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사교육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sid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IMO Maritime English Model Course 3.17: General and Specialized Maritime English

  • Park, Jin-Su;Choe,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8-279
    • /
    • 2015
  • 해기사의 해사영어 사용에 대한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는 가운데, 국제해사기구(IMO)는 이에 발맞추어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을 일반해사영어(General Maritime English, 즉 GME)와 특수해사영어(Specialized Maritime English, 즉 SME)로 나누어 재편하고, STCW에서 요구하는 지식, 이해 및 기술사항들을 영어교육의 다양한 요소들과 접합함으로써, 해사영어교육의 새로운 틀을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다. 국내 해기교육 관련대학 및 기관이 향후 해사영어 커리큘럼을 재편성하기 위해서는, 개정될 해사영어모델코스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가 제시한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의 개정 목적 및 변화된 해사영어모델코스의 틀과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교육기관에서의 해사영어교육 커리큘럼을 재편성한 후, 성공적인 언어교육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현실적인 제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해사커뮤니케이션과 해사커뮤니케이션 역량교육

  • Choe, Jin-Cheol;Park,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69-271
    • /
    • 2015
  • 본 연구는 해사커뮤니케이션의 정의를 시도하고 그 특징과 방해요인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해사영어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사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해상업무에서 영어의 간소화와 표준화를 통해 명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꾀하기 위해 만들어진 SMCP 교육을 중심으로 한 해사영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해기전문인력이 갖추어야할 해사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정의하고, 국내 해기전문교육에 필요한 해사영어교육의 변화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해사영어강사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 향후 발전 방향

  • Choe, Seung-Hui;Jang, Eun-Gyu;Chae, J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5-7
    • /
    • 2014
  • 비영어권 아시아 해기사들에게 체계적으로 해사관련 영어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사영어를 교육하는 강의자의 자질 향상과 이를 위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해사 실무 교육과 영어교육이 통합된 해사영어강사훈련 프로그램의 구성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On-Board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Oral Test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 및 구술시험도입에 관한 조사·분석)

  • Park, Jin-Soo;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0-282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을 제안함으로서 국내 해기인력의 일자리 창출 및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며, 선상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위하여 해사 직무영어 교육용 교재의 개발 계획, 온 오프라인용 컨텐츠 개발 보급 계획, 해사 영어능력의 다면 평가 및 인증을 위한 해사영어 구술시험 개발 및 시행 계획 및 해기사 면허시험의 영어구술평가의 도입 방안 등의 기본계획과 그 표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해기사 양성교육기관의 재학생과 교원, 승선 중인 해기사와 육상 근무 중인 해기사 등을 대상으로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해사영어 교육과 평가방안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의 요약이다.

  • PDF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icacy of a Maritime English Learning and Testing Platform (해사영어학습 및 평가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 Seor, Jin Ki;Park,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4
    • /
    • pp.374-381
    • /
    • 2020
  •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gulations, it is mandatory for navigators or engineers to acquire suitable skillsets before their designation as a duty officer on board.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s Maritime English (ME), wherein students are taught a required set of basic skills that enable them to process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accidents, ship conditions, and inspections. Students have to be equipped not only with the use of general English skills but also with the coherent use of technical terms and phrases. However, due to the unique circumstances that exist in the maritime domain, the methods used for imparting maritime knowledge and the manner in which it is evaluated are restricted. Hence, this study aims to utilize an online Maritime English learning and testing platform that can be accessed on smart devices to analyze its impact o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groups of cadets, one that used the platform and another group that did not. After six-week,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The test scores were further analyzed by incorporating the students' personal elements to measure the ef icacy of the ME test platform. Therefore, the learning and evaluation processes are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ways that are appropriate and convenient to specific circumstances and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maritime education in the futur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aritime English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mart platform (스마트 플랫폼 적용을 통한 해사영어 교육 효과 분석)

  • Jin Ki Seor;Dongsu Shin;Young-soo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4-155
    • /
    • 2023
  •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for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of Seafarers (STCW) outlines the qualifications that maritime cadets must meet in order to serve as merchant marine officers. Maritime English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qualifications for STCW, and each national authority is implementing Maritime English education that complies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In this study, an English proficiency background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Maritime English skills and competencies. In line with this, maritime cadets utilized the Standard Maritime English Communication Phrases (SMCP) learning platform to track their learning progress and its efficacy.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automatic scoring platform for Maritime English education, as well as its future potential for widespread use in the maritime education field.

  • PDF

중등교육과정에서의 SME와 GME의 적용

  • Yun, Mi-Ran;Sin, Se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30-232
    • /
    • 2015
  • 이번 발표는 혀 인천해사고의 해사영어 교육과정, 수업이 이루어지는 환경, 학습자의 수준과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수기법, 교사가 느끼는 한계점을 비교하면 살펴보고, 경쟁력있는 해기사 배출을 위해 우리 학교가 보완하여 나아갈 방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해사안전 전문인력 양성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동향

  • 조익순;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57-158
    • /
    • 2022
  • 최근 자율운항선박, 무인선박 등 해사분야의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이에 대비한 해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체계는 없었다. 선장, 안전관리자, 선박소유자의 안전관련 책임 및 의무를 강화하고, 안전관리의 전문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해 선박안전관리사 자격제도가 신설되었다. 법률개정에 따라 안전관리자의 교육과정, 기존 안전관리자의 자격취득 교육 및 평가과정 등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을 위한 전문연구용역 진행 및 추진상황을 소개하였다.

  • PDF

한국형 해사영어 커리큘럼 개발

  • Jeong, Hui-Su;Seol, Jin-Gi;Choe,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9-291
    • /
    • 2018
  • 본 발표는 대한민국 선원의 의사소통 역량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해수부에서 실시한 "선상 의사소통능력 강화방안" 사업을 통해 개발된 한국형 해사영어 커리큘럼의 수립 과정과 그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공유하고, 향후 개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표를 통해 커리큘럼을 수립을 위한 선행 연구 과정(국제해사기구, 국제민간항공기구 및 국제항로표지협회 등의 국제 가이드라인 검토 및 분석, 특수목적영어 교육훈련기법 외), 교육 커리큘럼 수립(IMO 해사영어모델코스 및 표준해사통신용어 분석 및 재편성), 교육 컨텐츠 구성(실제 선사 유관 자료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교육 훈련 교재 개발(교재, 학생용 워크북, 교사용 워크북, 음원)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소개하고, 이에 대한 결과물을 공유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해사영어 시험제도 조사분석

  • Gang, Se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3-285
    • /
    • 2018
  • 한국해기사의 취약점으로 영어구사능력에 대한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선상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해기사의 영어구사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해사영어 시험제도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현 제도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별된 문제점으로는 불충분한 면접시간, 세부지침의 부재, 지나친 전문지식 위주의 질문, 교육기관의 해사영어 커리큘럼과 선사의 요구사항의 불일치 등이며, 개선방향으로는 전문시험위원제도(가칭) 도입, 해사영어 교육콘텐츠 개발, 충분한 면접시간 확보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