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사데이터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S-100 기반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 계획 및 시사점

  • O, 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9-301
    • /
    • 2016
  • 국제수로기구(IHO)는 수로데이터의 상호 운용성 확보 및 활용 증진을 위해 ISO 19100 지리공간 정보 표준을 수로분야로 확장하여 S-100(범용수로데이터모델) 표준을 개발하여 현재 2.0 버전에 이르고 있으며, S-101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을 포함하여 전자서지 및 동적 수로정보 등의 다양한 표준을 개발 중이다. 한편, 국제해사기구는 e-Navigation 전략 추진을 위해 전략이행계획(SIP)를 개발하고, e-Nav 정보표준인 CMDS를 S-100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하기로 결정 하였으며, 국제항로표지협회는 AtoN, IVEF, AIS-ASM, 측위 인프라에 관한 S-20X 표준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양조사 및 수로도서지 간행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해양조사원은 S-100 표준 기술을 확보하고 국가 수로국으로의 역할 수행을 위해 S-100 수로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으로 있다. 본 연구에서는 S-100/S-10X 표준개발 현황 및 우리나라의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 계획을 검토하고, 해사안전, e-Navigation 및 VTS 분야 관점에서 시사점을 정리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and Development of MSI/NM based on S-100 (S-100 기반 MSI/NM 표준 및 기술개발 방안연구)

  • Oh, Se-Woong;Shim, Woo-Seong;Kim, S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142-144
    • /
    • 2013
  • 선박 안전항해를 위해 항해용 해도와 같은 수로 정보와 함께 해사안전정보(MSI), 항행통보(NM), 항행경보와 같이 임의적인 안전관련 정보들이 이용될 수 있다. 현재 GMDSS 제도의 시행에 따라 해사안전정보와 항행경보 등의 정보들이 NAVTEX 등의 장비를 통해 텍스트 형태로 선박에 전달되고 있으나 이런 형식의 정보들은 기존 종이해도 또는 전자해도를 사용하는 ECDIS의 다양한 첨단 항해 지원 기능과 연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례로 유럽은 e-Navigation Test-bed 프로젝트에서 IHO의 S-100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해사안전정보 데이터 표준을 수립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연구 및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수로기구의 S-100 표준에 따라 해사안전정보를 객체화 하여 모델링하고 이를 전자해도 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유럽의 e-Navigation Test-bed 프로젝트에서의 해사안전정보 연구 사례(S-100 표준 기반의 해사안전정보 제품 표준), 국제수로기구의 해사안전정보 매뉴얼 등을 분석하여 국내 해사안전정보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 내역 및 방안을 제안 하였다.

  • PDF

해상 교통정보를 활용한 선박 경계감시 시스템 개발 I

  • 양영훈;박세길;조득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2-213
    • /
    • 2023
  • 항·포구내에서 주.야간에 걸쳐 미등록 선박을 검출하기 위해, 가시광 및 IR, 라이다 센서를 통해 선박 영상 및 거리정보를 획득하고,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선박의 외관에 대한 특징 분석 및 선박에 표기된 문자열의 인식, 선박의 크기 측정을 통해 선박을 분류하고 특정하는 기술 개발

  • PDF

이력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방안

  • Lee, Jae-Uk;Jo, Gi-Jeong;Kim, Geon-Ung;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36-338
    • /
    • 2018
  • 대부분의 해양사고는 인적요인에 의한 과실이 대다수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국제 e-Navigation의 주도를 위해 한국형 이네비게이션 사업단을 선정하여 연구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이네비 연구과제의 사고 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는 선박, 해역, 환경의 취약상황을 반영한 항해 위험도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으며 충돌 알고리즘 산출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력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위한 해상 통계데이터 수집 및 그 데이터의 활용 방안을 수립하고, 데이터 분석결과를 보인다.

  • PDF

바다의 창조행정 VTS 빅 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Kim, Bong-Hyeon;Park, Yeong-Su;Jo, G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407-410
    • /
    • 2013
  • 2010년대에 들어서며 산업과 행정 등 전반 분야에 있어 주요한 아젠다가 되어 있는 빅 데이터는 산업화를 거쳐 전산화의 장벽까지 넘어선 각 분야에서 혁신적인 데이터 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있다. RADAR 및 관제설비의 도입으로 고도화된 VTS의 관리 체계는 관제 서버의 구축과 선박의 선박자동식별장치(AIS)의 정착 등 항해설비 발전을 통해 전산의 장벽을 하나씩 거둬가고 있다. 이제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선박 교통 데이터를 통해 해사행정의 새로운 가치 창조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시를 통해 빅 데이터의 개념을 정리하고 해상교통관제를 비롯한 해사행정 전반분야와 해운, 항만, 선박 사업자 전반에게 효율적인 업무 지원을 도모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VTS 발전 방안으로 활용되어 제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 지연이 충돌에 미치는 영향 식별을 위한 실험방법의 고찰

  • 두바이송;이춘기;김대정;예병덕;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9-110
    • /
    • 2023
  •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MASS)은 4수준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세계적으로 수준 2-3 사이의 원격제어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를 시작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원격제어 자율운항선박은 3 주요요소(MASS, 해상위성통신, 원격제어자)로 구성되는데, 주요한 문제는 통신 손실이다.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는 해사 위성통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해사 위성통신은 통신두절,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지연 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어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이 충돌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하여 이러한 영향을 식별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험방법은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할 것인데, 그 이전에 제어지연이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구현하고,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서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이 가능한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어지연이 항해안전에 미치는 영향의 과학적 식별과 평가에 관한 하나의 기반이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esign of Data Model for Marine casualty based on S-100 (S-100 표준 기반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 설계)

  • Kim, Hyoseung;Mun, Changho;Lee, Seo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769-775
    • /
    • 2017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e-Navigation strategy is to introduce new technologies to ships to support easier and safer navigation. With the e-Navigation strategy, various equipment will be installed in vessels and the system structure will be linked to onshore systems. For this reason, a common data structure between systems became necessary, and finally the S-100 standard developed by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was selected.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of marine casualty data model based on the S-100 standard. The data model of the S-100 standard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UML class diagram, and the final encoding follows the GML / XML format. We will look at the S-100 standard and product specifications under development, and describe the S-100 standards-based data design and portrayal definition of marine accident data.

Analysis of vessel traffic patterns near Busan Port using AIS data (AIS 데이터를 활용한 부산항 인근 선박통항패턴 분석)

  • Hyeong-Tak Lee;Hey-Min Choi;Jeong-Seok Lee;Hyun Yang;Ik-Soon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55-156
    • /
    • 2022
  • Efficient operation of ships can transport cargo to ports safer and faster, and reduce fuel cos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attern was analyzed using AIS data of ships passing near Busan Port, a representative port in Korea. The analysis of vessel traffic patterns was approached with a grid-based node genera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for research such as optimal route and route prediction.

  • PDF

스마트 항로표지 수집정보의 연동 시험 시나리오 설계

  • 오세웅;김윤지;강동우;박세길;장준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1-313
    • /
    • 2023
  •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해상물류 등 미래 해상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항로표지 현장시설을 고도화하고 신해상교통인프라 지능화 및 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해 스마트 항로표지 및 연계기술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사업의 1단계 연구 성과로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플랫폼과 항로표지 서비스 성능시험환경이 구축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 플랫폼에 설치된 각종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육상의 성능시험환경으로 연동 시험에 관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스마트 항로표지 통합 플랫폼 및 장착되는 센서에 사전에 설계된 해양자원명을 부여하고 항로표지 정보관리시스템의 등록하는 절차를 제시하였고,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항로표지 정보를 연동하여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를 항로표지 서비스로의 적용과 활용에 관한 시나리오 설계 결과를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