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 침수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해수면 상승에 따른 영도 침수대책 연구

  • Hong, Seong-Gi;Gang, Yeong-Hu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67-269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연안지역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면의 상승이 연안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면이 바다와 접한 부산의 영도지역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선정, 해수면 상승 영향에 따라 해수면을 평행단면으로 하여 상승 시 침수범위와 재해위험지역을 종합적으로 고려, 피해 예상지역 추출하고 침수취약지역을 그 침수특성 및 지역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침수구역으로 구분하고 침수구역별로 자세한 침수대책을 마련한다.

  • PDF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Inundation Module in Coastal Cities (연안도시 복합적 침수해석을 위한 모듈 개발)

  • Jang, Hyun Ju;Choi, Hyun Ra;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8-288
    • /
    • 2017
  •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는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복합적인 위험의 증가도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기후의 변화로 인해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빈도가 많아지면서 여러 요인들의 의한 침수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침수의 요인으로는 크게 내수침수, 외수범람, 해수범람이 존재하게 된다. 내수침수의 경우는 펌프나 우수관 등의 문제로 제내지 배수 불량이 발생하여 물이 하천으로 배수 되지 못했을 때 발생하게 되고, 외수범람의 경우는 홍수나 폭우에 의해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제방을 월류할 때 발생, 해수범람은 해수위가 상승하여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와 외수범람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동수역학모형인 HDM-2D(Song. 2011)를 확장하여 해수-외수-내수 연계 모듈을 개발하였다. 해수 유동 모의 결과를 별도의 입력 파일로 불러들여 ERG (Exponentially Growth Rate) 기법에 의한 내수침수 해석 모형과 Petrov 안정화 기법 기반 충격파의 해석이 가능한 외부 범람모형의 초기 및 경계조건으로 부여하여 동수역학적 연계 모듈을 구성하였다. 해수의 영향을 고려한 해수-외수-내수 연계 모의를 통해 시간에 따른 연안 도시 침수 발생 양상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침수가 많이 발생하는 연안도시 지역에서 침수의 복합원인을 찾아내고 침수 예상도를 작성하여 연안도시에 가해지는 피해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inundation map considering sea level in coastal city and detailed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해수위를 고려한 연안지역 홍수피해 침수예상도 작성 및 상세홍수취약성 분석)

  • Choi, So Hyun;Kim, Young J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8-288
    • /
    • 2019
  •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안인근 지역은 복합원인에 의한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 지형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라 침수피해 발생 시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복합원인에 의한 침수예상도는 해수위를 고려한 내외수 침수피해 발생 시 침수의 범위 및 양상을 예측한다. 먼저 침수발생 시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연안인근의 도심지역을 위주로 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침수발생 원인별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침수예상도를 바탕으로 상세 홍수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설물의 위치 선정, 관거 개량의 우선순위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도상조사를 통해 침수발생 후보지역을 선정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현장 변경사항, 재해원인 및 재해발생가능성을 검토하여 대상지역으로 여수시 연등천 인근을 선정하였다. 모의 방법으로는 HEC-HMS 및 XP-SWMM 등 강우-유출 모형에 의해 침수해석을 실시하고, 하류단 경계조건의 변화에 따른 기점수위를 산정하여 해수위를 고려하였다.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대상지역의 폭풍해일에 의한 해수위 상승고를 적용하였다. 배수토구가 하천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해당 하천의 홍수위 산정이 필요하며 홍수위 산정에는 HEC-RAS 모형을 사용하였다. 작성된 침수예상도를 통해 상세 홍수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세 홍수취약성 지수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도시지역별 복합원인의 홍수 취약성 평가기술 개발 및 대응방안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를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모형의 하류단 경계조건 변화를 통해 해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연안도시 지역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으며, 침수발생 예상도를 통해 상세 홍수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침수발생에 따른 대피지도 개발, 주요 시설물의 계획, 침수피해 예방을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itigation Efficiency of Parapet Wall against Sea Wave Overtopping at Coastal Basin (월파방지벽을 이용한 해안도시 침수저감 효과분석)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8-268
    • /
    • 2019
  • 이상기후 등 전 지구적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과 태풍에 의한 해일고 증가로 인하여 해안지역의 침수 재해 발생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2년 발생한 태풍 '루사' 와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뿐만 아니라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해 부산 및 울산 등 남부 해안지역 침수되는 등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 또는 해일로 인하여 해안도시가 침수되는 현상을 모의하기 위하여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하고 유한체적법과 well-balanced 기법이 적용된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침수 모의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침수 저감을 위한 월파 방지벽의 설치효과를 수문학적/경제학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모의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하여 침수가 발생한 창원시의 침수흔적과 모의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방어적 기법으로 월파방지벽을 선정하고 다양한 월파방지벽의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에 대한 분석과 함께 피해액과 시공비를 고려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월파방지벽 규모와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따른 대피경로의 효율적 운용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 제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신월성원전 건설 중 해수침수사고와 해결과정의 고찰

  • Lee, Byeong-Il;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9-40
    • /
    • 2009
  • 2009년 4월 29일 신월성원전 건설현장에 해수가 유입되어 건설 중에 있던 구조물과 건축 재료가 해수에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후 지역의 대표들이 신월성침수사고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침수된 구조물의 안전성과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침수사고의 개요와 조사위원회의 구성과정 및 활동 그리고 조사위원회의 의미 등을 살펴보고 이 때 월성원전감시기구의 역할 등을 고찰하여 원전주변지역 주민의 의식변화와 이에 따른 관련기관의 역할을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Flooding Prevention Scheme due to Sea Level Rise at Young-do Coast in Busan (부산 영도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대책 연구)

  • Hong, Sung-Ki;Kang, Yong-Hoon;Lee, Han-Se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4
    • /
    • pp.409-418
    • /
    • 2013
  • On the assumption of the rise of sea level, the inundation vulnerabilities on coastal areas of Korea are evaluated in different ways.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sea level rise caused by global warming at Young-do coastal area, and to suggest the prevention schemes against the flooding damage caused by the sea level rise. The potential rates of sea level rise are assumed and with these rates the inundation vulnerabilities are simulated using CAD program. With the virtual maps, a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CAD simul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flood prevention schemes for each sector of damage-expected coastal area.

Making flood forecast map for coastal city : Yeosu city (연안지역에 위치한 도시의 침수예상도 작성 : 여수시를 대상으로)

  • Park, Kyu Jin;Han, Jin Gu;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9-289
    • /
    • 2019
  • 연안지역의 침수예상도 작성은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 진행되었으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통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발생하는 구역에 대한 조사 결과 및 침수피해 이력 등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 발생 원인을 하천, 강 등의 범람에 의한 외수침수, 유역 내 관로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내수침수, 조위 상승, 해수의 역류 등에 의한 해수침수로 구분하였다. 대상 지역인 여수시 여수시청 인근 지역은 남해와 인접하고 있어 조위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역 내 관로와 함께 해수 내수 복합원인에 의한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피해 발생 범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며, 이는 XP-SWMM을 통해 작성할 수 있다. XP-SWMM에 입력하는 자료는 강우재현기간에 따른 조위(해일고),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강우분포 자료 등을 입력한다. 강우자료는 실강우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나리오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Huff 3분위 분포시킨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에 의한 침수위를 산정하여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재현기간 100년에 따른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 작성과 강우재현기간 10년-강우지속기간 60분-50mm, 110mm을 기준으로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수시청 인근(학동지구 및 도원지구)에 대한 침수예상도를 얻어낼 수 있으며, 침수예상도를 응용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예상도를 통해 침수 발생 범위를 예측하여 이를 고려한 침수 시 대피경로 작성,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 방안마련 등에 응용이 가능하며, 여수지역을 제외한 연안도시 지역에도 적용하여 연안도시 침수특성분석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모의 조건을 한정하여 1개의 시나리오만을 고려했지만, 강우재현기간 및 강우지속시간 등을 보정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연안도시 재해 발생 시 대응 및 기준표 작성에 실질적인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inundation damages based on the fluctuation of inundation height due to climate change in Haeundae Area (해운대 지역의 기후변화에 의한 해일고 변동에 따른 침수피해 평가)

  • MAENG, Da-Hye;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141-152
    • /
    • 2011
  • The fluctuation of inundation height due to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is expected to cause the socio-economical damage in the coastal zone. To evaluate the inundation damage in Haeundae Beach Area, the inundation height was calculated using the observed data and the range of inundated area and buildings was estimated by applying to DEM data, which was constructed with airborne LiDAR data. The range of inundated area and buildings were estimated with 5 scenario of sea level rise in the condition of minimum and maximum inundation height. When the 181cm, the area of 7.19ha and 5 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20cm in sea level rises at the minimum of the inundation height, the area of 8.90ha and 8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30cm, 40cm, 50cm, 60cm in sea level rise, 9.98ha and 9 buildings, 11.11ha and 11buildings, 12.41ha and 11buildings, 14.18ha and 14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respectively. When the 526 cm, the area of 32.35ha and 42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20cm, 30cm, 40cm, 50cm, 60cm in sea level rise at the maximum of the inundation height, 38.94ha and 47buildings, 42.46ha and 52buildings, 45.76ha and 58buildings, 49.51ha and 66buildings, 52.53ha and 72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respectively. The leisure and industry facilities, socio-economical installation, habitation are located near by the estimated inundation area, then the inundation damage is expected to be greater scale.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Baramarae Intertidal Area in Anmyeondo, Korea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 KIM, Jang-soo;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2
    • /
    • pp.29-39
    • /
    • 2010
  • Climate change recently causes rapid rises in sea level in Baramarae intertidal area and the rises present several socio-economic impacts to the affected area. We have assessed the vulnerability of the region by the rise of the sea level. Using quantitative GIS method on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we have first estimated the eleva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of Baramarae intertidal area and hence we were possibly able to identify the flooded areas under the IPCC SRES scenarios. As sea level rises by 20cm, 30cm, 40cm, 50cm and 60 cm, the estimated flooded areas of the tidal flat are 68ha, 85ha, 103ha, 121ha and 139ha, respectively. The most affected area is the tidal flat in Gagyeongju Village (Gonam-li, Gonam-myeon, Taean, Chungnam), because it has not only lower altitude but also, perhaps more significantly smooth slope. The potential affected areas are currently populated by farming of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and therefore the areas expect significant economic loss by rise of sea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