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습지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its Paleoenvionment of the Middle Part of the Coastal Plain Gangweondo, Korea. (강원도 중부(주문진-양양) 해안평야의 형성과정과 고환경)

  • 오건환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0 no.1
    • /
    • pp.53-68
    • /
    • 1996
  • 강원도 주문진에서 양양에 이르는 해안평야의 지형형성과 고환경을 신석기유적의 기초조사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4기 최종빙기의 최성 기에 해당되는 15,000y.B.P. 경에는 연구지역은 해수면의 하강에 따른 연장하천의 개석곡으 로서 아한대의 침엽수림의 육상영역하에 있었다. 2. 15,000y.B.P.경 이후 해수면은 기온의 호 전으로 7,500y.B.P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상승하였고 이에 따라 개석곡은 연장하천의 후퇴로 육성에서 얕은 하성으로 바뀌었다. 3 해수면 상승은 7,500y.B.P. 이후 빨라지면서 해진 (transgression)으로 되었고 그결과 개석곡은 4,000y.B.P.경에 이르러 하성에서 내만 또는 익 곡의 기수성으로바뀌게 되었다, 이 기간은 후빙기의 이른바 고온기(hypsithermal period)로 서 낙엽활엽수 시대였고 내만 또는 익곡의 가장자리에서는 수생식물이 생육하는 습지환경으 로 변모되었다. 4. 개석곡을 내만 또는 익곡으로 변모시킨 해진은 1,500yB.P.경까지 이어지 면서 지금의 고도에서 안정되었다. 그 결과 내만 또는 익곡의 만입부에서 사주가형성되면서 내만 또는 익곡은 곳에 따라 담수 또는 기수역의 석호로 변하였고 기후는 이전의 고온시대 와는 달리기온은 조금식 하강하는 한랭기후로 서서히 변모시켰다. 5. 석호는 1,000y.B.P. 경 에 이르는 동안 배후로부터 운반된 하천의 토사와 전면의 풍성사 그리고 무성하게 생육하는 수생식물에 의해 서서히 고석호로 등장되기 시작되었다. 6. 1,000y.B.P.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하천의 토사와 풍성사의 퇴적증가로 육화가 가속되면서 본래의 개석곡은 매적곡으로 등장되었고 그 결과 지금의 해안평야가 형성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Legged Walking Robot Based on Jansen Kinetics (얀센 키네틱스를 기반으로 한 보행 로봇 개발)

  • Kim, Sun-Wook;Kim, Yeoun-Gyun;Jung, Hah-Min;Lee, Se-Han;Hwang, Seung-Gook;Kim, D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4
    • /
    • pp.509-515
    • /
    • 2010
  • In this paper, the mechanism that can walk efficiently in wet land or sand area is proposed. A vision camera is attached to the mechanism, which makes a kind of biologically inspired robot for coast guard. This visionary information enables the biologically inspired robot to react in peripheral environment by a soft-computing algorithm. In addition, the biologically inspired robot can achieve the mission appointed by a programmer connecting with outside, based on RF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biologically inspired robot that can operate most adaptively in sand and wet surface based on Theo Jansen mechanism.

Coastal Zone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의 해안관리 -New Jerseyization의 반성과 연방정부 연안역관리 프로그램의 확산-)

  • Yu, Keun-B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4
    • /
    • pp.481-496
    • /
    • 2009
  • Every coastal area exhibits its own unique landscape ow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natural and cultural processes. Coastal barrier islands well show the cultural aspects of American coastal landscapes. Some 47% of barrier island area was occupied by urban and built-up area in New Jersey, while some 5% in Georgia. Tourism-related development is back to in the mid 19C. in N.J. due to the closeness to heavily populated areas such as New York and Philadelphia. Developments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astal processes caused New Jerseyization, the destruction of the beauty or naturalness. It was mainly due to the lack of growth-control policies and the foresight for the future coast in the processes of legislation. North Carolina's islands experienced an increase of 269% in urbanized acreage between 1956 and 1976. However, N.C. exercised her wisdom to recover the naturalness of the coastal environs: all engineering structures are banned on the beaches. Nine out of 13 barrier islands in Georgia exist in the wilderness condition owing to her unique history. The remaining islands still experienced the least development. After the Civil War most of Georgian islands were owned by rich families and maintained as wilderness. In the 1970s most of the uninhabited islands were sold or donated to research institutes or governmental agencies.

Management Methods and Vegetation in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Jindo-gun, Jeonnam (전남 진도군 관매도 해안 방풍림의 식생과 관리방안)

  • Kim, Ha-Sou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1
    • /
    • pp.5-1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that forms a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oast of Gwanmaedo located in Jodo-myeon, Jindo-gun, Jeollanamdo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Korea from December 2005 to April 2007 and to suggeste the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of coastal windbreak areas. P. thunbergii community, a coastal windbreak forest of Gwanmaedo, was classified into disturbance, growth,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according to major companions species and vegetation types. P. thunbergii community of disturbance and growth vegetation needs active management through tree thinning, mowing, weeding out, use of rest space, and felling sick pine trees. P. thunbergii community of mixture, stability, and back mountain vegetation needs active preservation of a coastal windbreak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by making a windbreak walk and a forest buffer zone and inducing vegetation succes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ecological management method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ctual state of distribution by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astal windbreak areas such as management of beaches and surrounding area of idle lands, restoration of back wetlands, inhibition of foreign plants, maintenance of diversity of species and habitats, and prevention of aging and spread of damage from insects.

The Climatic Change during the Historical Age inferred from Vegetation Environment in Alpine Moors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고산습지의 식생환경과 역사시대 기후변화)

  • Yoon, Soon-Ock;Kim, Minji;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69-83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from pollen compositions of alpine moors i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Mujechineup at Mt. Jeongjok, Yongneup at Mt. Daeam, Jilmoineup at Mt. Odae and Wangdeungjaeneup at Mt. Jiri including moors at Mt. Jeombong. It can be found that the alpine moors were less interfered by human than low moors during the past 2,000 years of the historical age. Based on dominant periods of Pinus and Quercus, pollen compositions of the alpine wetlands, climatic environments of vegetation and historical records,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during three periods such as approximately 2,000~1,000 yr BP, 1,000~400 yr BP and 400 yr BP~present are examined. It was warmer during the period of 1,000~400 yr BP than 2,000~1,000 yr BP. The period of approximately 400 yr BP indicate the coldest climate of Little Ice Age. This study finds dominances of Quercus, low NAP/AP ratios, obvious divisions of pollen zones and human interference after 400 yr BP from pollen compositions of the alpine moors during the historical age. Human interference in the high moors becomes obvious after approximately 400 yr BP, indicating that there is a time lack of approximately 1,500~2,000 years between the alpine and low moors.

Design of Geocoder service for LB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LBS를 위한 지오코더 서비스 설계)

  • Han, Eun-Young;Choi, Hae-Oc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118-122
    • /
    • 2003
  • 본 논문은 무선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위치정보의 응용서비스인 위치기반서비스의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는 지오코더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는 망이나 GPS 등의 측위기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등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최근 부가가치가 기대되는 서비스이다. 지오코더 서비스는 주소 등의 요청에 대해 X, Y, Z 등으로 표현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역으로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에 대해 주소 등을 포함한 정규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역지오코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국내의 많은 웹 기반의 GIS 서비스들이 지형지물 등에 의해 지리적인 위치를 탐색하는 지오코딩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나, 지리 정보에 대한 각각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들이 사용되고 있어, 확장된 활용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환경의 발전에 따른 효율적인 지리적 위치정보의 활용을 통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동향을 고려한 정규화 된 지오코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오코더 서비스를 위하여 기술규격 범위와 요구기능 정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정규화 및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여, 국내 무선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주소 정의에 있어서 국내 주소체계를 충분히 분석하여 구축하였다. 이는 본 연구자가 LBS 표준화 포럼을 통하여 작성 중인 '지오코더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규격'을 수용한 것이다.적으로 분석하고, 지형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가장 필요한 해안습지 지형분류도를 작성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해안습지 지형분류체계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성과를 비교하여 시안을 작성 표준화를 위한 첫 단계 시도를 소개하였다.분석 결과는 문장, 그림 및 도표, 장 끝의 질문, 학생의 학습 활동 수 등이 $0.4{\sim}1.5$ 사이의 값으로 학생 참여를 적절히 유도하는 발견 지향적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장의 요약은 본문 내용을 반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공통과학 과목은 새로운 현대 사회에 부응하는 교과 목표와 체계를 지향하고 있지만 아직도 통합과학으로서의 내용과 체계를 완전히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7종의 교과서가 교육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괴리가 작아진다. 이 결과에 따르면 위탁증거금의 징수는 그 제도의 취지에 부합되고 있다. 다만 제도운용상의 이유이거나 혹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비합리적인 투자형태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

  • PDF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 심현보;서석민;최병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0 no.1
    • /
    • pp.25-34
    • /
    • 2002
  • The halophytes were investigated on Gyeonggi Bay from Aug. 1999 to Oct. 2001. The survey was conducted at 38 areas including natural salt marshes, dunes, abandoned salt farms and bank areas. During this study 46 species of halophytes were collected in the areas. Among the halophytes the following 7 species were found at natural salt marshes only; Triglochin maritimum L, Carex scabrifolia Steud., Salicornia herbacea L., Suaedu australis (R. Br.) Moq., S. martima Dum., S. japonica Makino, S. malacosperma Hara, on the other hand 8 species at dunes only; Glehnia littoralis Fr. Schm., Cnidium japonicum Miq., Messerschmidia sibirica L., Ixeris repens A. Gray, Corispermum stauntonii Miq., Vitex rotundifolia L. fil., Ischaemum anthephoroides Miq., Carex kobomugi Ohwi. The distributions of halophytes in each regions are as the followings : Isl. Gyodong-do 21 species, Isl. Seokmo-do 10 species, Isl. Ganghwa-do 28 species, Isl. Jangbong-do 16 species, Isl. Sin & Si-do 10 species, Isl. Daemuui-do 23 species, Isl. Deokjeok-do 23 species, Isl. Ijak-do 10 species, Isl. Yeongheung-do 29 species, Soyra 25 species, Isl. Daebu-do 15 species, Ssangsong-ri 6 species, Hogok-ri 16 species, Maehyang-ri 10 species.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Coastal Lagoon Ssangho, Osan-ri, Yangyang-county, Gangwon-province in the Korean Peninsula (강원도 양양 오산리 쌍호 일대 Holocene 환경변화)

  • YOON, Soon-Ock;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2
    • /
    • pp.41-52
    • /
    • 2010
  • The paleovegetation environments relevant to the geomorphic properties were constructed by pollen analysis in the coastal dune (S1) and marginal trench (S4) of Ssangho at the Osan-ri site. The organic sand layer in the coastal dune (S1) accumulated on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correlates to approximately 4,000 yr BP and the pollen zone can be divided with a boundary of approximately 2,000 yr BP. Pinus thunbergii definitely dominated and a small quantity of Quercus. Pollenzone I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AP and Compositae. The pollenzone II as the dominant period of NAP like Gramineae, Artemisia and Fagopyrum shows the properties of agricultural period. During the times of accumulation of upper organic layer in alluvial plain (S4), broad-leaved trees such as Alnus were dominant and Compositae, Gramineae, Artemisia, Typha, Umbelliferae and Persicaria show the high occurrence rates. The pollen composition of S4 indicates the agricultural activities with the dominance of NAP and correlates to the pollenzone II of the coastal dune (S1).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Suncheon Bay (순천만 수저질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k;Heo, Sung-sil;Choi, Jeong-min;W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10
    • /
    • 2019
  • 순천만은 순천시의 남쪽에 위치하여 여수반도와 고흥반도의 사이에 있는 만 지형 형태로 만 전체를 순천만이라고도 하나, 보통 고흥군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의 만을 여자만이라 하고 만내부에 위치한 여자도라는 섬의 위쪽으로 순천시의 해안하구에 형성된 지역을 순천만이라 일컫는다. 순천만은 순천시에서 유입되는 동천과 이사천 및 해룡천의 하류에 형성되어 있어서 육지부에서 유입되는 퇴적물과 유기물로 인하여 갯벌과 갈대등이 잘 형성된 습지로서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 갯벌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004년에는 동북아 두루미 보호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였고, 2006년 1월 국내 연안습지로는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Suncheon Bay"로 등록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 순천만습지에 형성되어 있는 갯벌($28.0km^2$)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서, 넓은 사니질 갯벌과 갈대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는 생태계의 보고(寶庫)이자 소중한 생태자원으로서, 순천시에서는 순천만을 자연생태공원으로 지정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각종 자연학습자료들과 영상물들을 갖춘 생태전시관과 갈대숲 탐방로, 용산전망대, 야생화 정원, 담수습지, 갈대정자, 갯벌관찰대 등 사계절 생태체험을 위한 각종 시설들을 잘 갖춰놓고 많은 관광객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갯벌은 바닷가의 넓은 벌판이란 뜻으로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갯벌의 전체 면적이 약 $2,500km^2$에 달하는데 여기에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으며 어민들의 생계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있다. 이러한 갯벌은 퇴적된 입자의 구성에 따라 펄갯벌, 모래갯벌, 혼합갯벌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에 따라 갯벌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생물들의 종류도 바뀌게 된다. 순천만갯벌과 여기에 조성되어 있는 습지환경에 따라 확인되고 있는 수산자원으로는 새꼬막, 꼬막, 눈알고둥, 갯고둥, 비툴이고둥, 돌조개, 접시조개, 새알조개, 가무락조개, 바지락, 우럭, 가재붙이, 방게, 칠게, 농게 등의 저서 생물들과 짱뚱어, 문절망둑 등의 어류가 있으며, 해조류로 우뭇가사리 등이 있고, 인근의 어민들의 어업형태는 꼬막 등 패류의 채취나 종패를 뿌려 일정기간 양성하여 수확하는 양식업, 육상부에서 폐염전 등을 활용한 전어나 새우 등을 양식하는 양식업, 수산물을 직접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잡는 맨손 어업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의 어민들의 생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순천만의 습지는 뻘층이 깊고, 분해성 미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여 유기물 분해능력이 뛰어나며, 유기영양분이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질이 좋은 습지로 평가되고 있으나, 순천시 등 순천만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간섭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끊임없는 생태환경이 변화하고 있어서 순천만의 효율적인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생태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수 저질 환경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오염물질의 70% 이상은 하천이나 강을 통해서 해역으로 유입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생태계의 보고(寶庫)라고 알려진 순천만의 지속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유입수계 하천의 수질현황 및 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천만의 수저질 특성과 여기에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환경 현황 및 오염원을 파악함으로써 순천만의 보전을 위한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순천만의 수질평가지수에 의한 등급(WQI)은 III등급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득량만, 광양만 등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기물 및 T-N, T-P의 농도 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순천만에 유입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와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해룡천 및 연안에 위치한 어촌으로부터 직접 방류되고 있는 일부 정화조 유출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의 관리가 부실할 경우 순천만의 갯벌과 습지의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유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순천만 연안의 오염물질 방류를 총량관리로 전환하여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Salt Marshes of Mankyeong River Estuary in Jeonbuk (전북 만경강 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 Kim Chong-Hwan;Lee Kyenog-Bo;Cho Du-Sung;Myoung H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3
    • /
    • pp.289-29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lt marsh flora and vegetation in the mouth of Mankyeong river estuary area where has a project for Sea Man Geum Reclaimed Land so that we can foster a foundation on restoration of an ecological habitat, development of applicable plants and 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policy after developing the reclaimed land for salt marsh vegetation which has great ecological valu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are 10 families 25 genera 29 species and 3 varieties of vascular plants in the Mankyong-river estuary area. These are 0.76%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s. There are also 5 families 6 genera 6 species and 1 varietiy of the naturalized plants which are 7 taxa in total and 3.85% of indicators of naturalized plants. Firstly, a district of low tide marsh has below 5% of vegetation coverage of Suaeda japonica and the vegetation cover was increasing rapidly while moving to a place of high tide marsh which is in the direction to a bank. In general, a range of from low tide marsh to high tide marsh is distributed with sequence of Suaeda japonica$\rightarrow$Suaeda maritima$\rightarrow$Suaeda japonica$\rightarrow$Aster tripolium$\rightarrow$Artemisia scoparia$\rightarrow$Carex scabrifolia$\rightarrow$Zoysia sinica$\rightarrow$Phragmites australis$\rightarrow$Phacelurus latifolius. Suaeda japonica has the highest dominance among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ster tripolium, Phragmites australis, Artemisia scoparia, Carex scabrifolia and Phacelurus latifolius are distributed as zonation or patch. By the Z-M method eleven plant communities were recognized; Suaeda japonica, Suaeda japonica-Suaeda maritima,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Aster tripolium, Aster tripolium, Phragmites australis, Carex scabrifolia, Phacelurus latifolius, Artemisia scoparia-Aster tripolium,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and Aster tripolium-Artemisia scoparia community.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onstructed of the grounds of the communities classified and other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