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소통량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Estimation of Sea Water Transport by Water-depth Variation at Pier-bridge between Busan New-port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부산 신항-낙동강 하구역 연결잔교부의 물질수송 해석(II) - 잔교주변 해저수심변화에 따른 해수소통량 예측 -)

  • Lee, Young-Bok;Ryu, Seung-Woo;Yoon, Han-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3
    • /
    • pp.197-203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transport between Busan New-port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Numerical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urrent. Numerical simulations of three different topograph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olume of sea water transport was reduced by $0.7{\sim}18.4%$ when water depth was decreased at Busan New-port (10 m); 2) The volume of sea water transport was increased by $3.5{\sim}21.9%$ when a channel (depth 5 m) was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 PDF

Analysis of Seawater Transport based on Field Measurements at Pier-bridge between Busan New-port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부산 신항-낙동강 하구역 연결잔교부의 물질수송 해석(I) - 현장조사를 통한 잔교부 해수소통량 평가 -)

  • Lee, Young-Bok;Tawaret, Attapon;Kim, Heon-Tae;Yoon, Han-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3
    • /
    • pp.189-195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transport between Busan New-port and the Nakdong River estuary. A current meter was placed on a pier bridge and the current velocit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flow direction. Water temperature, salinity, turbidity, and tide were also measur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and to describe the tidal current between the two reg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ominant outflow direction of the ebb tidal current was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to Busan New-port. Conversely, during a flood tide, the dominant direction was from Busan New-port to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maximum current spe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field measurements was about 13.18 and 30.80 cm/ sec, respectively. During the first field measurement, the total volume of sea water transport was $184.71\;m^3/sec$ and the residual volume transport was $+59.74\;m^3/sec$. By contrast, during the second field measurement, the respective values were $331.15\;m^3/sec$ and $28.88\;m^3/sec$.

  • PDF

Characteristics of water behavior and flow simulation in waterway (운하의 수체거동 특성 및 거동 모의)

  • Lee, Yosang;Jung,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4-384
    • /
    • 2015
  •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건설된 경인운하는 한강과 서해를 잇는 길이 18km로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한강과 서해에서 해수와 담수가 유입되고 유출되면서 매우 복잡한 수체 거동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서해에서의 유입은 조위로 인해 유입량이 매일 변화하며 해수와 담수 간 비중차이로 인해 수심에 따른 거동특성도 상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체거동특성을 조사하여 유수소통을 통한 수질관리에 활용하고자 한다. 수체의 거동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순간적인 유속을 조사하는 방법과 장기간 거동을 조사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조사에서는 부이를 이용하여 장기간 수체의 거동을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활용하여 EFDC모델을 적용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체 거동조사는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주요지점에서 수심별로 수행하였다. 2014년 2월 18일에 아라마루 지점에서 수심 1m와 3m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기간 중 한강의 유입량은 최소 $5.2m^3/sec$, 최대 $14.2m^3/sec$을 나타냈고, 서해 유입량은 갑문의 유입과 배수문의 유출입량을 더하여 최대 $274.6m^3/sec$를 나타냈으며, 서해 유출량은 $136.9m^3/sec$으로 나타났다. 수심 1 m에서는 해수의 유입과 유출량에 의해 뚜렷한 유속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유출시 최대 유속은 38.5 cm/sec이고, 유입시 최대 유속은 49.3 cm/sec로 나타났다. 수심 3 m에서는 해수의 유입과 유출량에 의해 뚜렷한 유속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유출시 최대 유속은 34.4 cm/sec이고, 유입 시 최대 유속은 40.0cm/sec로 나타났다. 다양한 상황에 대한 운하수체의 유속 특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리모델을 적용하여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한강에서 유입된 수체가 서해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정해 보았다. 모의 조건은 2014년 5월 12일부터 22일까지의 유량조건을 경계조건으로 하였으며, particle tracking의 시작지점은 경인아라뱃길 김포터미널 지점 표층 1m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 결과 김포터미널의 수체가 인천갑문에 도달 하는데 약 6.3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이는 유출입량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향후 보다 다양한 조건에서 모의를 실시하여 수질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material transportation under water-depth variation scenario at pier-bridge of Busan New-port (부산신항 연결잔교부의 해저수심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물질수송량 해석)

  • Lee, Young-Bok;Ryu, Seung-Woo;Ryu, Cheong-Ro;Tawaret, Attapon;Yoon, Han-Sam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8.05a
    • /
    • pp.61-67
    • /
    • 2008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ransportation between Busan new-port and Nakdong river estuary. Measurements of water temperate, salinity, turbidity, and tide is also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a water and described the tidal current between two regions.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numerical modeling is used. From the observed results, the total volume transport of sea water calculations revealed $184.71m^3/sec$ and residual volume transport was $(+)59.74m^3/sec$ during the 1st field measurement, and the total volume transport was $331.15m^3/sec$ and residual volume transport was $(-)28.88m^3/sec$ during the 2nd. The numerical simulation for three different topography cases a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olume of material transportation about $0.7\sim18.4%$ is decreased as the depth of Busan new-port decrease (10 m). 2) The volume of material transportation about $3.5\sim21.9%$ is increased, as channel(water depth is 5 m) constructed to the Nakdong river estuary direction.

  • PDF

하계 진도 마로해의 해양환경과 엽록소 $\alpha$ 량의 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서호영;박종식;김병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4-215
    • /
    • 2001
  • 한국 남서해역의 끝단에 위치하는 마로해는 진도와 해남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유속과 다양한 수괴의 영향을 복잡한 해양환경 특성을 나타내는 해역이다(Rho and Pang; 1995; Yoon, 1998, 2000). 또한 연안수의 풍부한 영양염류 공급과 원활한 해수 소통으로 인하여 오래 전부터 김을 비롯한 해조류 양식이 성행하는 곳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해양환경특성과 해역을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과학적으로 수행된 연구조사는 전무한 실정이기도 하다. (중략)

  • PDF

Simulation of mixing process and influence zone of the fresh water for the inner Saemankeum reservoir and outer region regarding seawater bypassing (해수소통이 전제된 새만금호 내부의 혼합확산거동과 외해역의 영향범위 모의)

  • Suh Seung Won;Mok In Kyun;Kim Jun Ho;Yu Kyu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43-547
    • /
    • 2005
  • 해수소통을 전제한 경우 새만금호 내측의 염분변화가 만경강의 평수량 및 홍수량 유입에 따라 혼합확산되는 것을 평가하고 배수갑문 방류시 담수가 외해에 미치는 영향범위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모형실험이 실시되었다. 이때 새만금호 내부의 관리수위는 DL=-1.5m, DL=-0.5m, DL=-0.0m, DL=+0.5m가 고려되었다. 외해역의 평가는 새만금을 포함한 전체해역에 대해 외해경계에서 4개의 주요분조($M_2,S_2,K_1,O_1$)의 진폭과 위상각을 대입하고 2차원 ADCIRC 및 3차원 TIDE3D 모형을 적용하였다. 내부는 여기에 3개 연직층을 고려한 3차원 ICM 모델이 추가 적용되었다. 내부의 혼합확산 평가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해에서 유입되는 염수가 상대적으로 저염인 담수호 내부로 유입 확산되는 것이 평면적으로나 연직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매우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고, 최소 1개월 이상 경과되어야 만경호측에 외해수가 혼합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수문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만금 방조제 외해의 최강창낙조시 조류속도는 0.5-0.6m/s 정도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시갑문을 개방하는 경우 관리수위가 DL=-1.5m와 DL=+0.5m로 변함에 따라 갑문 전면 10Km-l3Km에 이르는 해역까지 수문개방에 따라 0.5m/s의 유속이 형성된다. 가력갑문을 개방하는 경우는 신시갑문의 개방에 따른 영향보다는 작지만 갑문 전면 14Km까지 0.5m/s의 강한 유동이 관리수위별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담수 방류로 인한 영향이 주기적으로 낙조시에 발생되어 새만금 방조제 전면의 해수순환과 유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개연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cdot$유출에 의한 수질변화양상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수질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배수갑문 개방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Gagokchon Riv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hannel Environment (가곡천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Choi, Jong Ho;Jun, Kye Won;Yoon, Y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0-260
    • /
    • 2019
  • 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유황에 따른 하천상류에서의 토사유입량에 의해 하구부가 빠르게 변화한다. 본 연구대상지인 가곡천은 유로연장이 짧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집중호우시 토사가 하류로 빠르게 유입되어 일반하천에 비하여 하구부의 지형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가곡천 하구부는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호산해수욕장과 경관적 및 자연적 가치로 인해 보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하중도인 솔섬이 위치해 있다. 그러나 현재 솔섬 주변 하구부 인근의 일반산업단지 건설과 고향의 강 조성사업에 따른 하도환경의 변화로 하도를 유하하는 유수의 흐름 및 침퇴적 양상의 변화를 가져와 홍수의 원활한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현장조사 및 모니터링 결과 하구 지형변화로 인해 하도안정 유지관리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곡천 하구부의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및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하도안정을 파괴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가곡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빈도별 홍수량, 기점홍수위를 경계조건으로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SRH-2D모형을 이용하여 하도환경 변화 전 후의 대상구간에 대해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하도환경 변화(홍수터 및 징검여울 등의 하천시설물 조성)에 따른 수리특성변동양상과 침 퇴적지점에 대한 변동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 하구부에 위피한 하천의 다양한 변화 해석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mulation of Mixing Transport on Inner Reservoir and Influence Impacts on Outer Region for the Saemankeum Effluents Caused by Gate Operation (새만금호 수문 개방에 따른 내측의 혼합수송 및 외해역의 방류영향모의)

  • Suh Seung-Won;Cho Wan-Hei;Yoo Gyeong-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1
    • /
    • pp.43-52
    • /
    • 2006
  • Numerical model tests are done in order to evaluate impact zone of low salinity water on outer region of the developing Saemankeum reservoir. Also saline mixing processes are investigated f3r the inner reservoir with consideration of Mankyoung and Donjin riverine flood discharges when sea water is passing freely through gate. In these analyses 2-d ADCIRC, 3-d TIDED3D and CE-QUAL-ICM models are used. Through models tests, it is found that inner reservoir mixing process caused by inflow of outer sea water occurs gradually. It takes at least one month for complete mixing on Mankyoung part and 6 month on Dongjin part of the reservoir. When Sinsi or Garyeok gates are opened to control inner reservoir level, discharging velocities decrease exponentially from the gates, but show very strong currents of 0.5m/sec to the 10Km region apart. These results imply that hydrodynamic circulation and ecosystem of frontal region of the Saemankeum dike might be affected in amount by gate operations, since low saline inner waters are discharged periodically at ebb tide according to tidal level.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Slope and Length of Apron on Discharge through Gate Structure (물받이 길이 및 접근경사에 따른 조력발전 배수구조물 통수능 검토 실험 연구)

  • Yoon, Kwang-Seok;Yeo, Kyu-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26-1030
    • /
    • 2005
  • 조력발전 건설사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조수간만에 의해 외해부와 조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해수를 적절히 소통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조지 단류식 발전으로 창조시에 발전을 행할 경우, 발전을 행하면서 높아진 조지내의 수위를 다음 발전을 위해서 낮아진 외해수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수시키지 못하면 그 시설은 발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수문구조물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계획된 유량을 충분히 그리고 안전하게 배제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구조물에 대한 물받이의 길이와 경사의 변화에 의한 외해 조위와 시화호 수위차 조건에 따른 유량계수를 구해 배수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화호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수리모형을 1:25의 축척비로 제작하였다. 시화방조제를 기준으로 외해부의 조위와 조지부의 수위차를 8가지의 실험조건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량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8개 실험조건을 계획에서 제시된 수위-조위 조건에서 수위차 및 통수유량을 분배하여 결정하였고, 유량계수 산정식에 따라 상류 흐름 안정지점에서 유속-면적법에 의해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유속은 8개 지점에 대해서 측정하였고, 각 측정지점에서의 측선은 $3\~5$개이며, 측점은 $3\~4$점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화호와 외해의 수위차가 1.011m일 때의 수문을 통과하는 유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 II와 III의 통과유량은 각각 $1,571m^3/s$$1,515m^3/s$ 의서 실험 I 의 $58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은 수위차별 유량곡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 II에서의 수문의 통수능이 실험 I의 통수능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 PDF

Seagrass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Bed in the Brackish Lake Hwajinpo, Korea (화진포 기수호에 해산식물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 Lee, Sang-Yong;Kwon, Chun-Joong;Heo, Sung;Choi, Chung-I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3 no.4 s.92
    • /
    • pp.336-34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seagrass.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in the brackish Hwajinpo Lake, Korea in June 1998 and July 2000. Z. marina beds were distributed along the sea-side cost of the lower lake mouth at 0.8 to 1.5m in death, and the seagrass bed area was about 3,200 m$^{2}$. Salinity, water temperature and pH were in the range of 8.0${\sim}$23.0$%_{o}$, 22.0${\sim}$23.7$^{\circ}C$ and 8.34${\sim}$8.62, respectively.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generally now (TN: 24.34 ${\mu}$M, NH$_{4}$-N: 2.57 ${\mu}$M, NO$_{3}$-N: 0.56 ${\mu}$M, NO$_{2}$-N: 0.27 ${\mu}$M, TP: 2.08 ${\mu}$M, PO$_{4}$-P: 0.34 ${\mu}$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SPM) concentration averaged 62.8 mg/l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averaged 21.3 mg/l. Organic content of SPM averaged 33.9%. The beds substratum was composed of well-sorted, fine sand and its mean brain size was 3.13${\Phi}$. The Z. marina vegetation was almost submerged,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as steno-leaf phenotype by the shoot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f vein. Shoot length and leaf width were 70.0${\sim}$126.5 cm and 5${\sim}$7 mm, respectively. Shoot densities ranged from 264 to 296/m$^{2}$, and the plants biomass was estimated at 332.6 to 373.0 g dw/m$^{2}$. Therefore, the habitats of Z. marina in Korea were recognized in a brackish lak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vari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