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석과 설명

Search Result 1,59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Modification Scope Analysis of the Embedded Sentences in Korean and Japanese Machine Translation (한일 기계번역을 위한 보문의 수식 Scope 해석)

  • Lee, Soo-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46-350
    • /
    • 1996
  • 한일 양언어의 복합문은 여러가지의 통어 현상을 가지며, 주어, 목적어 등의 생략 현상으로 문장의 표층상에 나타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수식구조의 처리가 복잡해지고, 구문해석에 있어서 애매성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PN에 의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일 양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한국어와 일본어의 보문을 표현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사의 격정보로부터 DPN을 구성하여 DPN상에서 보문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해석과 계측을 이용한 구조물의 피로 수명예측

  • 김외현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2
    • /
    • pp.144-152
    • /
    • 1989
  • 피로 해석과 관련한 기초적인 사항과 실제 현업에서 해석 혹은 계측을 통하여 피로 수명을 예측 하고자 할 때 고러할 점들과 적용례를 설명하였다. 설계단계에서부터 피로해석이 실용화되고 계측 등을 통한 자료축적으로 높은 신뢰도의 구조물이 설계. 제작되었으면 한다.

  • PDF

3상 Thyristor Inverter동작 Mode의 Vector해석법 1

  • 황영문
    • 전기의세계
    • /
    • v.23 no.4
    • /
    • pp.32-35
    • /
    • 1974
  • Thyristor inverter의 유형은 Switching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있는데, 크게 나누어 Bridge형 converter와 Cycloconverter로 나누는데, 여기서는 이중 3상 Bridge형 Thyristor Inverter에 대한 전력변환과정을 Vector해석법에 의하여 그 개요를 설명하고, 여기에 현재 가장 효율적 switching방식이라 보고 있는 펼스폭변조환류게이트방식(Pulsewidth modulation commutation gating system)을 적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첨가 설명코자 한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선체구조해석 기법

  • 송재영;이정렬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46-51
    • /
    • 1997
  • 본 고에서는 3차원 전선구조해석에 사용하는 직접구조해석기법 및 준직접구조해석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선계산을 통하여 두 기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직접구조해석은 준직접구조해석에 비하여 방대한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선구조해석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추천할 기법은 아니나 준직접구조해석의 검증, 피로해석 및 신로도 해석 등 응력의 확률 기준이 필요한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 PDF

진동기초의 설계

  • 심종성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6 no.1
    • /
    • pp.4-10
    • /
    • 1993
  • 본 기사는 지난 2월 한양대학교에서 개최되었던 제7회 기술강습회 교재의 내용을 발췌하여 요약정리한 내용으로서, 진동기초의 설계개념을 다른 일반적인 기초와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 기술하였다. 본 기사에서는 전체적인 설계절차 및 개념을 소개하기 위하여 해석이론 부문의 언급을 회피하였는데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다른 주제에서 다루게 된다. 즉, 두번째 주제에서는 블럭형 기초의 설계에 대한 해석이론 및 설계절차를 예제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세번째 주제에서는 프레임형 기초, 그리고 네번째 주제에서는 깊은 기초에 대한 해석이론 및 설계절차를 역시 예재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섯번째 주제에서는 기계진동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진기초의 설계개념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PDF

Analysis of wavelength conversion by highly nondegenerate four-wave mixing in a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반도체 광증폭기내의 Highly Nondegenerate Four-Wave Mixing에 의한 파장변환의 해석)

  • 우상규;이연호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0 no.4
    • /
    • pp.294-300
    • /
    • 1999
  • The density matrix is solved more rigorously, compared with the third-order pertubation method used in the conventional theory, for a semiconductor laser amplifier. Then the coupled wave equations are derived to explain the wavelength conversion due to the spectral hole burning in th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It is shown that our results can explain the effect of saturation of the population density on the electric polarization, which affects the four-wave mixing and wavelength conversion,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theroy where the third-order pertubation is used.

  • PDF

나선이론에 의한 로봇의 운동 및 역학적 해석

  • 최용제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7
    • /
    • pp.616-625
    • /
    • 1991
  • 운동하는 임의 강체의 순간속도는 플뤼커의 축좌표에 의한 트위스트로 표현될 수 있고 마찬가 지로 직렬형 로봇의 손의 운동 또한 한 개의 트위스트로써 순간속도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Jacobian이 나선좌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한편, 강체에 작용하는 힘은 플뤼커의 방사좌 표에 의한 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역관계에 있는 두 나선에 의하여 표현된 트위스트와 치가 로봇의 역학적 해석에 어떻게 이용되는 가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처럼 나선이론은 다 자 유도를 갖는 로봇의 운동 및 역학적 해석에 이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수학적도구라 할 수 있다. 나선은 하나의 기하적 요소이며, 복잡한 강체의 운동을 표현함에 있어서 간편함을 제공한다. 이미 한 세기 전 쯤에 소개된 나선이론이 근래에 와서 이와 같이 로봇의 운동해석에 활용되고 있음은 이러한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나선이론은 이 글에서 설명이 생략된 로봇의 동역학적 해석에도 활용되며, 또한 병렬형 구조를 갖는 로봇(parallel robots)의 해석 등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 PDF

A Deflationary Understanding of Radical Interpretation (원초적 해석의 축소주의적 이해)

  • Kim, Donghyun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2
    • /
    • pp.131-154
    • /
    • 2013
  • Michael Williams, in his paper, rejects the wide-accepted view that Donald Davidson's radical interpretation is a truth conditional account of meaning, and suggests a claim that robust truth in fact does not play any role in Davidson's interpretation and thus interpretation can be in accord with the deflationary theory of truth. In this paper, I will first research the right understanding on the explanatory relations in radical interpretation between truth and meaning, and on that ground, will evaluate the adequacy of Williams' suggestion. My diagnosis is that the acceptability of Williams' idea depends on how we regard the several factors which are crucial for interpretation. Especially I will argue that whether truth condition is regarded as deflationary or inflationary makes difference to the way of understanding radical interpretation, hence the room for taking radical interpretation as deflationary can be in two different ways. Furthermore I will show the same argument can be applied to Williams' another claim that Paul Horwich's use theory of meaning is similar to Davidson's account.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15-27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한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인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Associations)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위해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방법으로 관계형 술어논리(RPL : Relational Predicate Logic)를 개발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한 RPL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구조(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 PDF

Systems Engineering에 대하여 I

  • 고명삼
    • 전기의세계
    • /
    • v.18 no.5
    • /
    • pp.26-31
    • /
    • 1969
  • 이글에서는 앞으로 시스템 공학에 특유한 수학적해석방법을 수시로 도입하면서 system 공학의 합성, system 공학의 해석과 최적화, system공학의 영역과 그 응용례를 차례로 들면서 설명하고저한다. 끝으로 부언하지 않은 이상은 어디까지나 Deterministic Models에 한한 것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