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Coastline of Sandba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사주 해안에서 수거한 쓰레기 종류 및 분포량 추정

  • Lee, Y.B.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Park, S.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Ryu, C.R.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Kim, H.T.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Yoon, H.S.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
  • 이영복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박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류청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김헌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7.08.25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rine debris in Jinudo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ypes of marine debris in Jinudo are analyzed through sampling around some portion of its sandbar shoreline. The present study and its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1) Monitor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volume of marine debris, was established in the coastal region of $50\;m\;{\times}\;50\;m\;(=0.002\;km^2)$ over the southern part of Jinudo. All the marine debris of conceivable form are collected and their amount was also estimated. 2) During the $1^{st}$ collection in May 2007, the total weight of the marine debris was 1,110 kg in this site, which means the density of marine debris around the shoreline is $444\;ton/km^2$. After one month later, the collected marine debris was 23.75 kg and so we have the average density of $9.5\;ton/km^2$.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marine debris of 316.67kg was being accumulated per day over unit area($1\;km^2$). 3) The most frequent marine debris collected during monitoring campaigns was wooden material amounting to 85.86% of the whole collection; the rest were fishing gears such as nets and buoys(5.13%), household waste(2.34%), glass(0.94%) and metals(0.27%).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전면해역을 대상으로 해안쓰레기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해양으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의 종류를 분석한 뒤, 낙동강 하구역 사주의 해안쓰레기 분포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사주 전면해역을 대상으로 $50\;m{\times}50\;m(=0.0025\;km^2)$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내 모든 해안 쓰레기를 수거하여 해안쓰레기의 발생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 초기 해안쓰레기 분포량을 살펴보기 위해 모니터링 영역내의 해안쓰레기를 수거한 결과, 총 1,110 kg의 해안쓰레기가 수거되었는데, 단위면적당($1\;km^2$) 발생하는 해안쓰레기량을 추정한 결과는 총 $444\;ton/km^2$이다. 1개월 경과후 조사시에는 총 23.75 kg의 해안쓰레기가 수거되었는데, 단위면적당($1\;km^2$) 발생하는 해안쓰레기량은 총 $9.5\;ton/km^2$ 이다. 1개월 변화기간동안의 퇴적량으로 환산하면 316.67kg/day/의 해안쓰레기가 퇴적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3) 모니터링 영역에 대해서 수거된 해안쓰레기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이 목재로서 85.86%, 폐그물 및 폐부이를 포함하는 어구가 5.13%, 플라스틱류가 4.78%, 생활쓰레기가 2.34%, 유리류가 0.94%, 음료수캔을 포함하는 철재류가 0.27%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