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안단구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8초

플라이스토신 층서 연구 (A Research on Pleistocene Stratigraphy)

  • 이동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8
    • /
    • 1998
  • 한반도의 제4기 지층을 암층서 및 단구층서를 기준으로 전기, 증기 및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Ear-ly Middle late Pleistocene Deposits)으로구분할 수 있다. 제 3기와 제4기 의 경계는 고지자기층서 해석에 의하여 한반도에서는 Gauss와 Matuyama chron 경계인 약 2.6Ma를 기준으로 설정할수 있다. 전기 플라이스토신 지층(Early Pleistocene Deposits)은 지형고도상 조구조 운동이 배제된 지역에서는 80m 이하에서의 계곡 사이에서 나타난다. 증 기 플라이스토신 지층(Middle Pleistocene Deposits)은 약0.8Ma부터 약 125ka까지이다. 중기 플라이스토신은 제4기 초깁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던 주요 계곡들이 현재와 비슷한 형태로 넓 고 깊어지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하천과 해안에는 일련의 단구지형을 잘발달시키지 시작했 고 단구이 형성은 현재보다 해수면이 더 높았던 마지막간빙기까지 계속되었다. 후기 플라이 스토신 지층(late Pleistocene Deposits)은 약 125Ka부터 10Ka까지이며 마지막 간빙기(Last Inter-glacial)와 마지막빙하기(Last Glacial)가 포함된다, 마지막간빙기 동안에는 제 2 하안 및 제 2 해안단구역층이 잘 발달하여 있다 마지막 빙하기 동안에는 해수면의 하강이 극심했 으며 특히 산사면에서 지형경사면을 따라 하부이동된 사면붕적층이 한반도의 전역에 널리 발달했던 시기였다.

한국의 선상지와 경주선상지의 지형적 의의 (The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Gyeongiu Alluvial fan and Fans in Korean Peninsula)

  • 사이토쿄지;윤순옥;황상일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40
    • /
    • 2004
  • 지형학연구의 주요 쟁점의 하나는 한반도 산록에 분포하는 완만한 지형면 형성과 정에 관한 논의이다 한국 지형학계의 일각에서는 안정지괴에 속한 한반도에는 선상지발달이 불리하고 친식지형이 일반적이라는 편견이 있어, 산록완사면이 페디멘트로 이해되고 선상지 차체를 부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선상지와 하안단구, 해안단구 대부분이 페디멘트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면서 대학의 지형학 교재나 일부 교과서에 반영되어 혼란이 야기된다. (중략)

  • PDF

순천만 일대 해안단구의 형성 및 기후지형환경 (Morpho-climatic Milieu and Morphogenetic Succession of Coastal Terrace in Suncheon Bay)

  • 양재혁;기근도;김영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74
    • /
    • 2013
  • 순천시 와온마을 일대에는 해발고도 8.3m의 단구가 발달하고 있다. 단구면 내부에는 여러 단의 원력층 (4.3m, 5.8m, 6.3m) 뿐만 아니라 현재와는 다른 환경에서 퇴적된 사질층을 포함하고 있어 과거 해수준에 대한 추정과 함께, 형성 당시의 기후 환경적 특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단면기술, 입도분석, XRD, 박편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편년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와온단면은 최후간빙기(MIS 5)보다는 좀 더 근자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 시기에 다양한 토양학적 특징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경주시 양남면 제4기 해안단구퇴적층내 혼펠스 자갈의 화학적 풍화작용 (Chemical Weathering of Hornfels Pebbles in the Marine Terrace Deposits, Yangnam-Myon, Gyeongju)

  • 정기영;이봉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7
    • /
    • 2004
  • 경주시 양남면의 해안단구퇴적층에 풍부히 함유된 혼펠스 자갈의 풍화작용을 X선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관찰, 화학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혼펠스 자갈 풍화 초기에 사장석이 가장 먼저 용탈되어 공극을 형성하며, 그 후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 흑운모는 흑운모-버미큘라이트 혼합층(hydrobiotite)으로 그리고 녹니석은 녹니석-버미클라이트 혼합층 광물로 변질되며, 사장석의 풍화산물로 할로이사이트가 부분적으로 침전되었다. 그러나 석영과 K장석은 거의 변질되지 않았다. 단구의 고도 차이에 따른 풍화각 두께와 생성되는 광물종의 차이가 인지되었다. 하부의 제2단구에서는 대체로 사장석의 약한 풍화작용이 주를 이루고 흑운모와 녹니석의 풍화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상부의 제3단구에서는 사장석의 심한 풍화작용과 함께 흑운모와 녹니석이 혼합층으로 풍화되었다. 그러나 동일 단구퇴적층내에서도 풍화각 두께와 생성되는 광물종의 변화가 있으며, 이는 국지적인 지형변화에 따른 배수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남동부해안의 고위 해성단구군

  • 최성길;장호;김주용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68
    • /
    • 2003
  • 우리나라 동해안의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1990년대의 중반까지는 Kim, S. W.(1973)의 봉화재면(구정선 고도 130m)을 제외하고는, 주로 구정선 고도 80m~90m 이하의 해성단구면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오, 1977; 조, 1978; Oh, 1981; Lee, 1987; Kim, J. Y., 1990; 최, 1995a, 1995b, 1996; 최, 1997; 김 외, 1998). 그러나 1990년대의 후기 이후에는 loom 이상의 구정선 고도를 갖는 해성단구에 대한 보고가 윤 외(1999), 황상일 외(2000), 윤 황(2000) 등에 의하여 이루어져 왔다. (중략)

  • PDF

한국 남동해안 감포 연대산 지역 해안단구 상고위면과 고고위면 지형발달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UHS (upper higher surface) and HHS (high higher surface) around Yeondae-san, Gampo-Eup,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3-28
    • /
    • 2020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and topographic development of marine terraces, UHS (Upper Higher Surface) and HHS (High Higher Surface) at Yeondae-san area, Gampo-eup were discussed. We critically examined on the substance of the Yeongdong-myeon (a low-lying erosion surface)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study area, UHS including UHS-246m, UHS-241m, UHS-235m, UHS-220m, UHS-210m and UHS-220 is found on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marine terraces in Korea. The existence of UHS requires new interpretation on topographical surface like Yeongdong-myeon, which has been commonly accepted as a theory in the society of Korean Geography. Since UHS is distributed continuously ascending on the altitude of HHS, the period of form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nd UHS of paleo-shoreline 246m has been estimated to be formed about 1.5 million years ago.

제주 사계해안의 지형시스템 (The Coastal Geomorphic System of Sagye, Jeju)

  • 서종철;손명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42
    • /
    • 2007
  • 제주도 남서부 안덕면의 사계해안에는 미고결 하모리층의 파식대지와 해안단구 퇴적층, 패사 및 화산사로 이루어진 해안사구, 배후호소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OSL 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사계 해안지형시스템의 형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모리층은 약 7,600$\sim$3,000년 전에 해저 화산분출에 의하여 재 이동된 응회암이 쌓인 수평 지층이다. 하모리층과 광해악현무암의 완사면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와지는 이후 지반이 융기하여 육상으로 드러나면 배후호소를 이룬다. 둘째, 하모리층이 아직 해수면 아래에 있을 때, 광해악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남서부의 암석해안에서 부서져 마모된 것이거나 소하천으로 공급된 자갈들이 빠른 유수를 따라 이동하여 퇴적되었다. 셋째, 이후 지반이 융기함으로써 원력의 퇴적은 중단되었으며, 파랑의 전진에너지에 따른 마식작용으로 파식대가 형성되었다. 파식대의 고도는 대조시의 고조위면과 일치하므로, 현재 연구지역의 고조위면과 비교해 보면, 지반은 파식대 형성 이후 약 1.5m 융기하였다. 넷째, 해저로부터 많은 사질 퇴적물이 공급되어 파식대지와 해안단구 역층을 피복하였다. 사질 퇴적물 가운데 보다 가벼운 입자들은 바람에 실려 배후로 이동하여 500년 전부터 전사구나 이차사구를 형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