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변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axonomy of Actiniidae (Anthozoa, Actiniaria, Thenaria, Endomvaria) from Korea (한국산 해변말미잘과 (산호충강, 해변말미잘목, 족반족, 내근아족)의 분류)

  • Song, Jun-Im;Cha, Ha-R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8 no.2
    • /
    • pp.253-270
    • /
    • 2002
  • Actinians were collected from 91 localities of Korea from 1962 to 2000. They are identified into 10 species within 6 genera, of which three species are newly recorded to Korean fauna: Dofleinia armota Wassilieff, 1908, Urticina coriacea (Cuvier, 1798) and Urticinu crassicornis (Muller, 1776). They are redescribed in detail with figures, and the other species are examined.

Experimental Study of Beach Nourishment Fronting Seawalls (호안 전면에서의 양빈계획 : 수리실험연구)

  • 유철희;로버트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1 no.2
    • /
    • pp.75-86
    • /
    • 1999
  • 호안전면에서의 양빈의 거동이 연구, 조사되며 모래로 이루어진 해변에서의 양빈과 비교하였다. 조건이 서로 다른 6개의 양빈특성이 연구되며 각 조건에 대하여 반복실험이 수행된다. 실험조건에는 모래해변, 호안을 가진 해변, 해안에 직각인 파랑, 그리고 해안에 비스듬한 파랑을 포함한다. 호안을 가진 해안인 경우, 모래입경의 영향이 연구에 포함된다. 또한 호안을 가진 해안에서 모래가 완전히 물에 잠기는 양빈구역의 양단에서 표사이동율을 각각 해변에 직각인 파랑, 해변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파랑에 대하여 정량화 하였다. 각기 다른 두 개의 표사이동 관계식이 제시되고 검사된다. 비록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모델에 의한 표사이동율은 실측한 표사이동율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Plan of Beach Management: Cases of East Coast of Gangwon Province (해변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 동해안을 중심으로)

  • Kim, Jin-Do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3 no.1
    • /
    • pp.107-128
    • /
    • 2010
  • The east coast area of Gangwon province in Korea is famous for natural beauty, many perfect sights and various kinds of tourist attractions. Especially beaches are one of the most attractive and clean tourist attractions in Gangwon province, when compared to the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the natural environment is more prominent. But there are many problems concering the east coast beaches of Gangwon province, such as environmental disruption, collecting fees for offering services, crowdedness, lack of main convenient facilities, decrease of consumption, unseasonably cool temperatures etc. This study examined several problems as to the beach management of Gangwon province that has been suggested over several years. Finally, the author suggested several improvements to solve the problems as mentioned above.

  • PDF

화학의 세계-해변의 검은 모래ㆍ초록 모래

  • Jin, Jeong-I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2 s.345
    • /
    • pp.11-11
    • /
    • 1998
  • 프랑스 남부 해변가엔 하얀 모래, 그리고 하와이 해변가엔 검은 모래와 초록 모래가 지구촌의 피서객을 유혹하고 있다. 이처럼 신비스런 모래들은 어떻게 태어났는가. 하얀 모래는 태고 때부터 이어온 석회질 껍질로 된 해양생물의 유산물이며 검은 모래나 초록 모래는 화산에서 나온 용암이 오랜 세월의 풍화작용을 통해 생성된 것이다.

  • PDF

Three New Records of Actiniaria (Anthozoa: Zoantharia) from Korea (한국산 해변말미잘목 (산호충강: 말미잘아강)의 3미기록종)

  • Song Jun-Im;Cha Ha-R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20 no.2
    • /
    • pp.201-214
    • /
    • 2004
  • Some actiniarians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Jejudo and Baekdo Islands in Korean waters from 1971 to 2004. They are identified into three species within three families, which are newly recorded to Korean actiniarian fauna: Halcampella maxima Hertwig, 1888 within the tribe Athenaria, and also Aulactinia coccinea (Verrill, 1866) and Stichodactyla tapetum (Ehrenberg, 1834) within the tribe Thenaria. They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figures and tables together with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cnidae. In preserved specimens, mature oocytes of H. maxima were observed in winter. Also oocytes and sperm sacs of S. tapetum were surveyed at separate individuals in summer. The unique feature of A. coccinea is a body wall with simple adhesive verrucae extended from margin to limbus in longitudinal rows. In the genus Stichodactyla, the smallest species, S. tapetum is distinguished from S. haddoni by short bulbous tentacles, less than 1.0 mm long, densely packed on the oral disc and also conical marginal ones, 1.5-2.0 mm lo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orean actiniarian fauna consists of four athenarian and 23 thenarian species in suborder Nynantheae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ies in Beach Sands along the East Coast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경상북도 동해안 해변모래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 비교)

  • Khang, Yongh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0 no.4
    • /
    • pp.376-380
    • /
    • 2014
  • Marine beach sands with bacterial pathogens may cause increased outcomes of illness among beachgoers in summer. In this study, pyrosequencing of 16S ribosomal DNAs extracted from 12 beach sand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wastewaters or human wastes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at the beach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Yeongdeok and Pohang counties) in the middle of October. It was found that Acidobacteria were dominantly distributed in the sands near the clean seawaters, Proteobacteria in the sands near the river waters, Cyanobacteria in the sands near the wastewaters, and Bacteroidetes in the sands near the beach park. Other phyla groups such as Actinobacteria, Chlorobi, Deferribacteres, Deinococcus-thermus, Firmicutes, Gemmatimonadetes, Nitrospirae, and/or Verrucomicrobia were distributed at low relative abundance (1-5%).

Remote Sensing of the Ultraviolet Reflectance on the East Coast Beach (동해안 해변의 자외선 반사량의 원격탐사)

  • Uh, Je-Sun;Choi, Chul-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4
    • /
    • pp.733-738
    • /
    • 2020
  • In the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coastal zone has been advancing, and the chance of leisure activity has increased near the sea. However, the destruction of ozone layer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ultraviolet radiation reaching the earth surface. The human body is harmfully influenced as skin cancer and eye damage by ultraviolet radiation. Especially, the effect of ultraviolet radiation on beach is higher than that inland area due to the reflection from the s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use basic data on the method of measuring ultraviolet reflections on east coast beaches using remote sensing.

정동진 해변 연안정비사업 설계사례

  • Park, W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4-216
    • /
    • 2018
  • 강원도 정동진해변은 이상시 고파랑에 의한 연안침식피해가 상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안복원을 위하여, 정밀 조사, 실험을 통해 연안침식원인을 분석하고 해안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였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연안침식 예방과 연안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로 연안환경을 보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중방파제, 돌제, 양빈 등의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제언하여 이후 퇴적환경 모니터링을 지속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Applic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ast Using Airborne LiDAR Surveying (LiDAR자료를 이용한 연안 해안지역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We, Gwang-Jae;Yom, Jae-Hong;Lee, Kang-Won;Kim, Seung-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66-73
    • /
    • 2002
  • 본 논문은 미국 Oregon 지역을 실험지역으로 하여 LiDAR자료를 이용하여 연안해역 관리 및 해안지역의 각종 분석자료의 기초데이터로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실험지역은 미국 Oregon주의 남쪽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해안지역이며, 해안선이 완만하게 형성이 되어 있다. 본 실험에 이용된 LiDAR 자료는 97년 10월과 98년 4월 2회에 걸쳐 NASA의 ATM(Airbone Topographic Mapper) II를 이용하여 측량을 실시하였다. 연도별로 취득된 해변지역의 표고값을 근거로 하여 연도별 해변의 단면 변화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지역인 미국 Oregon 해변지형의 표고변화는 연도별로 약 0.79m/year 정도 변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해안선 측량시 이용가능성 및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해변 위험지역 및 침식량 산정 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Case Study of GIS-based High-Resolution Coastal Mapping & Analysis at the Manlipo Beach (GIS를 통한 만리포 해변의 정밀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

  • Kim, Jin-Ah;Shim, Jae-Seol;Lim, Hak-Soo;Min, I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61-464
    • /
    • 2008
  • 연안에서의 태풍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지역 예측을 위하여 GIS를 통한 정밀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을 만리포 해변을 대상으로 시범 수행하였다. 만리포 해변의 정밀 육도-해도 접합을 위하여 고해상도 지상 LIDAR 시스템의 시범 측량 자료와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 국립해양조사원의 수치해도 수심자료 및 한국 주변해역의 30초격자 수심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평균해수면 산정을 위하여 만리포에 설치된 수압식파고계 조위자료와 해변의 표척을 통한 목측 관측을 통한 조위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자료의 GIS 기반 육도-해도 접합 및 분석을 통한 정밀 지형도 구축 기술은 태풍 해일에 의한 침수범람 예측을 위한 정밀 격자 수치모델의 입력 자료로 활용되어 침수 범람 예측 결과의 재해도(Hazard Map) 작성이 가능하고, 나아가 침식 퇴적 등의 지속적인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