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풍력발전시스템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상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부유식 플랫폼 형식에 대한 기술보고

  • Jeong, Tae-Yeong;Mun, Seok-Jun;Im, Chae-Hwan
    • 기계와재료
    • /
    • v.22 no.2
    • /
    • pp.72-81
    • /
    • 2010
  • 본고에서는 유럽, 미국, 일본에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는 해상 풍력발전시스템을 위한 부유식 플랫폼에 대한 연구활동 및 기술내용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이 실증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실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늦어도 10년 내에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조성이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고를 통하여 지금까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시스템으로 제안된 여러 가지 형태의 개념설계안을 검토하였다. 육지 면적이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반면에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 시스템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풍력발전 시스템 자체의 성능을 예측하고 해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해상에서 이를 지지하는 플랫폼의 거동예측 프로그램을 결합한 시스템적인 설계해석 프로그램의 자체개발 및 보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풍력발전 분야의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플랫폼을 설계할 수 있는 해양공학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융합연구가 요망된다.

  • PDF

Grid-Connected Off-Shore Wind Power System Using 3-Level ANPC VSC (Active Neutral-Point-Clamped Voltage Source Converter) (Active NPC를 적용한 계통연계형 해상 풍력 발전용 전력변환 시스템)

  • Hong, Seok-Jin;Shin, Soo-Cheol;Lee, Hee-Jun;Choi, Chi-Hwan;Won, Chung-Yuen;Kim, Hack-Se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49-250
    • /
    • 2012
  • 해상 풍력 발전은 가장 유망한 재생 에너지원의 하나이며, 육상 풍력 발전보다 풍력이 강력하고 일정하여 장시간 고출력 발생이 가능하다. 또한 소음, 공간적 한계, 경관훼손 등 기존 육상 풍력 발전의 단점을 보완하고 초대형 단지조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초대형 해상풍력단지에는 일반적으로 MW급의 해상풍력발전기가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MW급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ANPC(Active Neutral-Point-Clamped) Multi-Level VSC(Voltage Source Converter)를 적용하여 Back-to-Back으로 구성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을 모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해상풍력발전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Jeong, Seok-Yong;Park, Jong-Po;Lee, Ik-Hyeong;Jeong, Jin-Do
    • Journal of the KSME
    • /
    • v.49 no.11
    • /
    • pp.39-44
    • /
    • 2009
  • 이 글에서는 녹색성장의 핵심인 풍력발전 기술 개발 현황과 시장 동향을 살펴보고,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해상풍력시장 선점을 위한 해상풍력발전시스템 설계에 대한 고려사항을 살펴보며,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SCADA System for a Large-Scale Offshore Wind Farm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운용을 위한 SCADA 시스템 설계)

  • Kim, Dong Wook;Song, Jae Ju;Jung, Nam Joon;Choi, Hyo Yul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 no.3
    • /
    • pp.161-170
    • /
    • 2012
  •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rs and developers have been interested in renewable energy all over the world. Particularly, the development of wind power is being processed actively due to its high economic efficiency. A few years ago, Korean government has started the research for building a large-scale offshore wind farm in domestic west-southern area. Current domestic SCADA technology level for operating wind farm is very low compared with foreign SCADA technology level. In this paper, we found IT issues and solutions for developing SCADA system. Based on these solutions, we designed SCADA system for a large-scale offshore wind farm.

Methodology of Valuing Economics of Offshore Wind Power System Using Learning Curve Model (학습곡선모형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의 경제성평가 기법)

  • Park, Min-Hyug;Lee, Jae-Gul;Kim, Jung-J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53-356
    • /
    • 2007
  • 환경규제 강화와 화석연료에 대한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풍력발전은 각국마다 풍황 조건과 정책에 의해 다양한 시장을 만들어 내고 있다.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시스템의 투자 전망에 대하여 기존의 재무적 평가기법에 학습곡선효과를 가미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NPV 등의 가치 평가기법이 할인된 현금흐름 분석을 하는 것이라면 이에 더하여 현금의 유출에 있어서 학습율을 반영한 원가를 반영하는 것이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 방법론의 핵심이다. 해상풍력발전을 투자자 입장에서 모의 해본 결과 국내 풍력발전은 80% 학습율 수준 정도의 혁신적 개선 없이는 투자 타당성을 찾기 어려우며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정책적으로 보완해야 할 수 있는 것이 발전가격을 중심으로 하는 정부의 지원제도임을 제시 하였다.

  • PDF

Seismic Behaviors of Concrete-Suction-Type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ing Structures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콘크리트 석션식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지진거동 특성)

  • Lee, Jin Ho;Jin, Byeong-Moo;Bae, Kyung-Ta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0 no.4
    • /
    • pp.319-327
    • /
    • 2017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eismic behaviors of offshore wind turbine systems using concrete-suction-type supporting structures are investigated. Applying hydrodynamic pressure from the surrounding sea water and interaction forces from the underlying soil to the structural system which is composed of RNA, the tower,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a governing equation of the system is derived and its earthquake responses are obtained. It can be obser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at the response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il-structure interaction because dynamic responses for higher natural vibration modes are increased due to the flexibility of soil. Therefore,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ccurate assessment of dynamic behaviors of offshore wind turbine systems using concrete-suction-type supporting structures.

무인등대 탈·부착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 O, Myeong-Gong;Gang, Chil-S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62-363
    • /
    • 2014
  • 항로표지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도와주는 해상 교통에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등대(무인등대, 등표)는 야간에 등화로 항로의 안전 수역과 암초 등 장애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무인 섬이나 간출암 등에 설치하는 구조물이며, 해상이라는 특수적인 운용환경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된다. 무인등대용 풍력발전기는 강한 바람에도 발전기가 파손 되지 않고 운영 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있어야 하나 설치운영 결과 해상의 기상악화, 돌풍, 해풍 등에 의한 잦은 파손 및 고장 발생으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 PDF

해상풍력발전기 조류환경 영향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조류충돌방지 시스템

  • 이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80-382
    • /
    • 2022
  • 해상풍력발전단지 환경평가를 위한 조류충돌저감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기념물 조류를 구부할 수 있는 인공지능 카메라를 개발한다. 보호해야 할 조류를 90프로 이상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계층구조 라벨링 방법을 고안하고 YOLO5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인다.

  • PDF

Ocean weather Data system for ocean new & renewable energy industry (해상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위한 해양기상 DB 시스템)

  • Na, Sung-Joon;Sung, Sung-Chul;Jeong,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43-246
    • /
    • 2010
  • 기후변화와 저탄소녹색성장으로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의 신재생에너지의 대부분은 풍력과, 태양광에너지 쪽에 집중이 되어 있지만, 해외에서는 해상풍력, 파력, 조력 등 해상에서의 신재생에너지의 성장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육상 풍력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우리나라는 3 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해상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상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의 토대가 되는 해상기상 정보의 통계 DB 구축으로 향후 발전설비 도입을 위한 근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풍력발전시스템용 증속기 신뢰성 확보 기술

  • Lee, Geun-Ho;Park, Yeong-Jun
    • Journal of the KSME
    • /
    • v.54 no.7
    • /
    • pp.40-45
    • /
    • 2014
  • 풍력발전시스템은 육상용에서 해상용으로 개발되며 대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풍력발전시스템이 해상용 등으로 대형화되면서 유지, 보수에 높은 비용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구가 더 커지고 있다. 증속기의 경우 고장 빈도도 낮지 않고, 고장 발생 시 심각도가 높아 신뢰성이 가장 높게 요구된다. 최근 증속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서 수명에 가장 영항을 크게 미치는 조건으로 적용하중 영향에 대한 비토크 하중(non-torque load)과 유성기어열의 설계 인자로 취급되는 하중 분할(load sharing), 치면 하중 분포(face-load distribution) 그리고 이를 필수적으로 입증하고자 요구되는 시험/평가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