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의 확산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near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ungsan River Seadike (영산강 하구언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해역의 오염확산양상)

  • An, Soon-Sub;Kang, Ju-Wha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25-21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언 배수갑문의 개방으로 대량의 담수가 방류될 경우 목포항 인근해역의 해수유동 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부유물질/염분 농도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방류조건과 확산성분별로 12가지의 계산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MIKE21의 해수유동(HD)모듈과 오염 확산(AD)모듈을 이용하여 하구언 방류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해수유동 모의결과, 배수갑문과의 거리에 따라 방류조건별로 수위와 유속이 최대 144.5cm, 175.6cm/sec까지 상승하였다. 특히 청계만 수역에서는 방류시기에 낙조시 유속이 최대 68.8cm/sec까지 감소해 방류에 따른 수위상승으로 낙조시 해수유출이 지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유물질 확산모의 결과, 목포 기준검조소를 기준으로 목포항 내부수역은 원활한 해수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염원 유입시 외해로 쉽게 확산되거나 희석되지 못하고 계속 정체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내 오염이 심각하게 우려되며, 특히 연속적인 담수 방류와 방류량의 크기가 내부수역의 부유물질 농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방류량이 작고 연속 방류가 행해지지 않는 비우기시의 오염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방류조건별 염분농도 역시 방류량이 크고, 연속적인 담수 방류가 행해질 경우 농도가도 크게 감소하며 확산면적도 증가하였다.

  • PDF

부유성 HNS의 근접영역의 확산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 Go, Min-Gyu;Jeong, Chan-Ho;Lee, Mun-Jin;Jeong, Jeong-Yeol;Lee, Seong-Hyeok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11a
    • /
    • pp.162-163
    • /
    • 2017
  • 해양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의 유출 사고 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 훼손을 피하기 위해 유출 사고 조기 예측과 정확한 확산 경로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HNS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위험구역을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해양사고조건과 환경영향을 고려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 특성을 고찰하고 확산 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코드인 ANSYS FLUENT(V. 17.2)을 사용하여 근접역에서의 2차원 확산특성을 모사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누출된 HNS의 위치별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종수송방정식(Species Transport Equation)을 이용하였으며 RANS(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과 표준 $k-{\varepsilon}$ 모델을 이용하여 난류유동을 모사하였다. 해석된 결과는 문헌에서 얻어진 실험데이터와 상호비교하였으며 해수의 유속, HNS의 밀도에 따른 유층 두께, 해수면 HNS 평균 농도 그리고 HNS 전파 속도를 분석하였다. 유층 두께는 해류 유속에 따라 변화하며 변화 경향에 따라 두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해류 전파 속도는 대체로 해류 유속과 선형적 비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평균 HNS 농도는 해류 유속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감소하며, HNS 밀도가 큰 경우 해수면 평균 HNS 체적 농도는 더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HNS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 관련된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염/담수 분포특성을 이용한 해수침투보호구역 설정

  • 황세호;신제현;박권규;박윤성;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51-1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서-남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의 확산방지를 위하여 해수침투보호구역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해수침투보호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분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염분농도분포도는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이 가능하다. 전남 영광지역에서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한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 분포도는 시험시추 결과, 매우 신뢰성이 높았으며 염분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도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 개발 제한지역, 보호구역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였다. 향후, 해수침투의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이 가능한 해수침투보호구역설정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ulation of salt intrusion and mixing influence for Yongsan estuary regarding Seawater exchange (해수교환에 따른 영산강 하구역 염분 확산 영향 범위 수치 실험)

  • Park, Yong-Woo;Cho, Yang-Ki;Sin, Yong-Sik;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7-561
    • /
    • 2006
  • 매년 영산강 본류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영산강 유역주변은 최근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남악 신도시개발, J-Project 및 환경 문화 복원사업의 추진, 기업도시개발등과 관련하여 수질관리개선 및 주요환경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역 관리방안 중 담수호 수질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수문개방을 통한 해수 유입에 의한 수질 개선을 효과를 도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하구호 방조제의 수문 개통 및 완전 개방에 따른 수질개선 문제에 앞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중 영산강 및 연안역 염분의 확산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모형 실험이 실시되었다. 담수 유입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 및 해수 유입에 따른 염분의 역상 범위를 평가 하기위해 수치 모델로는 EFDC를 적용하였고, 하천형상과 연안역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수평좌표계는 직교곡선좌표로 격자 크기는 $120{\sim}1000m$, 연직방향으로 시그마좌표를 사용하였다. 담수 방류 및 염분역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하구 수문 방류량 및 하천 유입량으로부터 홍수기와 갈수기를 선택하여 현재 상황 및 수문의 부분 개통 하구둑 완전 개방에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수문의 부분개통과 하구둑 완전 개방에 따른 염분 확산 범위는 영산강 하구둑을 기준으로 홍수기에는 $13{\sim}17km$, 갈수기에는 36km 이상의 상류지역에서 해수와 담수의 분리 기준인 0.3 psu 범위가 계산됨을 알 수 있다.

  • PDF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ling of Water Circulation and Thermal Diffusion (해수순환과 온배수 확산에 관한 3차원 수치모델링)

  • Jung Tae Sung;Kim Sang Ik;Kang See W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1
    • /
    • pp.93-101
    • /
    • 1998
  • Numerical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oastal currents and the transport mechanisms in regard to the fate of polluta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three-dimensional model of coastal circulation and mass transport. The model was used to calculate coastal current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the thermal plume discharged from a power plant. The model results were compared with field-observed data. They showed the relatively good agreements with the data. The model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urrents and its mass transport in coastal waters.

  • PDF

A Numerical Model for Cohesive Suspended Load Movement (점착성 부유사 이동에 관한 수치모형)

  • 안수한;이상화
    • Water for future
    • /
    • v.23 no.1
    • /
    • pp.119-127
    • /
    • 1990
  • The concentration of cohesive suspended sediment is determined by the circulation of water and the material dispersion. The equations of the two-dimensional, depth-integrated dispersive transport are the Reynolds equation, continuity equation, and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based on the Fick's law. A finite difference method has been applied to two models of circulation and dispersion transport. The circulation model is solved by the explicit scheme and the dispersion transport model is solved by multi-operational scheme. It is investigated wheter advective terms are included when the equation of circulation is applied to the model. For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it was also investigated about variation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 critical shear stresses.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and Diffusion in Suyeong Bay (수관만의 해수유동과 확산지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seup;Han,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8 no.2
    • /
    • pp.55-61
    • /
    • 1982
  • Simultaneous investigations for drift bottle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in Suyeong bay. Seawater in Suyeong bay flowed differently in the vicinity of Suyeong river estuary and Nam-cheon Dong respectively. The speed of current did not exceed one knot in this bay. The dye patch moved to Kwangan beach in the dye diffusion experi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pparent diffusivity and diffusion time was appeared as Ka=0.0025t super(1.9). The variance was calculated to be 2.9 power of the diffusion time. And the exponent diffusivity versus the scale of diffusion time was appeared to be 1.3.

  • PDF

Dispers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Water Discharged from Offshore Desalination Plant (해상 담수화 공장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염 해수의 확산예측)

  • Lee Moonjin;Hong Key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2
    • /
    • pp.33-40
    • /
    • 2000
  • Dispersion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water discharged from a desalination plant is numerically estimated to investigate its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The plant is installed on a floating barge located in Jinhae Bay and takes 200 tons of seawater per day. Fifty tons of intake are changed into fresh water, while 150 tons of those are discharged as the water of 15℃ warmer and 1.33 times saltier than surrounding seawater. In this dispersion model, advection is described by two-dimensional tidal currents and turbulent diffusion is simulated by Monte Carlo technique. Decay of water temperature is modelled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while decay of water salinity is ignored. The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come to equilibrium when the dispersion model is run for 100 days for temperature and for 365 days for salinity, respectively. At equilibrium state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ise 0.01℃ and 0.001‰ higher than ambient seawater, respectively.

  • PDF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해양오염방제지원시스템 개발)

  • Lee, Moon-Jin;Lee, Han-Jin;Park, Jae-Min;Kim, Du-H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93-102
    • /
    • 2006
  •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 지원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환경민감정보 기반 실시간 유출유 확산예측 시스템과 피해위험도 예측시스템을 연계한 해양오염 방제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 유출유 확산예측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바람과 실시간 해수유동을 기반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계산하고, 유출유 특성에 따라 해상 유출유의 풍화작용을 모델링하여 유출유의 잔류량 및 확산분포를 계산한다. 유출유 확산 예측의 실시간 바람은 국립환경연구원의 실시간 기상모델 결과를 FTP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며, 실시간 해수유동으로서 조류는 수치모델결과와 검조소 관측결과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조석을 예측하는 CHARRY (Current by Harmonic Response to the Reference Yardstick)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시간 취송류는 바람과 취송류간의 상관관계와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예측한다. 실시간 해수유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풍화되는 유출유의 풍화작용은 유출유 특성에 따라 결정된 감소율을 적용하여 모델링한다. 본 시스템은 이와 같은 정보를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및 방제자원 정보와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방제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 PDF

Evaluation of salt water intrusion and soil salinization in agricultural reclaimed lands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간척지의 해수침투 및 염류화 영향 평가)

  • Jung, Euntae;Park, Namsik;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3
    • /
    • 2019
  •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야기해 해안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토양 염류화를 심화시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며, 지하수위를 증가시켜 불포화대의 토양두께가 감소한다. 이처럼 지하수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포화대와 토양 염류화가 발생하는 불포화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 포화대와 불포화대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간척지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화대의 해수침투 및 불포화대의 토양염류화 영향을 연계하여 모의하였다. 포화대 모의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개발한 3차원 이송확산 모델인 SUTRA, 불포화대 모의는 미국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개발한 1차원 이송확산모델인 VADOFT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IPCC에서 공표한 바와 같이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고, 미래 21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라 해수침투 및 토양염류화 면적 그리고 지하수위 및 불포화대 토양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한반도 91개 간척지에 대해서 모의를 수행하였고,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해수침투 면적이 $82.19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83.71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염류화 면적은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2.25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24.86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호 또는 저수지가 있는 대상 지역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 거리 및 관리 수위가 해수 침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서는 해안선 인근 저수지 수위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변화와, 기존 관정에서의 양수량, 강수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위의 세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