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교통안전시설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부산항 신항 선박급유 및 유류중계기지 건설사업 해상교통안전성 확보를 위한 관계기관 역할에 관한 고찰

  • Jo, Gyeong-Min;O, Sin-Gi;Na, S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52-354
    • /
    • 2012
  • '해사안전법'상 해상교통안전진단 대상사업인 "부산항 신항 선박급유 및 유류중계기지 건설사업"은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반영('09.4)되어 추진 중, 항만이용자 및 전문가들이 선박의 통항안전성 등에 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함에 따라 해역이용자들과 수차례 검토회의 및 토론회 등을 개최하여 동 시설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성 확보방안에 어떤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동 사업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 사전검토 사례를 통해 사전 의견수렴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논의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또는 미비점)과 개선방안 및 관계기관간 역할을 고찰하여 제도개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항로표지 주요정책 계획

  • An, J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191-202
    • /
    • 2006
  •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항로표지 주요정책으로서, 항로표지 개발에 관한 추진방향 및 목표, 기술 개발, 투자계획 등에 관한 기본 계획을 제안한다.

  • PDF

인천과 평택항 출입항로의 해상교통공학적 연구

  • Yun, Byeong-Won;Park, Jin-Su;Park, Yeong-Su;Lee, Ch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17
    • /
    • 2015
  • 입출항 선박의 증가와 선박의 대형화로 인하여 두 선박간의 항법규정을 기본으로 하는 해상충돌예방규칙 등 기존의 규정만으로는 연안해역과 항만의 출입항로에서 안전하고 원활한 해상교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었다. 낚시 유어선과 항내운항선박 등 혼잡요인이 많은 항만의 항로환경을 해상교통공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여 출입항 선박들의 혼잡을 감소하고 어선 및 어장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항로와 정박지, 교통안전특정해역, 항행보조시설 등 하드웨어 개선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는 도선사 승하선 구간의 해도표시, 출입항 선박간의 방향별 집단관리로 등으로 혼잡을 정리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항로의 혼잡과 위해요소의 감소 및 어민 등 항로주변 수역 이해관계의 조율에 기여할 수 있는 이러한 연구가 현실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항로를 이용하는 전문가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함이 효과적이다.

  • PDF

APPROACHING 관제

  • Jeong, Ui-Cheol;Choe,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594-596
    • /
    • 2012
  • 오늘날 해상운송에 사용되는 선박은 대형화, 고속화되면서 항만 기반시설 역시 이에 맞추어 변화 또는 재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항만의 재개발이 해상교통흐름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고 시행되는 바람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날로 변화하는 선박교통안전환경을 고려하여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영상기반관제시스템이라는 기술과 "APPROACHING 관제"라는 기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국내 해상교량 건설에 따른 문제점 및 기준설정의 필요성

  • Jeong, Gyu-Sam;Jeong, Tae-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63-265
    • /
    • 2007
  • 최근 지자체별로 민간투자에 의한 사회기반시설 확충을 추진하고, 육상의 도로망을 직선화 및 최적화 하기 위해 항만 및 주요 항로를 횡단하는 해상교량 건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경제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계획함으로써, 장래 항만 발전과 해상교통안전 확보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장래 항만발전과 항만이용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에도 항만운영 및 해상교통안전 확보관점에서 제시된 해상교량 건설기준이 없어, 교량규모 결정시 이해당사자간 갈등이 반복되고 있는 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내 해상교량 건설에 따른 문제점 및 기준설정의 필요성을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Proposal of the Ship's Routing on Gwangyang Harbor (광양항의 항로설정에 관한 연구)

  • Jeong Jung-Shic;Jong Jae-Yong;Kim Chol-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1 no.2 s.23
    • /
    • pp.9-17
    • /
    • 2005
  • In the present maritime traffic conditions of Gwangyang harbor, there exists many hazardous factors which may lead to huge accidents including marine oil pollution. To mitigate the danger to vessels in Gwangyang harbo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maritime environment, we established one way traffic between No.3 Route and No.4 Route, Designed of deep water line on No.3 route, Extended one-way route for Myo-Do Passage etc.

  • PDF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Maritime Traffic Congestion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 기반 선박 교통 혼잡도 예측에 관한 연구)

  • Jae-Yong Oh;Hye-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16
    • /
    • 2023
  • 해상교통관제 구역은 항만 시설을 사용하기 위한 입·출항 선박, 연안 해역을 이동하는 선박 등이 서로 복잡하게 운항하는 교통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서는 선박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관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교통 혼잡 상황에서는 업무 로드의 증가로 인해 관제 공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교통 혼잡도 및 혼잡 구역을 예측한다면보다 효율적인 관제가 가능하지만 현재는 관제사의 경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VTS 관점에서의 교통 혼잡을 정의하고, 과거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내 선박 교통 혼잡도 및 혼잡 구역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해역 데이터(대산항 VTS)를 적용하여 제안된 기술이 관제지원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 PDF

스마트항로표지 서비스 요구사항평가

  • 박상원;정민지;박혜리;박한선;유윤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6-47
    • /
    • 2022
  • 항로표지는 등광, 형상, 색채, 음향, 전파 등을 수단으로 선박의 위치, 방향 및 장애물의 위치 등을 알려주는 항해보조시설로 해상교통 환경의 중요한 인프라이다. 해상교통환경은 4차산업혁명에 따라 자율운항선박, 스마트항만 등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 중이다. 그러므로 해상교통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상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항로표지 고도화 및 정보협력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해상교통 관리를 위한 항로표지의 새로운 서비스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 대상 요구사항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선박운항자 등 사용자 관점에서 미래 항로표지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troduction to Maritime Safety Audit(MSA) and it's Guidelines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및 기술기준 소개)

  • Cho, Ik-Soon;Lee, Sang-Jin;Kim, In-Chul;Hwang, Eui-Seon;Lim, Kwang-Tae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79-84
    • /
    • 2009
  • Recently, the degree of navigating vessel's risk is increasing significantly by growing of vessel's volume and increasing of marine facilities, marine bridges and port development etc. As a resul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generalized formal Maritime Safety Audit as a comprehensive maritime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nsure safety improvements from the planing to maintaining of the development which influence to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A MSA is a formal safety performance examination of an existing or future fairway by an audit team. It qualitatively estimates and reports on potential risk of Maritime traffic safety and identifies the measure for improving in safety of human life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is paper introduced the outline of MSA policy as the guideline for making audit reports is on its developing which is mainly processed by Maritime Safety Research Center, KST in cooperation with KMU, MMU and KORD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