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군전략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3초

남중국해 분쟁 관련 미국 해군의 제한사항과 극복방안, 한국 해군에의 함의 (How to Neutralize China's Advanteges in a South China Sea Conflict for the U.S. Navy and Its Implications for Republic of Korea Navy)

  • 김태성
    • Strategy21
    • /
    • 통권46호
    • /
    • pp.277-303
    • /
    • 2020
  • 2000년 이후 중국 해군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이러한 해군의 성장과 더불어 중국은 남중국해 내 도서를 군사기지화 하고 대함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제1도련선 내 중국의 해양통제를 위한 노력으로써 인도-태평양 지역 내 미 해군 전력 및 기지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여 미국의 해양 지배력을 약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내 동맹국과 파트너국들과 함께 시간, 공간, 전력(화력, 군수) 측면에서 작전개념을 발전시켜야 한다. 우선 시간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인도-태평양 지역내 국가들의 공중전력(UAVs)과 해상전력(Aegis ships)을 활용하여 대중 정보공유 체계를 강화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공간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위협으로터 인도-태평양 지역 내 미해군의 전력 및 기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미 해군 전력을 일본과 호주로 분산 배치시키고 동맹국과 파트너국들의 이지스함, 잠수함 및 무인 수중전력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전력 측면에서는 해상 기반 화력과 지상 기반 화력을 통합하여 화력의 치명성을 강화해야 하고 인도와의 협력 및 인도-태평양 지역내 함정 손상통제 시설의 확충을 통해서 해상 군수지원 능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미 해군의 작전개념 발전 방향이 주는 한국 해군에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중간 남중국해 분쟁 발생시 중국의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한국 내 위치하고 있는 한·미 해군 전력 보호를 위해 미사일 방어체계(이지스함, 사드 등)를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대중 감시·정찰 및 미 항공모함단 방호 전력으로 활용 가능한 한국형 원자력 잠수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미국 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내 파트너 국가들을 포함하는 연합훈련을 확대·발전시킴으로써 남중국해내 중국의 해양통제 노력에 대응해야 한다. 넷째, 인명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해군력을 현시할 수 있는 무인 수중·수상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일본 해상자위대 전력건설 재조명을 통한 한국 해군력 건설논리 발전방향 연구: '8함(艦) 8기(機) 체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Naval Forces by Examining How Japan built their Maritime Self-Defense Force: Focusing on the 'eight (艦)-eight (機) fleet system')

  • 류재학
    • 해양안보
    • /
    • 제2권1호
    • /
    • pp.43-70
    • /
    • 2021
  • 이 연구는 일본은 부국(富國)이고 섬나라이기 때문에 해상자위대의 강력한 해상전력건설은 당연한 결과로 인식하고 있는 일반적인 우리의 시각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일본은 2차 대전 후 해군력이 완전히 와해되었다. 1954년 해군을 대신하여 탄생한 해상자위대 초기전력은 대부분 함정을 미국으로부터 공·대여로 획득하는 등 한국해군 창설기의 전력과 별반 차이가 없을 정도로 미미하였다. 물론,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성장과 도서국가의 지리적 특성은 해군력 신장에 기회 요인임에 분명하지만, 창설 초 일본해군과의 일시적 단절, 육상병력 중심의 전략적 사고, 석유파동에 따른 경제위기 등의 난관이 있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해상자위대는 세계 정상급의 해군력을 구축하였고 전수방위라는 기본방위 개념에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4개 헬기호위형 항모운용 체제로 발전하려고 하고 있다. 일본 해군력의 성장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본 연구는 해상자위대가 해군력 건설을 위해 창출한 대표적인 건설논리인 '8함(艦) 8기(機) 체제'를 중심으로 해상자위대의 핵심전력인 호위함대 전력건설 과정을 분석하여, 한국해군력 건설논리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중국의 해군력 증강과 미국 해군의 대응전략 -중국 해군의 반접근/지역거부(A2/AD)전략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China's Naval Strengthening and US Navy's Counter-Forces)

  • 김덕기
    • Strategy21
    • /
    • 통권42호
    • /
    • pp.196-223
    • /
    • 2017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a's naval strengthening and threat reflected in submarines, aircraft, destroyers and missile capabilities and US Navy's counter-forces. China is strengthening its naval forces in accordance with its three-step naval force build-up plan, and the introduction of Russian destroyers and submarines is a foothold for China's naval enforcement. The Chinese Navy also converted the concept of the First-Second Island Chain Defense, which it had already maintained, to the concept of maritime layer defense. Currently, the Chinese Navy maintains the concept of a Three-Maritime Layer Defense which includes the South China Sea, where artificial islands are being built by China, in the First Layer Defense and the East China Sea in the Third Layer Defense.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Chinese Navy's submarines, surface vessels and aircraft's operational capabilities, ballistic and cruise missile capabilities become a major threat to the US Navy. If a crisis occurs in the East China Sea or in the Taiwan Waters, the US Navy will face more difficulties in employing the Carrier Strike Group to manage the crisis. Meanwhile, if a crisis occur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be a burden to dispatch Carrier Strike GroupS to the East and West Seas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stable future, the US Navy should develop a strategy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the Chinese Navy, which is challenging new maritime supremacy in East Asia.

냉전기 서독해군 전략의 시사점과 향후 대한민국 해군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ications of the naval Strategy in West Germany and Future Direction of Korean Navy)

  • 신홍중
    • Strategy21
    • /
    • 통권46호
    • /
    • pp.159-204
    • /
    • 2020
  • 광복 이후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대한민국은 필연적으로 유사 해양국가가 되었다. 더불어 대한민국은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강대국들에 둘러싸여 있는 지정학적 위치에 놓여 있다. 한편, 근래 들어 중국이 해군 항공 전력을 상당히 증강시키는 방향에 있기 때문에 우리 해군 또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우리는 미국과의 끈끈한 동맹을 유지하고 있으나, 그 외의 국가들과는 불확실한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현재 대한민국과 유사한 지정학적 위치에 있던 과거의 서독이 설정한 전력 확충의 방향성, 냉전기 당시 NATO 조직 내에서 담당하던 '지역해군'으로서의 역할, 그리고 주변국들과의 안보협력 구상방식은 대한민국에게 있어 의미 있는 참고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 해군 USV Master Plan 분석 및 국내 적용전략 연구

  • 김소진;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4
    • /
    • 2010
  • 해군 무기 체계의 혁신적 테마로 떠오른 Unmanned Surface Vehicle(USV)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현재 연구, 개발 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지속적인 연구 노력의 결과로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미 해군에서는 'USV Master Plan'을 발표함으로써 USV 기본정의 및 운용기술과 개발과제 풍을 제시하였고 해사(海事)에 USV 시스템의 도입과 운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USV Master Plan'을 통해 미 해군 USV 시스템의 개념 및 핵심 기술과 개발 동향을 분석하여, 반도 국가인 우리나라에 USV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21세기 정보기술과 신 군사력 건설방향 (네트워크 중심 전투 개념)

  • 김영길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242호
    • /
    • pp.44-53
    • /
    • 1999
  •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와 새로운 경쟁 패러다임에 의한 전략중심의 변화 방향을 기초로 새로운 군사력 건설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정보기술을 이용한 기업 경제체계의 변화와 경쟁전략, 미 해군의 전략과 군사력 건설에의 적용개념, 이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과 시사점, 그리고 우리 군의 발전방향을 알아본다

  • PDF

한국 해군의 함대합성훈련(FST)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FST Applications of Korean Navy)

  • 전태보;박창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9-39
    • /
    • 2016
  • 전투력 향상을 위해서는 전장환경에 부합하는 훈련체계의 구축 및 적응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훈련 체계인 FST (Fleet Synthetic Training)에 대한 고찰 및 한국 해군 측면의 분석을 수행하고 정책적인 제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FST의 개념 및 현재 우리 해군의 훈련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고찰하였다. 객관적인 전략 및 제안의 도출을 위하여 우리 군의 내부 역량과 FST 측면의 환경에 대한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국 해군이 나아갈 방안으로 현재 진행중인 함대들의 통합전술재박훈련 체계를 중심으로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접근을 통한 FST의 체계 정착이 제시되었다.

간접접근전략으로 본 6·25전쟁기 북한군의 호남 방면 대우회기동 실패 요인 분석 -'교란'을 저지한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failure of the North Korean Army's Great Bypass Maneuver to Honam during the Korea War from an indirect approach strategy: Focusing on the Naval and Marine Corps' Tongyeong Amphibious Operation to Stop the "Dislocation")

  • 최호재
    • 해양안보
    • /
    • 제6권1호
    • /
    • pp.109-135
    • /
    • 2023
  •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 기동은 6.25전쟁 기간 동안 북한군이 보여준 가장 빠른 기동이었으며, 국군과 연합군의 낙동강 방어선을 전면 조정하게 할 만큼 위협적인 공격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가 간접접근전략 측면에서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기동을 분석한 결과, 이 기동에는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여러 요인이 존재했다. 간접접근전략 수행 측면에 있어서 북한군은 전투력 분산, 작전선 변경의 융통성 부족, 지상군 위주의 기동, 심리적 견제 결여 등 여러 실패 요인을 노정했다. 하지만 북한군은 마지막 '기습'을 준비였는데, 그것은 북한군 6사단을 후속하던 7사단이 재차 우회를 감행하여 통영 방면으로 공격을 시도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북한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부산으로 향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한군의 공격은 한국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으로 인해 최종 좌절되었다. 바다를 기동공간으로 한 신속한 기동으로 해군·해병대는 주요 요충지를 먼저 점령했고, 유리한 상황을 조성한 가운데 북한군 7사단의 공격을 막아냈다.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은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기동을 최종 저지함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