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류

Search Result 36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imulation of Wave-Induced Currents by Nonlinear Mild-Slope Equation (비선형 완경사 방정식에 의한 연안류의 모의)

  • 이정렬;박찬성;한상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3 no.1
    • /
    • pp.46-55
    • /
    • 2001
  • An approach using the nonlinear wave model in predicting wave-induced currents is presented. The mode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model using phase-averaged radiation stress, and in addition with experimental data captured by a PIV system.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wave-induced currents generated behind the surface-piercing breakwater and submerged breakwater, eddy patterns appeared to be similar each other but in general numerical solutions of both models were underestimated.

  • PDF

Characteristics of Longshore Sediment Distribution Considering Longshore Current (연안류를 고려한 연안 표사의 분포특성)

  • Lee, Ho-Jin;Jun, Kye-Won;Yoon, Young-Ho;Jun, B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14-918
    • /
    • 2008
  • 연안지역의 갑작스런 개발은 예상치 못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 중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해안침식이다. 해안침식은 어떤 원인에 의해 토사의 평형이 손상되어 퇴적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이 유실되면서 해안선이 점점 후퇴하는 현상이다. 해안에 쌓여 있는 모래는 태풍과 폭풍해일로부터 육지를 보호하는 완충지대의 역할을 하고, 또한 관광자원으로도 그 활용가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침식현상을 분석하고 침식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침식을 제어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연안류에 따른 연안표사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안류는 표사 이동이 가장 활발한 쇄파대로부터 해안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흐름으로 파랑에 의해 발생한다. 일정경사를 갖는 해빈에 대해 연안류를 계산하고 계산된 연안류를 Komar(1977)가 Bagnold(1963) 모형을 이용하여 파의 응력과 흐름속도의 곱의 함수로 연안표사의 분포를 나타나낸 식에 대입하여 연안류에 따른 연안표사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arine Debris Monitoring Methods Using Satellite and Drone Images (위성 및 드론 영상을 이용한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기법 개발)

  • Kim, Heung-Min;Bak, Suho;Han, Jeong-ik;Ye, Geon Hui;Jang, Seon Woo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1
    • /
    • pp.1109-1124
    • /
    • 2022
  • This study proposes a marine debris monitoring methods using satellite and drone multispectral images. A multi-layer perceptron (MLP) model was applied to detect marine debri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for the detection of marine debris using drone multispectral imag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U-Net, DeepLabv3+ (ResNet50) and DeepLabv3+ (Inceptionv3) among deep learning models were performed (mIoU 0.68). As a result of marine debris detection using satellite image, the F1-Score was 0.97. Marine debris detection using drone multispectral images was performed on vegetative debris and plastics. As a result of detection, when DeepLabv3+ (Inceptionv3) was used, the most model accuracy,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 was 0.68. Vegetative debris showed an F1-Score of 0.93 and IoU of 0.86, while plastics showed low performance with an F1-Score of 0.5 and IoU of 0.33. However, the F1-Score of the spectral index applied to generate plastic mask images was 0.81, which was higher than the plastics detection performance of DeepLabv3+ (Inceptionv3), and it was confirmed that plastics monitoring using the spectral index was possible. The marine debris monitoring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 plan for marine debris collection and treatment as well as to provide quantitative data on marine debris generation.

On Numerical Simulation of Salt-Water Wedge in Coastal Aquifer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관한 수치적 고찰)

  • Lee, Woo-Dong;Hur, Dong-Soo;Jeong,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2-82
    • /
    • 2015
  • 해안 대수층은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해수가 대수층의 담수 아래에 쐐기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쐐기형태의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압력경도의 평형에 의해 경계면이 유지되며, 해수면 또는 지하수위가 변동할 경우 해수-담수 경계면의 균형이 무너짐과 더불어 압력경도의 평행이 이루어질 때 까지 해수-담수 경계면의 이동이 계속 진행된다. 수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도서지역의 인구증가 및 산업화로 인한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 등에 의한 지하수위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거리가 증가하여 지하수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 범위 및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로 밀도가 다른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해안 대수층 내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들이 많다. 과거에는 Darcy의 법칙 및 Ghyben-Herzberg 식에 근거한 이론적인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현장관측이나 수리모형실험이 국내 외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모든 영역의 지하수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수치해석방법에 의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어 시뮬레이션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수치모델은 해안 대수층 수리특성을 투수계수에 의존하고 있을 뿐, 대수층 내부의 해수-담수에 의한 밀도류의 유동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채 정수압에 근거한 해수-담수 경계면에 대해 모의하고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수층 내부의 유동현상을 투수계수에 의존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수층 매체의 입경, 공극, 형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분 및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를 해석할 수 있는 강비선형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해수침투 현상을 직접 모의한다. 나아가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에서 간과하고 있는 해안지역의 대표적 물리력인 파랑과 조석의 영향이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해안 대수층의 지하수위 및 해수면의 수위차에 의한 해수침투 특성 그리고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Seepage Behavior with Unsaturated Soil-Water Characteristic in Reclaimed Deep Excavation Area (해안매립지 대심도 굴착지역의 불포화 함수특성에 따른 침투류 거동)

  • Shin, Bang-Woong;Lee, He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4
    • /
    • pp.47-58
    • /
    • 2005
  •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is conducted for various useful facility and underground structures and deep excavation technology for reclaimed area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seepage flow and behavior of phreatic line in reclaimed area was predominated by transient flow caused by tidal action. Also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relation is most important factor for transient flow analysis,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is strongly required. In this paper, laboratory tests (pressure cell, desiccator, and tensiometer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such as air-entry value, metric suction, and residual water content. And the feasibility of prediction method for soil-water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by transient seepag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analysis results and in-situ measured seepage flux in LNG TK-00 storage tank. Based on the result of laboratory and theoretical analysis, Fredlund and Xing's method provide to work out well for reclaimed ground soils. Also, the transient analysis result is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for design of deep excavation work in coastal and reclaimed ground.

  • PDF

조석과 바람에 의한 마산-진해만의 해수유동

  • 정태성;채장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80-83
    • /
    • 1996
  • 연안해역에서의 흐름은 조석에 의한 주기적인 해수면의 승강작용에 의한 조류,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수면 마찰력에 의한 풍성류(wind-driven flow), 밀도가 다른 하천수 등의 유입에 의한 밀도류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대부분의 자연수괴에서의 실제 흐름은 이러한 흐름들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발생하는 복합류(combined flow)이다 따라서, 연안해역에서의 오염물질의 이동ㆍ확산은 이러한 복합류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복합류의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 평가 및 예측은 연안수의 순환 및 오염물질의 확산에 관한 자연현상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 (중략)

  • PDF

다공성 기질 생태 플랫폼을 이용한 해안 및 해저 환경 복원 방안

  • Lee, Tae-Hyeong;O, Yeong-Tak;Gang, Mu-Seok;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47-149
    • /
    • 2019
  • 해수 온도의 상승과 해양 오염의 증가로 근래 국내 해안에서도 갯녹음이 확산되면서 바다숲이 축소되고 있다. 특히, 온난류의 유입에 의한 무절 석회조류의 난입과 해수에 함유 농도가 증가한 칼슘이 석출되고 해저 암반을 뒤덮어 해조류의 포자 활착 공간을 없애는 백화현상이 확산되면서 바다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포자가 빠르게 활착하여 안전하게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먼저 육상에서 모판의 기능을 제공하여 해조류의 포자를 착상하여 성장시킨 후 해저로 이식하는 것으로 바다숲과 해안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공성 기질 생태 플랫폼을 디자인하고 이의 특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Mokpo Coastal Zone (목포해역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 Jung, Tae-Sung;Choi, Jong-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5
    • /
    • pp.333-343
    • /
    • 2010
  • In Mokpo coastal zone, the characteristics showing ebb-dominant tidal flow was confirmed by analysis of observed tide and tidal currents, Physical factors occurring ebb-dominant flow were reviewed. Influence of critical depth for drying, bottom shear stress, coastal reclamation, tidal amplitude, nonlinear tide, and eddy viscosity on the change of ebb-dominant flow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a two-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for a variety of conditions showed that eddy viscosity and critical depth for drying does little or no impact on the generation of asymmetric flow. Strong bottom friction stress makes ebb-dominant flow clearly. Change of tidal flat into land swells ebb- dominant flow, and change of tidal flat into sea disappears ebb-dominant flow. Nonlinear tides play a decisive role in the generation of asymmetrical tidal flow. Non-linear tides should be included in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hydrodynamic modeling in the Mokpo coastal zone.

Geomorpholog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Goreabul Sand Beach in Yeongdeok (영덕 고래불 모래해안의 지형 특성과 변화)

  • Bang, Hyun Ju;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3
    • /
    • pp.83-92
    • /
    • 2011
  • The properties and changes of geomorphic relief and coastal deposits were analyzed at Goreabul sand beach in Yeongdeok-gun, the largest that in east coast of Kyungsangbuk-do Province. As the result of grain size analysis, in almost season except summer, the sands mainly deposited in Goraebul sand beach because longshore current drift northward contrary to Gangwon-do east coast, and summer longshore current is weak or change direction to south ward. Sand beach mostly came form erosion owing to typoon and storm and was deposit more coarse sand in the summer, and was produced deposition actively in the fall and winter. Front side of sand dune came from deposition on sand every season by sea breeze, especially in the winter.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Coastline of Sandba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사주 해안에서 수거한 쓰레기 종류 및 분포량 추정)

  • Lee, Y.B.;Park, S.;Ryu, C.R.;Kim, H.T.;Yoon, H.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0 no.3
    • /
    • pp.148-154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rine debris in Jinu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ypes of marine debris in Jinudo are analyzed through sampling around some portion of its sandbar shoreline. The present study and its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Monitor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volume of marine debris, was established in the coastal region of $50\;m\;{\times}\;50\;m\;(=0.002\;km^2)$ over the southern part of Jinudo. All the marine debris of conceivable form are collected and their amount was also estimated. 2) During the $1^{st}$ collection in May 2007, the total weight of the marine debris was 1,110 kg in this site, which means the density of marine debris around the shoreline is $444\;ton/km^2$. After one month later, the collected marine debris was 23.75 kg and so we have the average density of $9.5\;ton/km^2$.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marine debris of 316.67kg was being accumulated per day over unit area($1\;km^2$). 3) The most frequent marine debris collected during monitoring campaigns was wooden material amounting to 85.86% of the whole collection; the rest were fishing gears such as nets and buoys(5.13%), household waste(2.34%), glass(0.94%) and metals(0.2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