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공간이용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Waterfront Development Poli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Hub-Port;The Case of Gwangyang Port (국제물류 거점항만의 친수공간화 정책방향;광양항을 중심으로)

  • Jeong, B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7a
    • /
    • pp.313-342
    • /
    • 2007
  • 본 논문은 국제물류 거점항만인 광양항을 사례로 하여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정책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항만친수공간의 기본이론과 개발실태의 실질적 분석을 토대로 광양항에 항만친수공간을 개발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계획 ${\cdot}$ 제도적인 시각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항만친수공간의 개념과 유형/외국 항만친수공간의 개발사례/항만친수공간 개발의 문제점/광양항의 항만친수공간화 정책방향 및 결론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광양항 친수공간의 실제 대상지는 컨테이너항 지구와 묘도지구이다. 컨테이너 항만의 부지에는 이용자 및 시민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는 녹지공간의 조성과 함께 친수성 항만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묘도지구는 해안매립과정에서 소실된 자연생태계를 복원하여 자연친화적인 지속가능한 자연의 이용방안을 마련하며, 이의 일환으로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한다. 이와 더불어 광양항 친수공간의 개발전략들에는 항만시설의 개방과 홍보활동의 강화, 선항만 개발과 항만재개발시 친수공간확보 의무화, 항만친수공간 확충목적의 관련제도 정비, 항만친수공간 기본계획의 수립, 항만친수공간 지구의 지정, 항만친수공간 관련제도의 정비, 항만친수 행적기관조직의 정비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A Hydraulic Model Test of Wave Transformation in the Surf Zone (쇄파대에서의 파랑 변형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

  • 정신택;채장원;정원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40-45
    • /
    • 1991
  • 항만 건설, 매립, 임해 발전소의 걸선, 호안 축조 및 신공간 개발 등 연안역 개발시 설계 환경요소인 파랑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이러한 사업을 경제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구조물은 대부분 쇄파대내에 위치하므로 쇄파후의 파랑변형 및 Runup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파수조를 이용하여 쇄파후의 파고 및 Runup 등을 관측하여 경험식 및 해석해와 비교하였다.(중략)

  • PDF

Steric sea level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for a $CO_2$ quadrupling (북서 태평양에서의 지구온난화로 인한 $CO_2$ 4배증시 해수면의 공간적 변화)

  • 최병호;김동훈;최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9a
    • /
    • pp.188-194
    • /
    • 2000
  • 지역적 기후변동은 전구평균 변화와는 다른 양상을 가진다. 그러나, 현재 전구적 기후변동과 해수면의 변화가 국지적으로 미칠 영향에 대한 추정능력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CAR(국립 대기 연구소)의 CSM (Climate System Model) 버전 1.2를 이용하여 전구뿐만 아니라 국지적인 시뮬레이션을 함께 수행하였다, 특히 북서태평양과 그 부근지역에 대한 해수변화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중략)

  • PDF

하계 동중국해 해양환경과 엽록소 $\alpha$량의 공간적 분포

  • 윤양호;박종식;서호영;황두진;김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2-213
    • /
    • 2001
  • 동중국해는 한국, 일본, 중국의 서로 인접하고 있어, 이해 당사국간의 공동해역 이용은 물론 대마난류와 중국 대륙 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가 서로 상접하여 복잡한 환경특성을 나타내는 해역이다. 또한 본 해역은 우리나라 근해어업자원의 어획 및 관리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본 해역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인 연구성과는 매우 드물다. (중략)

  • PDF

판형배양기를 이용한 Isochrysis galbana의 고밀도 대량생산

  • 윤문근;박흠기;박기영;이채성;이정용;김두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87-288
    • /
    • 2001
  • 해양미세조류인 Isochrysis galbana는 그들의 우수한 영양적인 특성, 특히, 필수영양소 중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어류뿐만 아니라 패류, 갑각류의 유생사육 시먹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먹이로써 공급하기 위한 기존의 먹이생물 배양기술은 획일적 인 배지의 선택, 단순한 환경조건 (pH, 온도, 빛의 세기, 기체공급속도)등으로 인해 낮은 세포농도 밖에 키울 수가 없다. 이는 먹이확보를 위해 배양 공간을 그 만큼 넓게 차지하게 되며, 이로 인한노동력의 증가와 시설비의 증가는 결국 생산비의 증가를 초래한다. (중략)

  • PDF

Oceanic circulation on the surface layer in the South Indian Ocean by Topex/poseidon satellite (Topex/poseidon위성을 이용한 남인도양의 표층 해양순환 연구)

  • 윤홍주;김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05a
    • /
    • pp.755-758
    • /
    • 2001
  • Topex/poseidon 위성의 자료를 통하여 남인도양의 암스테르담- 크호제트- 케르겔른 지역에 대한 표층 순환과 해수면 변화의 시ㆍ공간적인 해석을 쉽게 수행 할 수 있었다. 각 지역에서의 시ㆍ공간적인 변화 특성들을 보면, 암스테르담지역은 서쪽으로 전파하는 로쓰비파가 존재한다. 이때 이 파는 동쪽으로 전파하는 남극순환해류의 영향을 받는다. 1993년 늦가을에서 초겨울 동안에 분지의 동부지역에서 해수면이 급격히 떨어졌다. 이곳은 남극순환해류(아규라스순환반류전선과 아열대전선)의 북부에서 발전하는 시계방향(cyclonic)의 와동류가 예외적으로 강하게 북쪽으로 상승했다가 이어서 급격히 남쪽으로 하강했던 것과 관련된다. 쌩뽈지역은 5cm 정도의 해수면 진동과 함께 약 130일 정도의 주기성을 보였다. 서쪽으로 전파하는 신호인 자유 표면의 진동이 실제로 조사되었다.

  • PDF

다공성 기질 생태 플랫폼을 이용한 해안 및 해저 환경 복원 방안

  • Lee, Tae-Hyeong;O, Yeong-Tak;Gang, Mu-Seok;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47-149
    • /
    • 2019
  • 해수 온도의 상승과 해양 오염의 증가로 근래 국내 해안에서도 갯녹음이 확산되면서 바다숲이 축소되고 있다. 특히, 온난류의 유입에 의한 무절 석회조류의 난입과 해수에 함유 농도가 증가한 칼슘이 석출되고 해저 암반을 뒤덮어 해조류의 포자 활착 공간을 없애는 백화현상이 확산되면서 바다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포자가 빠르게 활착하여 안전하게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먼저 육상에서 모판의 기능을 제공하여 해조류의 포자를 착상하여 성장시킨 후 해저로 이식하는 것으로 바다숲과 해안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공성 기질 생태 플랫폼을 디자인하고 이의 특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Monitoring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Saemangeum Sea Area Using the Thermal Infrared Satellite Data (열적외선 위성자료를 이용한 새만금 해역 해수표면온도 모니터렁)

  • Yoon, Suk;Ryu, Joo-Hyung;Min, Jee-Eun;Ahn, Yu-Hwan;Lee, Seok;Won, Joong-S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5 no.4
    • /
    • pp.339-357
    • /
    • 2009
  •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ational project in 1991 to reclaim a large coastal area of 401 km$^2$ by constructing a 33-km long dyke. The final dyke enclosure in April 2006 has transformed the tidal flat into lake and land. The dyke construction has abruptly changed not only the estuarine tidal system inside the dyke, but also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utside the dyk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change of SST distribution using the Landsat-5/7 and NOAA data before and after the dyke completion in the Saemangeum area. Satellite-induced SST was verified by compared with the various in situ measurements such as tower, buoy, and water samp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ed in above 0.96 and RMSE was about 1$^{\circ}C$ in all data. 38 Landsat satellite images from 1985 to 2007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SST distribu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completion of the Samangeum dyke's construction. The seasonal change in detailed spatial distribution of SST was measured, however, the estimation of change during the Saemangeum dyke's construction was hard to figure out owing to th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Monthly averaged SST induced from NOAA data from 1998 to 2007 has been analyzed for a complement of Landsat's temporal resolution. At the inside of the dyke, the change of SST from summer to winter was large due to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summer. In this study, multi-sensor thermal remote sensing is an efficient tool for monitoring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ST in coastal area.

Performance improvement of long-range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n deep water using spatiotemporal diversity (심해 장거리 환경에서 시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수중음향통신성능 향상)

  • Park, Heejin;Kim, Donghyeon;Kim, J.S.;Hahn, Joo Young;Park, Joung-S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5
    • /
    • pp.587-592
    • /
    • 2019
  • ISI (Inter Symbol Interference) reduces the performance of UAComm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UAComm can be improved through the spatiotemporal diversity method that is the combination of spatial diversity and temporal diversity methods. By using spatiotemporal diversity, the array aperture was reduc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AComm system. It is also verified using the experimental data of BLAC18 (Biomimetic Long range Acoustic Communication 18) conducted in October 2018.

On the Concept of Oceanic Architecture With Design Characteristics (디자인특성을 고려한 해양건축개념의 설정에 관한연구)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12 no.2
    • /
    • pp.363-372
    • /
    • 1998
  • Oceanic architecture means architectural space created by directly or indirectly using the features of the ocean in the design. A range of marine structure for residential, leisure, cultural, and industrial uses has been and will be created by adopting these features in spatial composition, program, function, and form. This is a clearly distinct category of architecture which can produce unique and creative environments for man's living. Here this kind of architecture is called oceanic architecture. Nowadays the demand for ocean space is increasing and in the near future the law of oceanic architecture will b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Even with the present trend in design practice, few academic researches on the new architecture have been executed from an architectural design viewpoint.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ign aspects of oceanic architecture. In this paper firstly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oceanic architecture are dealt. And then the concept architecture is defined on the ba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