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교통안전시설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operation-effectiveness analysis of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y (해상교통안전시설의 운영효과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Gug, Seung-Gi;Kim, Jung-Hoon;Piao, Yong-Na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10
    • /
    • pp.819-824
    • /
    • 2007
  • This paper studied safety benefit of operation-effectiveness analysis on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the operation-effectiveness of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ies the benefits can be divided as safety benefit, transport benefit, and other benefit. Safety benefit was produced as the loss aversion cost of marine traffic caused by the reduction of marine accidents after establishing and operating marine traffic safety facilities. First of all the reduction rate marine accidents was estimated to do it, and the detail model of loss aversion cost was constructed Then each variable in the model was defined and the method of computation presented.

해상교량 시설한계 결정시 선박 제원에 관한 고찰

  • 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96-498
    • /
    • 2013
  • 최근 항만을 비롯한 연근해에 해상교량이 계획되어 다수의 해상교통안전진단이 수행되고 있다.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주경간장에 따른 항로 폭이 될 것이다. 해상교량의 형하고와 항로 폭을 결정하는데 있어 어떤 선박을 대상선박으로 하느냐, 대상선박의 제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해상교량의 시설한계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되고 있는 해상교량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삼산 연육교의 대상선박은 대상해역을 통항하지 않은 유도탄고속함(570톤)과 통항빈도가 거의 없는 예인선열이 이슈가 되고 있다. 둘째, 사양-와교의 대상선박은 통항한 적이 없는 여수해양경찰서가 보유한 최대선박인 640톤급 517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는 해상 교량의 시설한계의 문제만이 아니라 해상교통안전진단 사업인가 안전진단 보고서 제출면제 사업인가에 대한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건의 해상교량의 안전진단에 대한 안전진단대행기관의 의견을 수렴하여, 추후 통일된 선박 및 선박의 제원에 대한 통일된 기준안을 마련하여 안전진단시 통일된 기준을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 PDF

해양교통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및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Min-Su;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7-38
    • /
    • 2013
  • 항만건설 및 운영에서 해양교통시설의 설치와 운영은 해상충돌방지 및 안전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그리고, 해상교통시설의 설치 및 운영은 IMO SOLAS 5장 제13조에 의하여 당국의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다. 해양교통시설은 과거의 시각적(광학, 형상) 시설에서 AIS, DGPS 및 기타 전파표지 등을 활용한 e-Navigation의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교통의 자동화 흐름에도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광파표지 및 형상표지의 역할은 여전히 절대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표지의 운영관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양교통시설 서비스수준의 결정방법으로 해상교통관련 전체 시설을 하나의 관리시스템으로 조합하고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방안으로서 해양교통시설 운영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해양교통시설시스템에 관해 위험관리모델의 적용으로 검증을 수행하고 체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통영항 다목적부두 건설에 따른 해상교통안전진단 고찰

  • 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09-511
    • /
    • 2013
  • 통영항에 5,000DWT급 여객선과 일반화물선이 이용 가능한 다목적부두 건설을 위해 해상교통현황 조사 및 측정, 통항 및 접 이안안전성, 계류안전성 등과 같은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연안항으로 지정 운영되고 있는 통영항 다목적부두의 안전진단 수행 과정에서 부각된 항만 및 수역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의 미비점, 전담 부서의 부재, 임의도선구의 문제점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연안항 항만개발 사업의 대부분이 해당 도 시 군이 직접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 항만개발과 수역시설의 안전관리사이의 공백이 발생하고 있어, 향후 연안항 안전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화~구도 해상교량 해상교통안전진단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1-373
    • /
    • 2012
  • 노화-구도 연도교 개설공사 사업에 따라 대상해역을 이용하여 통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교량 건설을 고려한 종합적인 해상교통 안전성 향상 방안 제시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근거자료를 작성한 후, 최적의 교량시설을 계획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인허가 과정중 도출된 해상교량안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을 해사안전법 및 동 법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 PDF

해상교통을 고려한 항로폭 결정에 관한 연구

  • Yang, Hye-Jeong;Choe, Hyeon-Seok;Seong, 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71-173
    • /
    • 2012
  • 최근 해상교량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해상시설물이 건설 중에 있으며, 선박과 시설물의 충돌 등 안전사고도 또한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에 새로운 시설을 설치할 때 해상교통을 고려한 적정항로폭 및 안전수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목포대교 인근수역을 대상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교통 흐름을 재현하고, 환경스트레스 모델을 이용하여 수역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제주 애월항 개발사업 해상교통안전진단

  • Yang, Yeong-Hun;Gong, In-Yeong;Yun, Geun-Hang;Jeong, M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17-319
    • /
    • 2012
  • 제주 애월항내에 LNG 공급에 필요한 인수기지 건설 및 연안화물 수송을 위한 항만시설 건설 계획에 따라, 3천DWT급 LNG 운반선 및 모래운반선, 시멘트 운반선 부두가 신설될 예정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부두 건설을 위해 국토해양부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에 의거 안전진단을 수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Rationalization of Maritime Traffic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해양교통시설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및 합리화 방안)

  • Jeon, Min-Su;Lee, Joong-W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587-595
    • /
    • 2013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ids to Navigation in the process of port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re crucial factor of maritime safety and collision prevention. According to the IMO SOLAS Chapter 5, regulation 13,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aritime safety facilities are mandated for the competent authorities. The facilities of Aids to Navigations are moving to a concept of e-Navigation with state-of-the-art technology of radio navigation equipments such as AIS, DGPS and e-Loran from the traditional visual facilities (optics, shape), Although the autonomous maritime traffic system is a new trend, yet the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Aids to Navigation like lighthouses and beacons are still imperative for vessel's safe navigation. In this paper, for decision of service level of maritime traffic faciliti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isual navigation system management it was proposed the Aids to Navigation availability as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the whole maritime traffic facilities under one management system. Comparison of foreign level of services and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m were analyzed and the proposed LOS was applied to Incheon area to evaluate the safety of navigation routes.

부표(등부표)의 표체 개선에 관한 연구(2)

  • Sin, Yong-Ju;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66-268
    • /
    • 2011
  • 부표(등부표)는 항로를 표시하거나 항해상의 위험물을 표시하는 중요한 해상교통안전시설이다. 현재 부표(등부표)의 표체가 철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중 생물에 의한 표체 오손도가 높고, 무거운 표체 중량으로 인하여 설치 이설 보수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 철재 표체는 선박과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며 보수 유지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박과의 충돌에도 손상이 거의 없고, 가벼워 취급하기 용이하며 아울러 보수유지가 거의 필요 없는 폴리에텔렌폼과 폴리우레탄 소재의 표체의 개발 내용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