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관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97-99
    • /
    • 2015
  • 부산은 18세기말 서양에게 처음으로 알려졌다. 이후 19세기말 조선이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국제 열강들에게 개항되었을 때에도 중요한 국제적인 개항장이었다. 국제 선박들의 왕래가 늘면서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등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등대의 설치와 관리는 부산 해관원들이 담당하였다. 개항기 해관의 작업들은 봉건사회에서 근대국가로 변천하는 조선의 역사적 기원이 된다. 이처럼 소중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개항기 해관문서들이 상당부분 소실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조선의 내부문서와 외교문서 그리고 국내외 언론들에 의해 작성된 기록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최근 출간된 자료들과 수집된 고지도들을 바탕으로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에 설치된 근대식 등대를 확인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 근대사의 올바른 정립에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3-105
    • /
    • 2015
  • 대한민국 등대의 역사는 일제가 국외 침략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설치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1903년 인천에 처음으로 등대가 설치된 이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항로표지시스템이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 항구의 도시로서 그리고 초량왜관의 도시로서 부산은 15세기 초 이래로 한일 외교관계의 중심지였다. 그렇게 때문에 이미 오래전부터 부산에는 해상 국제교류를 위한 항만시설이 발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양에 관련된 역사자료가 부족하고 기초연구가 미비하여 올바른 역사를 정립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 들어서 부산해관 고문서의 번역이 마무리 되었고, 초량왜관 관련 고지도들을 집성한 자료가 편찬되면서 보다 객관적인 부산의 역사를 정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고지도와 문서들을 통하여 오래된 국제 항구도시 부산의 초량항에 초점을 두고 부산 등대의 기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Opening Port (조선말 개항기 부산항의 근대식 등대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41-547
    • /
    • 2014
  • Busan was known firstly to the western world in the end of 18th century. When the Joseon opened a port under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san was an important port.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ship exchange had magnified the harbor facility and the importance of lighthouses of Busan port. Busan maritime customs officer were in charge of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lighthouses. The operations of maritime customs became historical origin of Joseon changing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nation. The majority of the documents from maritime customs was disappeared. So it was hard to know the exact history. But investigating documents and papers of Joseon, even media records will enable us to establish the objective fact relations. Moreover, published and translated data from the past make it possible such investigations. As a result, modern lighthouse of Busan harbor in the late Joseon after opening port was could be found. It could be offered to establishing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the objective data.

A Study on the Beginning of Busan Aids to Navig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ld Pictorial Maps on Choryang Harbour (초량항 고지도 분석을 통한 부산 항로표지의 기원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11-518
    • /
    • 2014
  • The history of the Korean lighthouse have been known to be begun from which installed by the purpos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outside. Modern navigational aid system have configur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since the Incheon Palmido Lighthouse was built in 1903 as the first lighthouse in Korea. But in this regard i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carefully. Busan, as the city of international port and of Choryang Waegwan, had been a center of foreig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early 15th century. Because that reason, International port facility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go in Busan for example lighthouse, breakwater, wharf, jetty and so on. Nevertheless the lack of historical data and basic research related to the marine caused the proper history could not be established until now. In recently the basic translation of Korean Maritime Customs documents started to finish, and a compilation book of old pictorial maps on Choryang Waegwan was issued. As a result, more objective history of Busan Aids to Navigation can be investigated.

The Study on the Problem awareness and the Improvement of China Clearance Procedure (중국 해관의 통관절차에 대한 문제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Jae Sung;Lee, Yong Ke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
    • v.2 no.1
    • /
    • pp.74-90
    • /
    • 2011
  •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the clearance procedure reengineering of china customs. By the method of documentary research, the paper has tried to look for a new clearance procedure of china customs which be more reasonable through the study of clearance procedure reengineering of china customs. As a result,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to gather information, and regulations of china clearance procedure,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leanup si re-quired.

  • PDF

건설안전리포트 - 삼성물산 건설부문 국립 생태체험관 신축현장 - 안전으로 환경과 건축 역사에 남을 건물 지을 것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66
    • /
    • pp.12-14
    • /
    • 2011
  • 불과 2년 전 한적한 시골 농경지였던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일대. 푸른 들판과 초록의 나무만 가득했던 이곳이 환경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생태원'으로 변하고 있다. 무려 99만8,000$m^2$의 사업부지에 생태연구센터, 생태교육센터, 생태체험관, 야외생태체험공간 등이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한창 조성되고 있는 것. 각 시설 모두가 세간의 큰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시공 중에 있는 '국립 생태체험관'은 아직 완공 전임에도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열대관, 아열대관, 지중해관, 온대관 극지관 등 지구의 5대 생태계를 재현하는 '국립 생태체험관'은 전 세계 각지의 유명 생태관들의 모든 장점에다 국내만의 독창성을 더해 현존 최고 생태체험관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때문에 시공사의 자긍심이 남다른 것은 당연한 일. 최신 친환경 공법을 바탕으로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데 혼연의 힘을 다하고 있다. 특히 시공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신경을 쓰는 것이 바로 '안전'이다. 후세에 환경보전과 보호의 필요성을 전하는 의미 깊은 장소이니 만큼 안전사고로 그 취지를 얼룩지게 할 수 없다는 것이 이곳 임직원의 각오. 안전으로 역사에 기록될 건축물을 만들고 있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국립 생태체험관' 신축현장을 찾아가 봤다.

  • PDF

The Superintendent Office (Gamriseo) at the Open Ports in Joseon Dynasty of Korea and Related Records: Focused on the Busan Port (조선 개항장의 감리서(監理署)와 기록 - 부산항을 중심으로 -)

  • Song, Jung-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3 no.3
    • /
    • pp.255-282
    • /
    • 2013
  •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ruary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Because of this, the Superintendent Office (Gamriseo, 監理署) was established at 1883 but was later abolished in 1906. In this thesis, the author explored the opening procedure of Busan Port as an open port,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s in the Superintendent Office, and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types, and contents of records of Gamriseo that were created or received. Record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classified into diplomatic records, judge records, police records, customs records, administrative records, and the daily records of the institution. Most of the original document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hile some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Asiatic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