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위변동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a Level Change during the Middle Holocene at Bibong-ri,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창녕 비봉리 지역의 Holocene 중기 해수면변동)

  • Hwang, Sangill;Kim, Jeong-Yun;Yoon, Soon-Oc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6
    • /
    • pp.837-855
    • /
    • 2013
  • The remains and relics such as wood vessel, shell middens and acorn hollow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s were excavated at Bibong-ri,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approximately 70km apart from the Nakdong River mouth. The sea-level change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hell middens and acorn hollows, sedimentary facies, AMS dating, and diatom analysis. The shell middens and acorn hollow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early Neolithic Ag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paleo-sea level, because of influences of marine processes. The sedimentary facies are classified into a bedrock, base gravel and Holocene sediment (marine, terrestrial and back marsh sediments), upward. The sea level fluctuated during the middle Holocene is in harmony with those in Sejuk-ri, Ulsan and Pyeongtaek. In particular, the sea level at Bibong-ri of study area was higher than the mean high tidal level in Gimhae by approximately 1m during 5,000yr BP and maintained the stable condition during 4,000yr BP.

  • PDF

Analysis of Absolute Sea-level Chan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y Correcting for Glacial Isostatic Adjustment (후빙기조륙운동 보정을 통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절대해수면 변화 분석)

  • Kim, Kyeong-Hui;Park, Kwan-Dong;Lim, Chae-Ho;Han, D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2 no.7
    • /
    • pp.719-731
    • /
    • 2011
  • Based on the ICE-3G and ICE-5G ice models, we predicted the velocities of crustal uplift caused by Glacial Isostatic Adjustment (GIA) at 39 tide gauge sites operat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We also divid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ranges of $32-38.5^{\circ}N$ and $124-132^{\circ}E$ in $0.5^{\circ}{\times}0.5^{\circ}$ grids, and computed the GIA velocities at each grid point. We found that the average uplift rates due to GIA in South Korea were 0.33 and 1.21 mm/yr for ICE-3G and ICE-5G, respectively. Because the GIA rates were relatively high at ~1 mm/yr when the updated ice model ICE-5G was used, we concluded that the GIA effect cannot be neglected when we compute the absolute sea level (ASL) rat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corrected the ICE-5G GIA velocities from the relative sea level rates provided by KHOA and we computed the ASL rates at 13 tide gauge st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average ASL velocit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as 5.04 mm/yr. However, the ASL rates near Jeju island were abnormally higher than the other areas and the average was 8.84 mm/yr.

Numerical Simulation of Changes on Mixed Layer Depth with Climate Variability : SCHISM model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 변화양상 검토: SCHISM 적용)

  • Yoo, Hyung Ju;Lee, Joon-Soo;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3-273
    • /
    • 2022
  • 혼합층(Mixed layer)은 온도가 일정한 수심층으로, 해수표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수가 위아래로 섞여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층은 영양염의 순환과 산소의 공급 등과 함께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혼합층 두께의 변동은 양식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산업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강원연구원, 2017). 이에 국립수산과학원,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유관기관에서는 정선해양 수온 관측 및 해수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혼합층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격자 구축 및 초기·경계장 설정의 한계가 존재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혼합층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격자를 사용하여 격자 구축에 제약이 없는 SCHISM (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계절변화 및 기후변동성에 따른 혼합층 두께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해·동해·남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위도: 32°N ~ 39°N, 경도: 124°E ~ 132°E)으로 선정하였으며, 격자크기 100 ~ 3,000 m인 삼각격자로 격자를 구축하였다. 혼합층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격자 층은 50층으로 SZ(Sigma Z coordinate system)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초기·경계장은 FES(Finite Element Solution)2014,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및 대기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수치모형 검증을 위하여 수온관측소에서 수심별 측정한 수온 값과 SCHISM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상대오차가 약 10%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절별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대기모델과의 혼합모형 구축 및 다양한 수심 별 관측자료를 활용한다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혼합층 분석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지역에 대한 피해저감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Coastal Aquifers (연안암반대수층의 해수침투경향성 파악을 위한 전기전도도 시계열 분석과 예측)

  • Ju, Jeong-Woung;Yeo, In Wo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0 no.4
    • /
    • pp.267-276
    • /
    • 2017
  • Seawater intrusion into coastal fractured rock aquifer, resulting in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of serious concern in coastal areas of Jeolla Namdo, Korea, which heavily depends on groundwater resources.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were carried out to analyze and predict EC which is a major indicator of seawater intrusion. Two time series models of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ARIMA) and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SARIMA) were tested for suggesting appropriate time series model. Time series data of EC measured over one year showed a increasing trend with short periodic fluctuations, due to tidal effect and pumping, which indicated that EC time series data tended to be non-stationary. SARIMA model was found better fitted to observed EC than any other time series model. Time series analysis and modeling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to analyze EC at coastal fractured rock aquifer subject to seawater intrusion.

Trend Test of the Mean and Extreme Sea Level Data in the Korean Coast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해면 및 최극조위 자료의 추세 검정)

  • Kang, Ju-Whan;Cho, Hong-Yeon;Park, Min-Won;Park, Se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56-2160
    • /
    • 2008
  • 우리나라 연안의 평균해면이 증가하고 있다는 주장과 고극조위, 저극조위가 증가(또는 변동)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연구자가 사용한 자료의 기간 및 분석 방법 등에 차이가 있고, 결측자료(missing data) 및 이상자료(outlier) 등을 처리한 방법이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석결과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추세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신뢰수준에 대한 검정과정 없이 단순하게 선형회귀곡선식을 이용하여 기울기의 부호만으로 증가 감소를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추세분석은 최적의 추세곡선을 찾아내는 것 이전에 추세의 유무를 통계적인 신뢰수준을 기준으로 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추세분석의 필수과정인 추세검정(추세가 있는가? 없는가?)을 Mann-Kendall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 조위관측소의 평균해수면 및 고극조위, 저극조위 자료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추세검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평균해수면은 95% 유의수준으로 분석에 포함된 전체 30개 검조소 중 대산, 보령, 군산, 목포, 통영, 거문도, 부산, 가덕도, 제주, 서귀포, 속초, 포항, 울산, 울릉도 지점 등 19개 지점이 추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고극조위, 저극조위는 각각 15개, 17개 지점이 추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Hydraulic Behaviour in the Nearshore Zone by a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에 의한 연안해역 해수운동의 분석)

  • Lee, Hee-Young;Jeoung, Sun-Kil
    • Water for future
    • /
    • v.27 no.2
    • /
    • pp.73-83
    • /
    • 1994
  • The unproper development of the nearshore zone can enhance the diffusion of pollutant in the nearshore zone resulting in unbalanced sediment budget of beach which causes alteration of beach topograph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envirnmental change quantitatively. In this paper, the depth-averaged and time-averaged energy balance equation is selected to acount for the wave transformation such as refraction, shoaling effect, the surf zone energy disipation, wave breaking index and bore, due to wave breaking in the shore region.(Numerical solutions are obtained by a finite difference method, ADI and Upwind. For the calculation of the wave-induced current, the unsteady nonlinear depth-averaged and time-averaged governing equ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continuity and momentum equation for imcompressible fluid.) Numerical solutions are obtained by finite difference method considering influences of factors such as lateral mixing coefficient, bed shear stress, wave direction angle, wave steepness, wave period and bottom slope. The model is applied to the computation of wave transformation, wave-induced current and variation of mean water leel on a uniformly sloping beach.

  • PDF

A Study on the Water Level Change Characteristics and Overtopping Patterns by the Wind Field Variation during Passage of the Typhoon (태풍 통과시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특성 및 호안 월류 패턴에 관한 기초적 연구)

  • LEE GYONG-SEON;KIM HONG-JIN;YOON HAN-SAM;KANG YooN-Koo;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1a
    • /
    • pp.127-132
    • /
    • 2004
  • 본 연구는 2003 년 9월 내습한 태풍 매미로 인해 마산 진해 용원 지역을 포함하는 가덕수도 인근 해역의 태풍 매미의 풍역변화 특성과 개방형 및 폐쇄성 해역 등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호안 월류 패턴을 고찰하고 이를 모식화하였다. 태풍 매미 통과시 진해만의 경우는 풍향이 E-ESE 인 시점이 파랑에너지가1 충분히 발달하여 입사할 조건에 해당되고 마산만의 경우는 풍향이 SE-S인 시점이며, 부산신항 인근 해역은 S-SSW의 풍향이 유세한 시점을 중심으로 태풍파랑을 산정하여야 구조물에 미치는 정확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상 파랑의 내습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안정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태풍 통과시 천해역의 풍역변화에 따른 수위변동 및 파랑장 영향을 해석하고 입사파랑에 의한 구조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emi-permeable Subsurface Barrier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해수침입 저감을 위한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 효과의 수치적 분석)

  • Woo Chang Jeong;Hee Jae Yoon;Jae Hyun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9-509
    • /
    • 2023
  • 해수침입은 해안지역에서 각종 용수공급 특히 생활용수의 원활하고 지속적인 공급을 저해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침입의 정도를 저감하기 위해 수리학적 및 물리학적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불투성의 지하 차단벽이 가장 효과적으로 해수침입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경우 해수위 변동에 따른 해수와 담수의 원활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차단벽 좌우 양측 하단부에 장시간에 걸쳐 오염물질 퇴적 및 염분의 축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된 해안대수층 양끝단에 설치된 담수 저류조와 염수 저류조 사이의 수심차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에 대해 모의 및 분석을 수행한 후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염수침입의 차단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에 대한 모의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유효폭 및 투수계수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ea level Valiability and eddy in the South Indian Ocean by Multi-satellite data (Topex/Poseidon, ERS 1) (복수위성자료(Topex/Poseidon, ERS1)를 이용한 남인도양의 해수면 변화와 와동류 연구)

  • 윤홍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41-644
    • /
    • 2003
  • Sea level variability and eddy in the Amsterdam-Crozet-Kerguelen region of the South Indian Ocean were studied during 1 year(October 15, 1992~October 15, 1993) using multi-satellite data(Topex/Poseidon, ERSl) produced by signal treatement. We found that generally sea level variabilities(>10cm) exist along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in the area of 35$^{\circ}$~46$^{\circ}$S and especially strong sea level variabilities(20~30cm) were occurred by the effects of eddy due to botton topography in two small area: 49$^{\circ}$-57$^{\circ}$E and 38$^{\circ}$~42$^{\circ}$S, and 58$^{\circ}$ -64$^{\circ}$E and 42$^{\circ}$-44$^{\circ}$S.

  • PDF

Sea Level Valiability and Eddy in the South Indian Ocean by Multi-satellite Data (Topex/Poseidon, ERS1) (복합위성자료(Topex/Poseidon, ERS1)를 이용한 남인도양의 해수면 변화와 와동류 연구)

  • 윤홍주;서영상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9 no.4
    • /
    • pp.271-276
    • /
    • 2003
  • Sea level variability and eddy in the Amsterdam-Crozet-Kerguelen region of the South Indian Ocean were studied during 1 year (October 15, 1992~October 15, 1993) using multi-satellite data (Topex/Poseidon, ERS1) produced by signal treatment. We found that sea level variabilities (>10cm) generally exist along the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 in the area of 35$^{\circ}$~46$^{\circ}$S and strong sea level variabilities (20~30cm) were especially occurred from the effects of eddy due to bottom topography in two small area: 49$^{\circ}$~57$^{\circ}$E and 38$^{\circ}$~42$^{\circ}$S, and 58$^{\circ}$~64$^{\circ}$E and 42$^{\circ}$~44$^{\cir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