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astal Geomorphic System of Sagye, Jeju

제주 사계해안의 지형시스템

  • Seo, Jo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Son, Myoung-W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aegu University)
  • 서종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 손명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In Sagye coast of Andeok-myeon, southwestern Jeju, shore platform of noncohesive Hamori Formation, marine terrace deposit of round gravels, coastal dune composed of shell sand and volcanic sand, and back lake are linked closely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the formation process of Sagye coastal geomorphic system analysed by using OSL dat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ly, Hamori Formation is a horizontal stratum filed up of tuff reworked by submarine volcanic eruption during 3$\sim$7.6 ka BP. Hollow at the boundary between Hamori Formation' flat and Kwangheak Basalt's gentle slope become a back lake when block is appeared over the sea level by uplift. Secondly, while Hamori Formation was laid below sea level, gravels which had been broken and abraded at southwestern rocky coast composed of Kwangheak basalt or been transported through the small stream from adjacent hillslope were deposited in rapid flow environment. Thirdly, deposition of round gravels was ceased by earth uplift, and shore platform was constructed by abrasion process of energy of swash moving forward. As altitude of shore platform is equal to high tidal level of spring tide, compared it with present high tidal level of study area, earth is uplifted about 105m since shore platform was formed. Fourthly, much sandy sediments transported from offshore bottom covered shore platforms and marine terrace deposits. Lighter sediments among sandy sediments was blown to back, formed secondary sand dune since about 500 year.

제주도 남서부 안덕면의 사계해안에는 미고결 하모리층의 파식대지와 해안단구 퇴적층, 패사 및 화산사로 이루어진 해안사구, 배후호소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OSL 연대측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사계 해안지형시스템의 형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모리층은 약 7,600$\sim$3,000년 전에 해저 화산분출에 의하여 재 이동된 응회암이 쌓인 수평 지층이다. 하모리층과 광해악현무암의 완사면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된 와지는 이후 지반이 융기하여 육상으로 드러나면 배후호소를 이룬다. 둘째, 하모리층이 아직 해수면 아래에 있을 때, 광해악현무암으로 이루어진 남서부의 암석해안에서 부서져 마모된 것이거나 소하천으로 공급된 자갈들이 빠른 유수를 따라 이동하여 퇴적되었다. 셋째, 이후 지반이 융기함으로써 원력의 퇴적은 중단되었으며, 파랑의 전진에너지에 따른 마식작용으로 파식대가 형성되었다. 파식대의 고도는 대조시의 고조위면과 일치하므로, 현재 연구지역의 고조위면과 비교해 보면, 지반은 파식대 형성 이후 약 1.5m 융기하였다. 넷째, 해저로부터 많은 사질 퇴적물이 공급되어 파식대지와 해안단구 역층을 피복하였다. 사질 퇴적물 가운데 보다 가벼운 입자들은 바람에 실려 배후로 이동하여 500년 전부터 전사구나 이차사구를 형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