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Maritime Safety Audit of Sandal-Do Water Bridge (산달도 연륙교 해상교통안전진단에 대한 고찰)

  • Park, Youngsoo;Kim, S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15-517
    • /
    • 2013
  • We carried out the maritime safety audit for Sandal Water Bridge constructed between Geje-Do and Sandal-Do in 2015. To study as to whether can be secured the marine traffic safety for this area,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d performed the marine accident, marine traffic volume, the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and shiphandling simulation. It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the quantitative guidelines for maritime safety audit including audit target area and formal audit object etc.

  • PDF

Basic Research on the Elements of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 Model (해상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 식별에 관한 기초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
    • /
    • 2019
  • 일반적인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모델을 구축하며,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항로 혹은 통항량 변동 등의 변화에 따른 교통류를 예측할 수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해상교통 분석 사례를 통해 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동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의 교통류 생성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신보령 1,2호기 해상교통안전진단 사례

  • 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23-325
    • /
    • 2012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인근해역에 건설될 신보령화력 1,2호기 건설사업과 관련하여 항만공사(연료하역부두, 석회석하역부두 축조)로 인하여 선박통항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조사 측정 및 평가하여 설계에 반영토록 하고, 부두축조에 따른 대상 선박 항로 통항 및 접 이안에 대한 안전성 평가,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계류안전성 평가 등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해상교통류에 적용되는 확률 이론의 검증적 고찰

  • Gong, In-Yeong;Yang, Yeong-Hun;Gu, Jeong-Min;Seo, Tae-Ho;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25-227
    • /
    • 2012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의 시행으로,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건설 사업은 필히 선박운항자 관점에서 그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진단제도의 정량적 평가항목 중에, 선박이 장애물이나 위험지역과의 충돌확률을 평가하는 근접도 평가항목이 있는데, 이는 항로상의 어떤 단면에서의 선박 궤적 분포가 정규 분포를 한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진단제도의 또 하나의 정량적 평가기법중 하나인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에서는, 대상 선박들의 예상 항차수로부터 선박을 통계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에서는 항로상의 특정 지점을 연속해서 통과하는 선박들의 시간 간격이 Poisson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가정들이 적합한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광양 및 인천항에서 실측한 해상교통현황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 Stress in Mokpo Approaching Channel (목포항 출입항로의 환경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Chol-Seong;JONG Jae-Yong;Park S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2 no.3 s.26
    • /
    • pp.211-218
    • /
    • 2006
  • Recently, many ships such as fishing boats, cargo ships, high speed ferry boats are visiting Mokpo harbor. In particular, many marine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at this area due to the narrow channel, a thick fog, the existing of the shallow waters etc. However there is no suitable ships' routeing system which takes account of today's traffic situations in this area. This study aims at the settling of hazardous factors to mitigate the danger to vessels in Mokpo harbo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maritime environment.

  • PDF

선박조종시뮬레이션에서 선박근접도평가를 위한 최소 표본수 결정에 관한 연구

  • 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41-42
    • /
    • 2014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항만설계 혹은 변경 등을 함에 있어 해상교통안전진단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여 해상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 해상교통안전진단은 자연환경 및 해상교통조사, 선박조종시뮬레이션,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계류안전성, 그리고 안전대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선박조종과 관련된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이 아주 중요하다. 이것은 해당 항만에서 선박 조종을 담당하는 도선사 혹은 선장들에게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선박조종시뮬레이션에서 근접도 평가는 항로 혹은 접이안 조선의 안전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근접도 평가는 시뮬레이션의 횟수를 얼마 이상으로 할 때 제대로 된 평가를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은 밝혀져 있지 않다. 중심극한정리에 따르면 30회 이상이면 표본 집단은 정규분포를

  • PDF

Research on the Generation Maritime Traffic Features based on Vessel Trajectories (항적 기반 해상교통 특성 정보 생성에 관한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75-176
    • /
    • 2020
  • 시뮬레이션 기반의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 특성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함으로써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교통 특성 모델은 교통 현상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일반화 된 모형을 말하며,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 교통 특성을 생성하기 위한 자동화 된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실제 목포항의 항적 데이터에 적용하여 교통특성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해상교통 환경 재현을 위한 항해사 인지행동 분석모델 연구

  • 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8-9
    • /
    • 2019
  • 해상교통과 같이 선박, 항해자, 관제센터, 해운선사, 기상시스템, 지리정보시스템 등의 높은 복잡도와 방대한 범위의 요구사항을 갖는 시스템의 M&S를 위해서는 인간을 포함한 체계가 필요하다. 디지털 환경에서 해상교통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주요 요소인 인적요인에 대한 모델링 필요하며, 현실감 있는 해상교통 상황의 재현 및 예측을 위해 항해자의 인지과정, 행동양식, 항해전문성, 항해오류 등을 모델링하여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표에서는 해상교통류 분석을 위한 지능형 선박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 선박운항과 관련된 항해자의 인지 및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항해자의 행동과 유사한 에이전트 기반의 인지 및 행동 모델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Degree of Congestion based on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for Harbor Area (항만 내 교통류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혼잡도 평가)

  • Lee Han-Jin;Gong 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1
    • /
    • pp.47-55
    • /
    • 1998
  • In this paper, authors try to assess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degree of congestion. First, the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ssessment. The sim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wide investig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 and some statistical methods. Then the degree of congestion is reasoned by using the reasoning methods of the degree of collision risk made to develop collision avoidance system. The quantified degree of congestion reasoned by this method provides much information needed to the design and the evalu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

  • PDF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 Stress for Incoming and Outgoing Routes in mokpo harbor (목포항 출입항로의 환경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Chol-Seong;JONG Jae-Yong;Jeong Jung-Sik;Keum Jong-Soo;Park Young-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5.05a
    • /
    • pp.37-43
    • /
    • 2005
  • Recently, many ships such as fishing boats, cargo ships, high speed ferry boats are visiting Mokpo harbor. In particular, many marine accidents rave been occurred at this area because of the narrow channel, a thick fog, the existing of the shallow waters etc. However there is no suitable ships' routeing system which takes account of today's traffic situations in this area. This study aims at the settling of hazardous factors to mitigate the danger to vessels in mokpo harbor and to secure the safety qf maritime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