coastal and marine areas based on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Regarding its methodology, usage rate of resources and its impa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patial planning.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coastal tourism, visitation pattern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across coastal areas. However, actions to quantify visitation pattern have been limited due to its required high cost and labor for conducting extensive field-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ose the usage of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to identify spatial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zone throughout coastal areas. We suggested the usage of GPS information from Flickr and Twitter, and evaluated the critical management zone by applying spatial statistics and density analysis. This study's results clearly showed the coastal areas having relatively high visitor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Applied Flickr and Twitter inform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field data, when proxy excluding over-estimation was applied and appropriate grid-scale was identified in assessment approach. Overall, this study offers insights to use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for reflecting size and usage rate of coastal tourism, which can be used to designate conservation area and critical zones forintensive management to promote constant supply of cultural services.

해양휴양복지·해양치유 국민인식조사 결과 분석

  • Yun, In-Ju;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04-306
    • /
    • 2018
  • 이 연구는 해양휴양복지 해양치유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통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기초자료와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2018년 8월 2일부터 9일까지 1주일간 웹과 모바일을 통해 조사한 557명의 응답자 중 82.9%는 해양수산부의 해양휴양복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85.6%가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91.6%는 해양치유를 체험할 의향이 있으며 특히 바다 경관이 주는 스트레스 완화와 신체건강 증진 효과에 기대가 높았다. 응답자들은 해양휴양복지 서비스 대상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과 자살 중독방지, 지역주민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해양치유 공간과 시설, 이용 요금, 안전과 환경 등 해양치유 참여 시 실제적이고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접근성보다는 주변환경, 질병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조류의 영향을 받는 가두리의 거동 해석

  • 이미경;이춘우;차봉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8-69
    • /
    • 2003
  • 외해에서 가두리를 이용하여 수산생물을 사육하는 방법은 연안에서 수산생물을 사육하는데 발생하는 해양오염 및 양식 공간의 제약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외해에 부설되는 가두리는 대형의 시스템이며, 그 관리와 수리가 불편하고 외양의 해양환경에 견딜 수 있도록 부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 (중략)

  • PDF

유용 수산자원생물에 의한 갯벌의 이용 -장봉도 남단 갯벌을 이용하는 생물의 연변화-

  • 홍재상;서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83-484
    • /
    • 2001
  • 갯벌 생태계는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습지생태계의 일부분으로 많은 해양생물에게 있어서 중요한 서식처이다. 한반도 서ㆍ남해안에 광활하게 펼쳐진 갯벌은 해양생물의 산란장으로서,다양한 생물들이 생활사중 일부, 특히 어린시기에 보육장으로 그리고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갯벌에 대한 관심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 시ㆍ공간 및 우점종의 분포양상에 치중한 면이 우세하고, 비교적 최근에 들어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중에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