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체

Search Result 2,289,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Developments of Catalytic Antibody (촉매항체의 개발)

  • Kim, Se K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 no.4
    • /
    • pp.220-231
    • /
    • 1992
  • 항체의 구조와 기능, 촉매항체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에 대하여, 특히 에스테르-아미드결합의 가수분해반응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항체단백질은 분자량이 약 150kDa이며, 2가닥의 L사슬과 2가닥의 H사슬로 구성되어있다. 항체에 촉매작용을 도입하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은 hapten에 대한 항체의 입체적 또는 전자적 상보성은 이용하는 것이고 둘째는 기질 특이적인 항체를 직접 화학수식 하든가 또는 부위 특이적 변이유발 등의 방법으로 촉매활성기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촉매항체의 매력은 합리적인 hapten의 설계로 원하는 촉매활성을 갖는 항체를 유도하는 데 있다.

  • PDF

Antibody Engineering (항체공학)

  • 홍효정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1
    • /
    • pp.51-55
    • /
    • 1991
  • 쥐의 단일클론항체는 기초연구에 뿐만 아니라 질병의 진단시약으로서도 광범위하게 유용되어 왔다. 반면, 쥐의 단일클론항체를 인체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인체에 면역반응을 유발시킨다는 근본적인 문제점 때문에 어려운 일이라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2-3년간 유전자 기술과 단백질공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쥐의 단일클론항체를 인간화시키거나 항체절편의 생산을 시도하게 되어, 단일클론항체의 임상적인 이용에 대한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진단되고 있다. 본 난에서는 항체의 구조와 기능을 간략히 살펴보고, 최근 항체의 단백질공학에 대한 경향과 방법 및 engineered 항체의 특성들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모체이행항체에 대한 이해

  • 이윤정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3 no.10 s.384
    • /
    • pp.116-118
    • /
    • 2001
  • 선천 면역(Maternal immunity)은 모체에서 유래된 lgG class의 항체(모체이행항체)에 의한 면역이다. 이와 같은 면역은 주로 체액성 면역(혈중항체)과 관계 있으며, 국소면역 또는 세포면역은 관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1일령 병아리의 항체가는 모계군의 혈청역가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난다. 부화 후 처음 4일간은 난황으로부터 흡수를 함으로써 혈중 항체가가 떨어지지 않고 비슷하게 유지되다가 그 이후 항체가는 차츰 감소하게 된다. 항체가가 감소하는 수준은 닭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이것은 생리대사와 성장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항체가가 반으로 감소하기까지의 기간(반감기)은 육계의 경우 3일에서 3.5일, 종계의 경우 4.5일, 산란계의 경우 5.5일로 나타난다. 1일령 때의 항체 역가 수준, 닭의 종류, 항체가를 측정하는 혈청검사의 방법 등에 따라 모체이행 감소 수준이 다르긴 하지만 보통 수주 이내에 완전히 소실되게 된다.

  • PDF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Naegleria fowleri monoclonal antibodies (Naegleyiu fowleri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33-42
    • /
    • 1992
  • Naegleria fowleri, a free-living amoeba commonly found in moist soil and fresh water, enters the body via the nasal mucosa and migrates along the olfactory nerve to t he brain, where it causes acute amoebic meningoencephalitis. In the present study 7 clo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cAbs) against N. fowleri were produced and the effector function of them was investigated. Their isotopes were IgGl (Nf 1, Nf 154), 19G3 (Nf 137) and 19A (Nf 1, Nf 2, Nf 256, Nf 279). Five McAbs (McAb Nf 2, Nf 279, Nf 27, Nf 154, Nf 137) were specific for N. fowleri by ELISA and recognized the antigenic determinants located on the trophoBoite surface by IFAT and immunoperoxidase stain. These aye McAbs had capacity to agglutinate N. fowleri trophozoite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the amoeba in culture medium. McAb Nf 2 inhibited proliferation of trophozoites in vitro significantly. Also the cytotoxicity of JV. fowleri against CHO cell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McAb Nf 2 and McAb Nf 154. From these results McAb Nf 2 was confirmed to weaken the virulence of the amoeba among 7 screened McAbs.

  • PDF

Autonomous Navigation of Multi Unmmanded Vehicle Using GPS Receiver and Ultrasonic Sensor (GPS 수신기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다중 무인 항체의 자율 주행)

  • Hwang, Sung-Jun;Lee, Seung-Ju;Cho, Sung-Ho;Kim, Jeong-Won;Hwang,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928-192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무인 다중 항체의 자율 주행 기법을 제시하였다. 항체의 역할을 선두 항체와 추종 항체로 구분하고 정해진 목적지로 선두 항체가 이동하면 추종 항체가 선두 항체를 따라 이동하여 두 항체가 모두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주행 중 항체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GPS 수신기와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였다. 자율 주행 실험에 앞서, GPS 수신기로 얻은 위치로부터 계산한 방향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The Study on Intelligent Control Architecture of Unmanned Autonomous Vehicle (저속무인자율항체 지증제어 아키넥처에 관한 고찰)

  • 김창민;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72-175
    • /
    • 2000
  • 무인자율항체는 자동차, 선박, 잠수함과 같이 인간에 의해 직접 조종되는 유인항체에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능시스템을 배치하여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무인화한 이동체를 말한다. 무인자율항체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인식, 사고, 행위와 같은 인간의 지적능력을 내포한 인공지능시스템이어야 한다. 자율무인잠수정,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는 무인항공기나 무인차량과 같이 빠른 판단과 제어가 요구되는 지능제어시스템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저속무인자율항체에서 가장 주목되는 특성은 주위 환경 변화속도와 운항속도에 따른 긴박감의 차이이다. 고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처리속도에, 저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신뢰성에 비중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의 특성과 기능별 독립성 보장, 반응형 및 인식형 인공지능 기법의 융화 극대화에 촛점을 맞춘 RVC(Reactive Layer-Virtual World-Congnitive Layer) 지능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lligent Control Architecture for Unmanned Autonomous Vehicles (무인자율항체를 위한 지능제어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창민;김용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249-255
    • /
    • 2001
  • 무인자율항체는 자동차, 선박, 잠수함과 같이 인간에 의해 직접 조종되는 유인항체에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능시스템을 배치하여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무인화한 이동체를 말한다. 무인자율항체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인식, 사고, 행위와 같은 인간의 지적능력을 내포한 인공지능시스템이어야 한다. 자율무인잠수정, 자율운항선박과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는 무인항공기나 무인차량과 같이 빠른 판단과 제어가 요구되는 지능제어시스템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저속무인자율항체에서 가장 주목되는 특성은 주위 환경 변화속도와 운항속도에 따른 긴박감의 차이이다. 고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처리속도에, 저속자율항체에서는 제어시스템의 신뢰성에 비중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저속무인자율항체의 특성과 기능별 독립성 보장, 반응형 및 인식형 인공지능 기법의 융화 극대화에 촛점을 맞춘 RVC(Reactive Layer - Virtual World - Considerative Layer) 지능시스템 모델을 소개한다.

  • PDF

Construction of Antibody Database (항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연구)

  • 이동준;심찬섭;박형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39-141
    • /
    • 2002
  •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후 2년여가 지난 지금, 단백질체학(Proteomics)의 분야로서 기능분석위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동물계에서 면역 체계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 적 인 요소로서 항체를 뽑고 있고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연구용 항체 (Antibody)의 수는 약 70만종 정도로서 그 수는 생물학의 발전속도에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항체는 생물학의 기초 연구 도구로서 뿐만 아니라 질환의 진단 및 치료제는 물론 산업 적으로도 그 활용가치가 큰 생물자원으로서 그 가치 가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향후 전개될 단백질체학의 주요 연구도구로서 항체가 맞춤의학을 위한 신약개발이나 신규단백질 동정에 필요한 항체칩(Immune-chip)등을 생산할 목적으로 항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며 항체의 기본적 인 정보들은 앞으로 연구자의 연구방향에 지대한 영향으로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Antibody Conversion Rate During a Mycoplasma pneumoniae Epidemic Period(the Second Half of 2003) (Mycoplasma pneumoniae 유행 시기(2003년 하반기)의 항체 양전율에 대한 조사)

  • Kim, Do Kyun;Yu, Jinho;Yoo, Young;Koh, Young Yul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8 no.5
    • /
    • pp.500-505
    • /
    • 2005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during an epidemic period by means of examining the antibody conversion rate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antibody conversion with age, initial antibody titer, and atopy. Methods : We chose 191 children whose antibody titer to M. pneumoniae was negative, 1 : 40, or 1 : 80 during the first half of 2003. After the second half of 2003 when the M. pneumoniae epidemic occurred, follow-up collection of sera was performed during the first half of 2004. M. pneumoniae antibody titer was measured by Serodia-Myco II particle agglutination test. Results : Of 191 children, antibody conversion was detected in 83 children(43.5 perc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onversion and non-conversion group with respect to age, sex and atopy. Dividing the subjects into four groups by age, results on the antibody conversion rat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ssessed by initial antibody titer, a diminished trend of conversion rate was observed in children with 1 : 80 ti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body conversion rate between atopic and non-atopic children. Conclusion : Based on the antibody conversion rate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M. pneumoniae infection during an epidemic period was estimated to be 43.5 percent. This high infection rate suggests that during an epidemic, we should bear in mind M. pneumoniae as an important etiologic agent for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Sparganum infections in normal adult population and epileptic patients in Korea: A seroepidemiologic observation (항체검사에 의한 한국인 스파르가눔 감염의 혈청역학적 조사)

  • Yoon Kong;Seung-Yull Cho;Woo Shik Ka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2 no.2
    • /
    • pp.85-92
    • /
    • 1994
  • A seroepidemiologic observation of anti-Spirometrc erinacei plerocercoid (sparganum) antibody (IgG) in serum was made in normal adult and epileptic patients in Korea from february, 1987 to September, 1990. Sera were tes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anti-sparganum antibody together with anti-Taenic soEiun metacestode, and anti-Parusonimus westermcni antibodies. Sera reacted positively to sparganum antigen only were considered. Positive rate for anti-sparganum antibody in 850 normal adults was 1.9% (standardized rate by provincial population was 1.7%). In 2,667 randomly selected patients of epilepsy at 28 local centers of the Changmi Club, positive rate was 2.5% (standardized rate: 2.3%). In both normal adult and patient groups, the higher antibody rates were observed in Kangwon and Chonnam Provinces. Positive rates were 10 times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in normal adults and 4.5 times in male epileptic patients. The rates were elevated especially with age over 30-year. odd ratio of the antibody was 1.32 which indicated an ambiguous etiologic factor for epileps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