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송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6초

해송$\times$소나무 $F_1$ 교잡종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trol-Pollinated Progenies of Pinus thunbergii$\times$P. densiflora)

  • 이철호;김규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2-445
    • /
    • 2007
  • 해송$\times$소나무 인공교배 차대들의 침엽 및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해송$\times$소나무 교잡종 3, 5, 8년생 수고생장은 조합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해송(충남 4)$\times$소나무(강원 29) 조합 3, 5, 8년생의 수고생장이 110, 172, 234cm로 전 조합 평균보다 8%, 9%, 11% 우수하였으며, 교배 모수인 해송 수형목 충남4호와 화분수인 소나무 수형목 경북 5호 보다도 각각 46%, 61% 우수한 생장을 하여 잡종강세 현상으로 생각된다. 해송$\times$소나무 침엽의 수지구지수는 $0.71{\sim}0.89$로서 교배모수인 해송을 더 많이 닮았다.

임목(林木)((해송(海松)) 적지선정(適地選定)에 관한 연구(硏究) (The Selection of the Suitable Site for Forest Tree(Pinus thunbergii))

  • 정영관;박남창;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420-430
    • /
    • 1993
  •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주요 수종(樹種)인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하리라 예상되는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과 환경인자(環境因子)중 18개 인자(因子)를 218개 표준지(標準地)에서 측정(測定)하여 설명변수로 하고, 해송(海松)의 수고생장량(樹高生長量), 즉 임분(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를 반응변수로 하여 상관분석, 편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해송(海松)의 적지선정(適地選定), 생장량(生長量) 추정 및 비배관리 등에 대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이 연구(硏究)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토양(土壤) 및 환경인자(環境因子)간의 상관에 있어서, 지위지수(地位指數)와 유효토심간의 상관계수 r=0.6498로 약간 높게 나타났고(p<0.01), 다음으로 경사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순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2. 각종 인자간의 내부상관을 배제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 영향인자간의 편상관에 있어서는 유효토심(r=0.6270), 경사도(r=-0.5423), 염기포화도(r=0.3278) 순으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 단계적회귀분석 결과,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군(因子群)은 유효토심, 경사도, 유기물함량, 염기포화도, 토양산도, 미사함량 및 치환성 $Ca^{{+}{+}}$ 군(群)으로 나타났다. 4. 토양(土壤) 및 환경인자(環境因子)에 의한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 추정식은 $Y=13.2691+0.0242\;X_2-1.2244\;X_4+0.6142\;X_5-0.3472\;X_{11}+0.0355\;X_{13}+0.1552\;X_{15}-0.1002\;X_{17}$으로 도출되었고, 추정식에 대한 적합도는 77%로 나타났다. 5.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에 영향하는 인자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eigenvalue 1.0 이상의 주성분은 6개였으며, 이들의 누적기여율(累積奇與率)은 71.1%였다. 6. 요인분석(要因分析)에 의하여 산출된 6개의 요인점수(要因點數)와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와의 관계를 단계적회귀분석한 결과, 5개의 요인점수(要因點數)를 갖는 추정모델이 도출되었다. 이 해송임분(海松林分)의 지위지수(地位指數) 추정모델에 대한 $R^2=0.8481$로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회귀계수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해송(海松)의 수고생장(樹高生長)에 관여하는 인자(因子)를 선정하는 방법은 요인분석(要因分析)에 의한 회귀분석(回歸分析)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송임분(海松林分)의 경영은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선정된 임목생장(林木生長)에 관여하는 인자(因子)를 고려하여 실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각산호류(산호충강: 꽃말미잘아강)의 3미기록종 (Three New Records of Antipatharia (Anthozoa: Ceriantipatharia) from Korea)

  • 문혜원;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05
  • 한국산 해송류는 1과 2속 3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제주도에서 채집된 해송류로부터 3종인 빗자루해송 (Antipathes densa), 큰꽃해송 (A. grandiflora) 및 망해송 (A. dubia)이 새로이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된다. 이들은 주로 생태, 산호체의 분지양상, 폴립과 가시의 크기와 배열 및 자포형에 근거를 두고 기재를 하였다. 3종류의 자포형인 spirocysts, basitrichs, microbasic p-mastigophores를 지니고 있었으며, spirocysts와 basitrichs는 촉수에 분포하였고, microbasic p-mastigophores는 주로 격막사에 존재하였다.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의 토양(土壤) 및 해송엽중(海松葉中)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 (The Relationship between Pollutants in Soil and Leaves in Air Polluted Areas)

  • 김종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0-145
    • /
    • 1992
  •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인 온산공단주변(溫山工團周邊) 해송엽(海松葉)의 엽에(葉) 대한 오염물질분석(汚染物質分析) 및 토양(土壤)과 엽(葉)의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해송엽(海松葉)에 대(對)한 수용성류황함량(水溶性硫黃含量)은 0.06-0.25%이었으나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는 0.13-0.25%로 높게 나타나 해송엽(海松葉)의 생육(生育)에 지장(支障)을 줄것으로 판단(判斷)되었으며, 엽중(葉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은 Fe은 87.2 ppm-319.8 ppm, Mn은 100.0 ppm-581.3 ppm, Zn은 39.0 ppm-134.0 ppm Cd은 1.2 ppm-4.8 ppm으로 나타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온산공단(溫山工團) 제련소주변(製鍊所周邊)의 해송엽(海松葉)에서 높게 나타났고, 공단(工團)에서 배출(排出)되는 이들 중금속(重金屬)들은 해송(海松)에 영향(影響)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었으나, Cu와 Pb은 전(全) 조사지(調査地)에서 미량(微量)만 나타나 아직은 식물피해(植物被害)에 큰 영향(影響)은 없었다. 토양(土壤)과 해송엽중(海松葉中) 오염물질간(汚染物質間)의 상관분석(相關分析)에서는 토양중(土壤中)의 유황함량(硫黃含量)과 엽중(葉中)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간(含量間)에는 5%수준(水準)에서, 토양중(土壤中)의 Fe, Zn, Cd과 엽중(葉中) Fe, Zn, Cd간(間)에도 5% 및 1%의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어 토양(土壤)속의 이들 중금속(重金屬)과 엽중(葉中) 중금속간(重金屬間)에는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그러나 Mn에서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 PDF

거제 학동 동백나무림 주변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around Camellia japonica Stand in Hakdong, Geoje Island)

  • 정재민;정혜란;강진택;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1-40
    • /
    • 2010
  •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 보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다. 현장조사는 동백나무림, 혼효림, 편백조림지, 해송림에서 이루어졌다. 교목층은 동백나무림과 혼효림에서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편백조림지는 편백, 해송림은 해송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경우 동백나무림은 동백나무, 혼효림은 좀작살나무, 편백조림지는 참식나무, 해송림은 때죽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동백나무림 0.121~1.589, 혼효림 0.543~1.540, 편백조림지 0.276~1.321, 해송림 0.764~1.52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pH는 동백나무림 5.72. 혼효림 5.26, 편백조림지 5.21, 해송림 5.32로 분석되었으며,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동백나무림 5.77, 0.48%, 혼효림 4.41, 0.30%, 편백조림지 3.28, 0.33%, 그리고 해송림이 5.32, 0.28%로 나타났다.

산성강하물과 해송엽 엽록소의 관련성 (Relation of Acid Depositions and Chlorophyll Concentration in the Pinus thunbergii Leaf)

  • 이총규;김종갑;황진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35-41
    • /
    • 2011
  • 본 연구는 공단지역과 도시지역의 산성강하물과 해송엽의 엽록소 함량과 관련성이 있는 인자를 조사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해송 임분의 수관통과우 pH는 공단지역이 pH 4.20이었고, 도시지역이 pH 4.87이었다. 공단지역과 도시지역의 해송엽의 엽록소 전체 함량은 각각 0.5984와 0.6784로서 공단지역에서 함량이 낮았다. 지역별 $SO_2$농도는 공단지역이 0.029 ppm, $NO_2$농도는 도시지역이 0.021 ppm이었다. 해송엽의 엽록소 함량과 산성강하물의 인자 상호간의 상관은 pH (r=-0.8769), ${NO_3}^-$ (r=0.6983), ${SO_4}^{2-}$ (r=0.8929)이온, $SO_2$ (r=0.8738), $NO_2$ (r=0.8523)이었다 (p<0.01). 해송엽의 엽록소 함량 (Y)에 관여하는 인자의 회귀 방정식은 Y=4.8979 + 0.7698pH + $0.8412{SO_4}^2$ + $0.8673SO_2$, + $0.8767NO_2$+ $0.8767{NO_3}^-$ ($r^2$=0.8873)이었고, 이때의 설명력은 88%이었다.

해안방재림 조성지에 식재한 해송의 생장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of Pinus thunbergii planted in a Costal Sand Zone)

  • 김현필;이헌호;이주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56-662
    • /
    • 2012
  • 본 연구는 경북 울진군에 조성된 해안방재림을 대상으로 식재된 해송의 생장특성을 조사하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9개소 3,600본의 해송을 4년간 모니터링 하였으며, 식재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생장량이 조사되었다.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환경인자로 풍속과 전기전도도, 토양산도, 토양습도 등의 토양조건을 조사하여 생장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풍속이 식재된 해송의 생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양조건 역시 풍속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해안방재림으로 조성된 해송의 생장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풍속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장 중요하며, 향후 이를 위한 퇴사울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나무와 해송 화분의 화학적 성분과 파쇄 조건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and Pulverization Conditions of the Polle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nd Pinus thunbergii Parl)

  • 김계환;오혁근;윤계순;박준모;최태기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1999
  • 소나무와 해송 화분에 대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화분 파쇄 최적 조건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소나무 화분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9.8%, 조회분 2.3%, 조단백질 11.9%, 조지방 2.9%, 조섬유 7.7%, 당질 65.4%이었으며, 해송 화분은 수분 10.5%, 조회분 2.2%, 조단백질 13.5%, 조지방 3.5%, 조섬유 8.5%, 당질 61.8%로서 일반곡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2)소나무와 해송 화분에서 각각 18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0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원으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소나무 화분은 비탄민 A 7.9㎎, B1 8.7㎎, B2 19.2㎎, C 31.5㎎, E 2.0㎎, 해송 화분은 비타민 A 8.5㎎, B1 9.4㎎, B2 15.7㎎, C 35.3㎎, E 1.8㎎ 함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였다. (4)소나무 화분립은 5,000rpm으로 40분간, 해송 화분립은 5,000rpm으로 50분간 파쇄함으로써 100% 화분 파쇄가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