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사채취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207초

경기만에서 해사채취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and Mining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Gyeonggi Bay, Korea)

  • 유옥환;이형곤;이재학;김동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29-144
    • /
    • 2006
  • 해사채취 지역에서의 저서동물은 채취에 따른 해저퇴적층의 교란 및 부유탁도에 의한 재침전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해사채취의 규모에 따른 저서생태계 변화 및 회복에 대한 연구는 단시간의 소규모 교란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해사채취에 따른 생태계 교란을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사채취가 많이 이루어지는 경기만 지역에서, 대량$(70,000m^3)$의 시범 해사채취를 실시하여 저서생태계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서생태계 조사는 2005년 11월부터 시범채취가 시작되기 전과 채취기간 동안에 실시되었다. 시범채취가 시작되기 전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종수는 해사채취가 진행되고 있는 주변 지역에서와 비슷하였다. 시범채취 예정 지역(정점 1과 2)에서 단각류 U. grimaldii japonica가 우점했으며, 다차원척도분석에서도 시범채취 예정해역은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시범채취가 시작되면서, 정점 0과 1에서의 종수 및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이곳에 우점했던 단각류 U. grimaldii japonica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시범채취 2개월 후에 조사된 3차 조사에서는 정점 0과정점 1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정점 2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간의 유사도 분석과 IMD 그리고 rIMD 그리고 P/A ratio분석에서 정점 0과 1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해사채취의 직접적인 영향은 정점 0과 1에서 나타났으며, 정점 2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해사채취에 따른 저서생태계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이용한 IMD과 r.IMD및 P/A ratio 분석 결과는 모두 비슷하였으며, 장기간의 모니터링 검증을 통해 생태평가지수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서해 주문도 연안 사질 조하대에서의 해사채취가 중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Sand Extraction on Meiobenthic Community of Jangbong-do in the Eastern Yellow Sea of Korea)

  • 강태욱;민원기;홍재상;김동성
    • 환경생물
    • /
    • 제32권2호
    • /
    • pp.138-15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해사채취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해역에서 해사채취에 따른 저서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인위적인 교란지역, 자연지역 등의 실험 지역을 선정하여 생태계에서의 중형저서동물이 해사채취로 인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는 강화도 남쪽에 위치한 장봉도 인근의 수심 20 m 내외의 주문지적에서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에서의 해사채취는 2006년 10월 21일부터 2006년 12월 10일까지 $38,000m^3$의 해사를 고정식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지역에서의 시료 채집은 해사채취를 이전에 조사를 실시하고, 시범채취가 시작된 이후 2~7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형저서동물은 해사채취로 인한 퇴적상의 변화로 서식밀도와 생체량이 해사채취 기간 동안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해사채취가 종료된 후에는 전체 서식밀도와 생체량 값이 채취 이전의 상태와 비슷한 값으로 다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변화를 보면, 해사채취 지역인 정점 M에서는 2006년 10월, 11월, 2007년 1월에 각 160.8, 102.3, 67.4 inds. $10cm^{-2}$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7년 8월, 11월, 12월에도 286.4, 231.7, 51.4 inds. $10cm^{-2}$로 동계로 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 지역을 두 지역 (영향지역, 비영향지역)으로 구분을 하여 분석한 결과, 해사채취가 진행되고 있는 시기에 영향지역의 퇴적물이 해사채취로 인해 평균입도가 세립화되어졌다. 이 시기에 전체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영향지역에서 2개월 전보다 급감하여 132.3 inds. $10cm^{-2}$ 값이 나타났고, 비영향지역에서는 281.5 inds. $10cm^{-2}$로 이전 조사보다 증가하였다. 이 후 2006년 11월부터는 두 지역의 퇴적물 평균 입도 차이가 $0.50{\Phi}$ 이내로 감소하고, 2007년 11월, 12월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에서도 두 지역의 평균 입도 차이가 감소하는 2006년 11월부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그 이후의 서식밀도 역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LUSTER analysis와 SIMPROF test 결과, 채취 지역과 인근 주변의 정점들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사채취량이 지속적으로 많이 이뤄지지 않고 강한 조류의 영향으로 해사채취 웅덩이가 빠르게 메워졌고, 또한 강한 조류로 인하여 주변 생물의 가입이 빠르게 나타나 해사채취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Seawater-Overflow Reduction Device Installed on a Sand Dredging Vessel)

  • 권철휘;이남도;장규상;김인수;정백훈;강훈;권민선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5호
    • /
    • pp.245-256
    • /
    • 2009
  •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월류수 저감장치가 설치된 선박과 설치되지 않은 선박의 작업시 부유사 농도를 관측 비교하였다. 부유사 관측결과 월류수 저감장치가 설치된 선박과 설치되지 않은 선박의 작업시 부유사 농도는 부유사 발생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km 정점부터 배경농도와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월류수 저감장치의 사용여부에 따른 부유사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부유사의 저감효율은 52.9~65.5%(평균 60.8%)로 조사되었다. 또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은 중층에서 평균 62.6%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부유사 관측 결과만으로 월류수 저감장치의 부유사 저감효율을 산정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관측 결과 나타난 월류수 저감장치의 부유사 저감효과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월류수 저감장치는 해사채취시 부유사 저감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며, 추후 월류수 저감장치 여과망의 여과효율 등 여러 인자들과의 상호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사채취 선박에 설치된 월류수 저감장치의 효율을 도출할 예정이며 해사채취 대상해역의 정기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서해 배타적경제수역[EEZ]내 해사채취구역의 지형변화 (Bathymetric Change of a Sand Mining Site within EEZ, West Sea of Korea)

  • 김백운;이상호;양재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36-843
    • /
    • 2005
  • 서해 배타적경제수역내 해사채취구역에서 해저지형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단일빔음향측심기를 이용한 측심자료를 획득하였다. 교차점 분석에 의한 측심자료의 정확도는 IHO 표준의 2등급에 해당하였다. 지형도는 폭 300 m, 깊이 10 m의 구덩이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지형의 변화 과정이 두 지형도 수심차의 분포에서 표현되었다. 그러나 해사채취량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더욱 정확하고 정밀한 자료가 요구된다. 이러한 지형변화는 퇴적환경 및 저서생태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한정된 모래자원을 관리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과학적인 조사자료에 근거한 환경영향평가가 요구된다.

한국 남해 대륙붕 내 해사채취 예정지의 대형저서동물군집 (The Macrozoobenthic Community at the Expected Sand Excavation Area in the South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 서진영;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2호
    • /
    • pp.68-71
    • /
    • 2010
  • 남해 대륙붕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해사채취 예정해역에서 해사채취가 시작되기 이전의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2000년 11월과 2001년 2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2000년 11월 조사에서는 157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2,529 개체/$m^2$, 생물량은 231.8 $g/m^2$였고, 2001년 2월 조사에서는 179종이 출현하였고, 평균서식밀도는 3,773 개체/$m^2$, 생물량은 391.2 $g/m^2$였다. 2000년 11월과 2001년 2월 조사에서 가장 우점 한 종은 단각류의 Ampelisca sp.였고, 그 외에도 단각류의 Photis sp., 극피동물의 Ophiactis branchygenys, 다모류 의 Nothria sp.와 Eunice sp. 등이 우점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의 섭식유형별 조성에서는 표층퇴적물을 먹이로 취하는 표층퇴적물식자(Surface deposit feeder; SDF)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육식자(Carnivores; C), 표층하퇴적 물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 SSDF), 여과식자(Filter feeder; FF)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점에서 종다 양성지수는 2.5-3.5의 값을 보였다.

준설해사로 다짐된 방조제 제체 성토부의 콘저항치와 전기비저항 관계 (Cone resistance and electrical resistivity with Depth at Dredged Sea Sand Region)

  • 송성호;강미경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37-40
    • /
    • 2008
  • 준설해사를 이용하여 성토된 방조제 제체 매질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전기비저항을 실측하였으며,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1차원 역산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소형루프 전자탐사결과를 콘관입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비저항값과 콘저항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준설해사로 성토된 방조제의 경우 1 ohm-m 이하의 비저항값이 나타나는 구간과 콘저항치가 50 $kgf/cm^2$ 이하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는 구간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준설해사로 성토된 방조제의 경우 정기적인 비저항 모니터링의 결과를 활용한 유지 관리 업무에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실시간 비디오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연안침식의 현황분석 연구

  • 강태순;남수용;김무홍;백공구
    • 한국방재학회지
    • /
    • 제7권1호통권24호
    • /
    • pp.47-56
    • /
    • 2007
  • 자원개발 및 해사채취 그리고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상승, 고파랑 및 태풍강화 등의 영향으로 연안침식이 가속화되고 있어 연안재해의 측면에서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해수 욕장의 해안선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연속적으로 해안선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2003년 부터 우리나라 주요 20개 백사장에 대해 연안침식의 정량적 현황분석을 실시하여 왔다. 그 외에도 백사장 62개소에 대해 모니터링의 일환인 연안침식 이력조사를 매년 실시하여 침식현황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모니터링에 의한 침식현황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 연안은 양빈을 실시하여 인위적으로 현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완만한 침식경향을 보이고 있어 대책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전국적으로 침식지역이 확대되고 있어, 2007년${\sim}$2010년까지 주요 백사장 16개소에 비디오 모니터링 체계를 추가 구축하고 전국 120개의 침식 지역에 대하여 침식이력조사를 확대 수행하여 연안관리 및 대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계획이다.

  • PDF

수중방전에 의한 선박평형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awater Sterilization for Ballast Water using solution plasma)

  • 최종범;양정현;김연원;강준;이명훈;윤용섭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1
    • /
    • 2017
  •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선박 평형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난 2004년 선박 평형수 관리 협약을 제정하였고, 2016년 핀란드의 비준함에 따라 2017년 9월 8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이 협약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 평형수 처리기술이 개발되어 승인이 되었다. 이중 수중방전을 이용한 기술은 화학약품의 첨가 등이 없어 경제적이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OH라디컬, 자외선, 충격파, 전기장, 오존 등에 다양한 요소들에 의하여 수처리가 가능하고, 중화를 위한 첨가제 등이 필요없어 친환경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항만 근처연안에서 채취한 바닷물을 대상으로 수중방전을 이용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그림1과 같이 Point to Point 방식의 전극을 꾸몄고, 용액은 1L이며, 전압은 8kV, 30kHZ로 가해주었다. 광학분석장비(OES)를 이용하여 수중방전시 발생되는 빛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OES분석 결과 살균작용하는 OH 라디컬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도중 시료를 채취하여 $35^{\circ}C$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생물의 개체가 그림 2와 같이줄어두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