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공간데이터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도시 인접 섬마을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해양문화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경남 창원시 실리도를 중심으로)

  • 엄민호;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45-147
    • /
    • 2021
  •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은 농어촌지역의 섬마을과는 차별화된 해양문화콘텐츠가 필요하나, 섬마을 내 농어업을 영위하는 주민들의 생업 형태는 대부분 유사한 실정임.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 인접한 섬마을의 해양공간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실리도만의 특색있는 해양문화콘텐츠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함

  • PDF

Current Status of Domestic Marine Data Construction for Maritime Digital Twin (해양 디지털트윈을 위한 국내 해양 데이터 구축 현황)

  • Chung, Ki-Sook;Jung, Woo-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71-72
    • /
    • 2023
  • 해양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해서는 바다와 인접한 육상공간, 해상 및 해저 공간 등의 공간 정보와 시시각각 변하는 해양 환경 데이터, 그리고 해양 생태계 및 해양 자원 등 관련된 해양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트윈에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해 필요한 해양 데이터의 국내 제공 현황을 정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UGC Support WebGIS System for Marine Spatial Data (웹 GIS 기반 해양 공간데이터의 사용자 콘텐츠 제작 지원시스템 개발)

  • Oh, Jung-Hee;Choi, Hyun-Woo;Kim, Sung-Dae;Lee, Charm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5
    • /
    • pp.13-25
    • /
    • 2011
  • Until now, most of the Web GIS system has been developed with one-sided service type that provides pre-built spatial information to users. Recently, however, interactive web system is getting attention because users can create directly spatial information contents that meet their need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had a aim to develop a UGC(User Generated Contents) support system for marine science researchers who can generate spatial data by themselves on the web. The main advantage of this system is that it provides marine survey data and marine spatial information that needed to work for marine science research. Furthermore, it provides the functions of extracting of coastline as point data for their marine study area, and making of the spatial planning map for marine field survey work and marine science thematic maps for exploratory analysis after research survey. Such kinds of interactive UGC support system gives researchers a chance for utilizing marine spatial information more easi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ing of the efficiency of research works, as well as increasing of the utilization of marine spatial data.

AIS 및 해양공간정보 융합 분석을 통한 선박의 주요 통항로 및 통항영역 연구

  • 엄대용;윤은진;이방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25-326
    • /
    • 2022
  • 2020년 AIS 자료와 해양용도구역 정보를 종합해 월별/해역별 주요 선박 통항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연안의 주요 선박 통항로 영역을 유효·비유효 구역으로 구분하여 향후 빅데이터 기반의 통합 항로 예측에 적용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선박 해양사고정보, 해양에너지, 수산 등의 해양공간계획(MSP) 정보를 추가·분석할 예정이다. 나아가 국가어항을 중심으로 항만별 분석, 화물선·여객선·어선 중심의 선종별 분석 정보로 확대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항로 예측 기술의 입력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Water depth Data Management System (다목적 수심체계 구축 사례 및 활용연구)

  • Kim, B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9-111
    • /
    • 2017
  • 수로조사 정보DB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해양정책 수립과 신속하고 다양한 해양공간정보 제공에 부응코자 해양공간정보 수요자 중심이 관리 및 데이터 활용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해양영토관리, 재난 및 재해, 선진형 국민체감 해양정보 제공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 PDF

A Study on Developing XML Marine GIS metadata (XML 형식의 해양GIS 메타데이터 작성에 관한 연구)

  • Oh, Se-Woong;Park, Jong-Min;Suh, Sang-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3
    • /
    • pp.247-252
    • /
    • 2004
  • It's important to develop Metadata standard to manage a large of marine geospatial data such as observation, ocean survey, satellite image more effectively. If we use metadata in Marine GIS we can make sense marine geospatial data, make the most of marine dataset.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work and NGIS's standard are a good example to illustrate metadata standard's importance. But we don't have metadata standard for marine dataset, so it's difficult to search and use geospatial data In this paper, we presented common marine metadata element, and composited metadata implementation schema. Finally we constructed marine GIS metadata editing tool..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management of Marine framework data (해양기본지리정보 구축 및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박흥기;원종갑;손은정;박찬혁;조현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41-447
    • /
    • 2004
  •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국토환경에서 해양공간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육상 및 해상의 지리정보는 관련기관, 민간부분 및 일반인에게 확산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간접자본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계획에 입각하여, 21세기 디지털 해양건설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하여 해양지리정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지리정보체계(MGIS: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사업의 일환으로 해양기본지리정보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해양기본지리정보의 구축 시 필요한 필수항목으로 도출되었던 항목을 기준으로 데이터 모델링 및 데이터구축지침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향후 NGIS의 통합을 고려한 국가차원의 해양기본지리정보 구성(안)을 제시하였으며 데이터의 품질기준,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ENC service and investigated related law of database distribution (전자해도 (Database)의 유통체계 수립을 위한 국내법적ㆍ비교법적 고찰)

  • 서수경;서상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82-86
    • /
    • 1999
  • 우리 나라는 3차년도에 걸쳐 전자해도 및 수치해도를 구축하였고, 1999년도까지 우리 나라 전역에 대하여 전자해도 및 수치해도의 구축이 완료될 예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데이터를 구축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는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원활하게 공급할 것인가를 고민해야한다. 현재까지 사용되어 오던 기존의 종이해도와는 전혀 다른 형태의 새로운 생산품인 전자해도는 근본적으로는 선박의 안전항해와 해난사고 예방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었으나 해양정보의 공간정보화라는 측면에서 해양환경 보호 그리고 효과적인 해양행정 관리 둥 해양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종이해도와 전혀 다른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전자해도 데이터를 공급하는데 있어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거대한 시장에 적합하고 데이터를 공급하고 사용하는 동안 그리고 전자해도 데이터를 이용한 또 다른 상품을 제작할 때 상업적 측면에서나 안전성 측면에서 데이터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급 체계를 채택하여 이 데이터의 수요자들이 보다 좋은 품질의 공간정보와 다양한 공간정보 상품을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된 저작물인 전자해도의 유통체계를 확립하는데 있어 국내 저작권법과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유통에 대한 국제 상거래 관념을 비교 분석하고 외국의 전자해도 유통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 나라에 적합한 전자해도 공급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공간분석을 통한 연안해역 해상교통망 식별

  • 조익순;이정석;김학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57-58
    • /
    • 2023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급증하는 해상풍력단지 등 대규모 해양개발 행위로 인해 무분별한 해역을 점용하게 됨에 따라, 과거 관습적으로 이용해오는 해상교통로와 상충되어 발생하는 사회적 충돌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선박 대형화 및 자동화, 자율운항선박 등장 등 해상교통환경 변화에 따라 안전한 연안 해상교통환경 조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모든 연안해역의 해상교통 흐름 및 교통밀집도 분석에 따른 관습적 해상교통망을 식별하고, 이를 지정·구축하고자, 빅데이터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해양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검토 및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 및 식별된 결과는 DB화하여 디지털 GIS 관리시스템과 연계하도록 추진중이다.

  • PDF

A Study on the Ferry Sewol Disaster Cause and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with Big Data : In terms of ICT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and Maritime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세월호사고원인과 빅데이터 해양방재정보화연구 -ICT행정공간정보화와 해양방재시스템개발 측면에서-)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6
    • /
    • pp.567-580
    • /
    • 2016
  • In recent years, our society, because of the arrival of a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ICT has entered into future smart society and the ubiquitous era. So it can be a notable turning point in the marine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big data, aspects of the era chang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rive a desirable vision for the big data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terms of ICT maritime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as preparedness for the maritime disaster by applying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Soon this study derived a successful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trategy as preparedness for the maritime disaster like Ferry Sewol Disaster. It proposed the big data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ystem with the use of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zation as big data inform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leadership strategy of the big data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smart society. Eventually in 2030 to around, In order to still remain our marine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as a leading ICT n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ready the advanced Big Data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system In terms of prevention of incidents like Ferry Sewol 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