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온도차발전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LNG-Vessels Hybrid Engine Seawater Desalination Complex System (LNG 선박 하이브리드 엔진 및 해수 담수화 복합 시스템)

  • Lim, Jae Jun;Lee, Dong-Heon;Byun, Gi-Sik;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663-664
    • /
    • 2016
  • Temperature difference power generation using sea water is a method repeatedly closed liquefaction and gasification by using the ammonia (refrigerant) of the deep sea water and surface water with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urning the turbine.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e of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 energy generation development, the better. This is the story that the surface waters of the deep-water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But the winter is not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rface water and deep water has lowered energy efficiency. And desalination technologies accounted for 97% of the earth, but we can not eat the technology to convert sea water into fresh water, fresh water produced by the desalination technology that is available for various industries such as irrigation, drinking water in the vessel.In this paper, LNG transport vessels, based on the LNG transport ship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power generation using cold energy of thermal energy and LNG marine diesel engines, which use the existing order to improv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waters of the season that is the current problem we propose that a complex development of desalination and desalination of seawater freezing research into hybrid research and utilizing the cold energy of the engine.

  • PDF

Design of Riser in 1MW OTEC system mounted on Floating Barge (해상 부유식 1MW 해수온도차발전 시스템의 라이저 설계)

  • Kwon, YongJu;Jung, DongHo;Kim, Hyeon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8 no.1
    • /
    • pp.22-28
    • /
    • 2015
  • The design on a riser in 1MW OTEC system is performe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riser is decided depending on intake quantity of deep-sea water to supply an OTEC cycle. An applicable pipe material is selected from analyzing the properties of commercial pipes. The selected HDPE pipe with the low density and strength is reinforced with a lumped block attached at the end of and wire ropes along the riser. A lumped block, connected to a floating structure by wire ropes, with 25% and 50% weight of a GFRP riser is designed to be attached the end of a riser.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HDPE riser with wire rope supporting axial loads induced by a lumped block is analyzed under the harsh ocean environmental condition near Hawaii ocean with the numerical method. The final dimension of the riser and accessories is determined considering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e designed riser will be applicable to the construction of the 1 MW OTEC pilot plant.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on using the Discharging Seawater from LNG Receiving Terminal (LNG 인수기지의 방류해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개발방안)

  • Ha, Jongmann;Chae, Jeongmin;Son, Whas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92.2-192.2
    • /
    • 2010
  • 일반적 의미의 소수력발전은 계곡이나 저낙차의 하천에서 시도되었으나, 한국의 지형과 강수패턴등은 소수력발전을 활성화하기에 어려운 점들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정수장, 하수처리장등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소수력발전을 설치 운영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특히 화력발전소 냉각공정에 사용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이 크게 성공하였고 확대설치 되어가고 있다. 해안에 위치하는 LNG인수기지에서는 LNG의 기화에 해수를 열원으로 사용하며, 기화공정에서 열교환 후 바다에 배출된다. 이 때 기화해수와 공기와의 접촉으로 생성된 거품은 해양미생물과의 복합작용으로 쉽게 깨어지지 않고 바다로 떠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거품은 시각적 거부감으로 인하여 인근어민들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으며, 또한 배출해수와 일반해수와의 온도차로 인한 인근 어장이나 양식장의 어획고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더욱 방류해수의 적절한 처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류해수의 거품생성을 해결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심층배수법인데, 심층배수 구조물에 발전수차를 추가 설치만 하면 수력발전이 가능하다. 방류해수의 거품관련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청정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해양소수력발전에 대하여 KOGAS에서는 LNG 인수기지에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고 있으며, 방류해수의 낙차와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해양소수력발전을 LNG 인수기지에의 적용하는 것으로는 세계최초의 시도이다. 주변지형에 따른 입지여건을 분석하고, 해수계통분석, 소수력발전방법, 수차종류, 수차용량, 수차개수, pond의 크기등을 결정하고, 수리해석 및 경제성분석을 수행할 것이며 소수력발전의 타당성여부에 대한 가늠을 잡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hip's ORC Power System using Seawater Temperature Difference (선박의 해수 온도차를 이용한 ORC 발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Cheol;Song, Young-U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5
    • /
    • pp.349-355
    • /
    • 2012
  •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reduction of $CO_2$ gas emission and to increase recovery of waste heat from ships, the ORC(Organic Rankine Cycle) is investigated and offered for the conversion of temperature heat to electricity from waste heat energy from ships. Simulation is performed with waste heat from the exhaust gasse which i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cooling sea water which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from ships. The result shows that 1,000kW power generation is available from exhaust gas and 600kW power generation is available from sea water cooling system. Different fluid is used for simulation of the ORC system with variable temperature and flow condition and efficiency of system and output power is compared.

A Property Analysis on Spatial Distribu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for Site Selection of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lant (해양온도차 발전소의 입지선정을 위한 해수 온도차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 서영상;장이현;조명희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4
    • /
    • pp.567-575
    • /
    • 1999
  • This study found potential ability to generate electric power using difference in water temperature between sea surface water and deep water in the East Sea which includes the East Sea Proper Water with the temperature less than 1$^{\circ}C$ throughout a year without seasonal variation. To quantify the difference in water temperature between sea surface water and deep water in the East Sea. We computed the annual mean ($^{\circ}C$), the annual amplitude ($^{\circ}C$), the annual phase (degree) and the duration time which showed more than 15$^{\circ}C$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water temperature data using Harmonic analysis during 1961~1997. The best place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in the East Sea seems to be the eastward ocean areas (36$^{\circ}$ 05'N, 129$^{\circ}$ 48'E~36$^{\circ}$ 05'N, 130$^{\circ}$ 00E'E) from Pohang city. The annual mean of the difference in water temperature between sea surface water and 500 m depth was 24$^{\circ}$C at the place to generate electric power in August according to the data of 1961~1997. the maximum duration periods with more than 15$^{\circ}C$ temperature difference were 215 days (5/5-12/10) a year in the place mentioned electricity with a stable plan. In the East Sea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verage minimum depth to reach the East Sea Proper Water from surface water is 300 m and fluctuates between 250 m and 350 m throughout a year. Further studies could be needed for the utilization of cold water, such as the East Sea Proper Water for energy conversion.

  • PDF

Utilization of Energy in the Sea Water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한국남서해의 열 에너지 이용)

  • 장선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4 no.2
    • /
    • pp.113-116
    • /
    • 1978
  • To ascertain the feasibility of the energy utilization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the distribution of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re studied in relation to the sea water circulation. In summer, a region of high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approximately 16$^{\circ}C$ was found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40 miles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It is located at the west of 125${\circ}$ 30`E and at the north of 34${\circ}$N. The vertical temperature structure is sustained by the inflow of Yellow Sea Warm Current water, the warming of the surface water of the Yellow Sea and the periodical renewal of the Yellow Sea Cold Water. It may be stated that power can be obtained from the sea water by making the use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was around 14$^{\circ}C$ in the western and southern waters of Jejudo Island.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decreases in autumn, and disappears due chiefly to the vigorous convective vertical mixing in winter when the northwest monsoon prevails. The power can be obtained from sea throughout the year, if power generation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combined with that by wind and wave, and systemized in such a way that the former is employed in the hot season of summer, while the latter in winter and spring.

  • PDF

설비기술 - 평창올림픽 빙상장에 해양심층수 활용한 냉난방 시스템 적용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8
    • /
    • pp.68-70
    • /
    • 2012
  • 평창올림픽 빙상장에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가동 방안이 추진된다. 국토해양부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아래의 해양심층수가 연중 $2^{\circ}C$ 정도를 유지하는 점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올림픽 빙상장에 한국해양연구원의 '해수냉난방시스템' 및 '해수온도차 발전' 연구개발 사업 성과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 전기에어컨이나 흡수식 냉동기 등에 적용되면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는 60%, 비용은 82%,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4% 줄어들게 된다.

  • PDF

On Numerical Simulation of Salt-Water Wedge in Coastal Aquifer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관한 수치적 고찰)

  • Lee, Woo-Dong;Hur, Dong-Soo;Jeong,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2-82
    • /
    • 2015
  • 해안 대수층은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해수가 대수층의 담수 아래에 쐐기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쐐기형태의 해수와 담수의 경계면은 압력경도의 평형에 의해 경계면이 유지되며, 해수면 또는 지하수위가 변동할 경우 해수-담수 경계면의 균형이 무너짐과 더불어 압력경도의 평행이 이루어질 때 까지 해수-담수 경계면의 이동이 계속 진행된다. 수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해수면 상승과 도서지역의 인구증가 및 산업화로 인한 무분별한 지하수의 사용 등에 의한 지하수위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거리가 증가하여 지하수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 범위 및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서로 밀도가 다른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해안 대수층 내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들이 많다. 과거에는 Darcy의 법칙 및 Ghyben-Herzberg 식에 근거한 이론적인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고, 근래에 현장관측이나 수리모형실험이 국내 외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모든 영역의 지하수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수치해석방법에 의한 수치모델들이 개발되어 시뮬레이션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수치모델은 해안 대수층 수리특성을 투수계수에 의존하고 있을 뿐, 대수층 내부의 해수-담수에 의한 밀도류의 유동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채 정수압에 근거한 해수-담수 경계면에 대해 모의하고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수층 내부의 유동현상을 투수계수에 의존하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대수층 매체의 입경, 공극, 형상 등을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분 및 온도차에 의한 밀도류를 해석할 수 있는 강비선형 수치모델을 개발하여 해수침투 현상을 직접 모의한다. 나아가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에서 간과하고 있는 해안지역의 대표적 물리력인 파랑과 조석의 영향이 해안 대수층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해안 대수층의 지하수위 및 해수면의 수위차에 의한 해수침투 특성 그리고 이를 제어 할 수 있는 새로운 대응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