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빈변형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현장관측을 통한 상주해빈 단면변화의 정성적 해석 (An Qualitative Analysis on the Beach Deformation of the Sangju Beach with Field Observation)

  • 함계운;장대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2
    • /
    • 2004
  • 본 연구는 상주해빈의 침식현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해빈 단면 측량결과 및 저질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빈의 천이주행 특성 및 각 단면별 저류표사량을 산정 하여 해빈 보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장관측을 통하여 상주해빈에 침식방지의 기능을 도모하고자 설치한 돌제가 역기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도류제가 건설된 후 침식이 가속화되어 침식방지의 기능을 위하여 설치한 돌제가 침식방지의 기능보다는 침식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Sonu and Beek(1971)가 제시한 해수면상 저류표사량 산정모델이 자연해빈뿐만이 아니라 해안 구조물이 설치된 해빈에도 유용한 모델임을 입증하였다.

천해 불규칙파에 의한 해빈변형 및 평형 (Beach Profile Change and Equilibrium due to Irregular Waves in the Nearshore Region)

  • Kang, Hyo-Ji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02
    • /
    • 1996
  • Wells (1967)에 의해 제안된 2nd order 파랑들의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한 바닥 부근에서의 유속분포에 대한 왜도(skewness)를 다시 계산하고 재평가하였다. 해안선에 수직한 방향의 퇴적물 이동 방향을 그 유속의 3차 모멘트(왜도)의 부호에 따라 알 수 있음을 보였고, 해빈이 어떤 교란을 받은 후에도 원래의 평형을 회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중립수심을 제안하였다. 또한 계절적인 파랑조건의 변화에 따른 해빈단면의 변화(폭풍-너울 단면)도 종래의 단순한 파랑구배에 의한 구분보다는 파랑의 비선형 상호작용으로 설명되었다. 즉, 파랑의 비선형 작용이 강할 때에는 (폭풍파) 해빈은 침식을 받으며, 반면에 비선형작용이 약할 때에는 (너울파) 해빈은 퇴적됨을 보였다.

  • PDF

제주도 이호.함덕 해빈퇴적물의 계절적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Iho and Hamdeok Beach Sediments in the Jeju Island, Korea)

  • 윤정수;박용성;김태정;박상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2호
    • /
    • pp.243-252
    • /
    • 2008
  • 제주도의 주요 해수욕장인 이호와 함덕해빈에 대한 해빈단면 조사와 입도분석 연구를 통해 해빈퇴적물의 분포경향과 해빈특성을 파악하고, 폴대와 포사기 조사를 통한 계절별 해빈사의 이동방향과 이동량 및 해빈지형 변화상태를 파악하였다. 이호해빈은 중조립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590m이며, 경사는 하계 12.3$^{\circ}$, 동계 10.8$^{\circ}$로 하계가 다소 높은 편이다. 함덕해빈은 패각편 모래로 구성되어 있고 총길이 950m이며, 경사와 폭은 각각 하계 5.7$^{\circ}$, 114.5m, 동계 7.4$^{\circ}$, 97.4m이다. 해수중의 해빈 부유사의 이동량은 동계가 33.2 mg/l로 하계의 4.5 mg/l 보다 많았고 주로 북동 방향에서 해빈모래가 공급되고 있었다. 이호해빈은 해빈 동쪽에 축조된 방사제의 영향으로 모래유실에 의한 해빈변형이 일어나고 있었고, 함덕해빈은 해빈 중앙부와 애도지역에서 북서계절풍에 의한 사구쪽으로 표사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인공섬건설에 따른 해안선변형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al Development Model Due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Island)

  • 오세욱;민병형;김기철;김재중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2
    • /
    • 1992
  • Beach evolution is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he coastal engineering. Especially, the structure construction through reclamation in the shallow water region nesar the beach will cause many severe problems around the structure. Beach evolu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island in this study was studied using wave transform model and associated of an artificial island in this study was studied using wave transform model and associated sediment transport mode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Kwangan beach using the data of waves and shoreline of the area. The combined wave transform model and beach evolution model showed good results. The results show a breakwater will be needed to prevent severe erosion near the eastward Kwangan beach when construction an artificial island in the Suyong Bay. Good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 that the present model can be more widely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beach evolution.

  • PDF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2016년 태풍 차바에 의한 해빈변화 (Beach Deformation Caused by Typhoon Chaba in 2016 Along the Manseongri Coast Related Coastal Improvement Project)

  • 박일흠;박완규;정승명;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0-718
    • /
    • 2017
  • 연안정비사업이 수행된 만성리 해수욕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측량된 해빈자료와 2016년 제18호 태풍 차바 내습시 관측된 강력한 해빈변형외력으로부터 해빈변화가 현장관측자료를 기반으로 기술되었다.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빈은 양빈 이후 3개월에 걸쳐 자연외력에 반응된 안정화가 서서히 진행되었으나 태풍 차바에 의해 그 안정화가 깨어졌으며, 태풍내습 2개월 후부터 다시 안정적인 해빈을 나타내어 양빈 1년 후까지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태풍 차바 내습직후 만성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은 도류제가 설치된 부근해빈과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서 주로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잠제배후역에서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또한 태풍내습직후 해빈체적이 $3,395m^3$ 감소하였는데, 감소한 영역은 주로 잠제의 영향이 없는 해빈북측에 집중되었으며 잠제배후의 후빈역은 오히려 퇴적되었다. 따라서 만성리 해수욕장에서 수행된 연안정비사업은 파랑에 기인한 표사이동이 지배적인 이곳에서 해빈보존에 상당히 기여하였다

해빈변형의 상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the change of Beach Profile)

  • 옥치율;김희종;민병형
    • 물과 미래
    • /
    • 제19권4호
    • /
    • pp.355-364
    • /
    • 1986
  • 본 연구는 해빈변형과정에 침식과 퇴적사이의 상사성을 현지 및 실험실에서 결정하려고 수행되었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Horikawa 식의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한바 침식과 퇴적사이의 상사성을 C값만으로 결정하기는 곤란함을 알았다. (2) $H_//L_0$식만의 값으로 상사성을 결정하기는 곤란하였다. (3) $H_//L_0$와 C, $H_//L_0$$N_{sr}$의 무차원값을 현지 및 실험실에서 관찰한바에 의하면 $H_//L_0$가 0.024에서 침식, 퇴적이 구분되어 상사가 이루어졌다. (4) 파형경사를 알면 침식, 퇴적을 구분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쇄파대에서 파고감쇠 및 return flow에 관한 수리실험 (Hydraulic Experiment of Wave Height Dissipation and Return Flow in the Surf Zone)

  • 이종섭;박일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2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06-113
    • /
    • 1992
  • 쇄파대에서 파고의 감쇠 및 내부유속장에 대한 이해는 표사문제 및 해안구조물의 설계 등에 있어서 중요하다(Nadaoka and Kondoh, 1982). 특히 해빈변형의 예측문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는 쇄파대 내ㆍ외에서 저면마찰력과 표사량을 정도 높게 계산하는 것이다.(중략)

  • PDF

해빈단면변형에 관한 2차원 이동상 수리실험 (2-D Experiments of On-Offshore Sediment Transport)

  • 이종섭;박일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2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73-178
    • /
    • 1992
  • 연안역에서 해저지형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해빈침식제어, 하구폐색, 항로매몰문제, 방파제 및 증ㆍ양식장과 같은 연안시설물의 설치에 있어서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이다. 이러한 해저지형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는 수평이차원의 국지역에서 순표사량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다.(중략)

  • PDF

후포항 주변의 해빈변형에 관한 수치실험

  • 채장원;염기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1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60-63
    • /
    • 1991
  • 경제가 성장해 감에 따라 증가되는 수출입 물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기존항만의 확장 및 신규항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해안위락 시설의 확장 및 유지보존 역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연안개발사업은 부수적으로 주변해역의 환경을 변화시킨다. 예를들면, 사빈해안에 항구 또는 발전소건설을 위해 방파제 및 호안을 건설함으로써 해안지형 및 파랑과 흐름의 상태와 표사의 양상을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항구의 매몰 및 해안의 침식ㆍ최적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