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inundation damages based on the fluctuation of inundation height due to climate change in Haeundae Area

해운대 지역의 기후변화에 의한 해일고 변동에 따른 침수피해 평가

  • Received : 2011.09.28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fluctuation of inundation height due to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rise is expected to cause the socio-economical damage in the coastal zone. To evaluate the inundation damage in Haeundae Beach Area, the inundation height was calculated using the observed data and the range of inundated area and buildings was estimated by applying to DEM data, which was constructed with airborne LiDAR data. The range of inundated area and buildings were estimated with 5 scenario of sea level rise in the condition of minimum and maximum inundation height. When the 181cm, the area of 7.19ha and 5 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20cm in sea level rises at the minimum of the inundation height, the area of 8.90ha and 8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30cm, 40cm, 50cm, 60cm in sea level rise, 9.98ha and 9 buildings, 11.11ha and 11buildings, 12.41ha and 11buildings, 14.18ha and 14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respectively. When the 526 cm, the area of 32.35ha and 42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As 20cm, 30cm, 40cm, 50cm, 60cm in sea level rise at the maximum of the inundation height, 38.94ha and 47buildings, 42.46ha and 52buildings, 45.76ha and 58buildings, 49.51ha and 66buildings, 52.53ha and 72buildings were expected to be inundated, respectively. The leisure and industry facilities, socio-economical installation, habitation are located near by the estimated inundation area, then the inundation damage is expected to be greater scale.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은 해일고의 변동을 야기하여 연안지역에 많은 사회·경제적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대 지역의 침수피해를 평가하기 위해 해일고는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그 값을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해 생성된 DEM에 적용하여 침수면적과 건물을 파악하였다. 침수면적과 건물은 최저값과 최고값에 5개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로 계산하였다. 최저값인 181cm일 때 침수면적이 7.19ha로 건물 5동이 침수되며, 해수면이 20cm 상승될 때 침수면적이 8.90ha, 침수건물은 8동으로 산출되었다. 30cm 상승시에는 9.98ha로 9동, 40cm 상승시에는 11.11ha로 11동, 50cm 상승시에는 12.41ha로 11동, 60cm 상승시에는 14.18ha로 14동의 건물이 침수된다. 반면, 최고값인 526cm의 경우 32.35ha와 42동의 건물이 침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이 20cm 상승하면 38.94ha가 침수되어 47여 동이 침수 되고, 30cm 상승시 42.46ha로 52동, 40cm 상승시 45.76ha로 58동, 50cm 상승시 49.51ha로 66동, 이밖에 60cm 상승시 약 52.53ha로 70여동이 침수될 수 있다. 침수 예상 지역 주변에는 해양레저시설과 사회경제적 산업시설, 거주지 등이 입지하고 있어 그 피해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에 사용된 항공 LiDAR 자료를 제공해 주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종규 박사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 논문은 기상청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CATER 2009-3115)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