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정신병약물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오진된 섬망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isdiagnosed Delirium)

  • 오유진;백수현;김민혁;민성호;박기창;안정숙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87-92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섬망의 오진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 및 임상의를 오진으로 유도할 수 있는 증상적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정신과에 협의진료 의뢰된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섬망으로 진단된 2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협진요청서에 명시된 사유를 검토하여, 의뢰의사의 진단이 섬망인 경우 진단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경우 진단불일치군으로 구분하였다. 결 과 69명(27%)이 진단불일치군으로, 섬망이 아닌 다른 진단으로 협진이 의뢰되었다. 진단불일치군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사용, 기질성 정신질환의 과거력이 많았다.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DRS-R-98) 중 증상의 변동 항목의 점수가 진단일치군에서 더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질환의 낮은 심각도, 항정신병약물 사용력, 적은 증상의 변동이 임상의가 섬망 외에 다른 진단을 고려하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경우, 섬망증상의 변동이 적은 경우 오진의 위험이 높았다. 지연된 섬망의 진단과 치료는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 PDF

하지불안증후군과 정신과 약물 (Restless Leg Syndrome and Psychotropic Drug)

  • 우정민;장성만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1호
    • /
    • pp.5-10
    • /
    • 2010
  • Restless legs syndrome (RLS) is a common sensorimotor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an urge to move the legs and peculiar, unpleasant sensations deep in the legs and its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is between 3.2% and 15%. RLS significantly impairs patients' lives, often by severely disrupting sleep. However, both clinicians and patients under-recognize the RLS. RLS phenotypes include an idiopathic form and secondary form that is usually resulted from various causative conditions. The pathophysiology of RLS may be related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which is closely linked to a number of psychotropic medications, including antidepressant and antipsychotics. Several antidepressants and antipsychotics have been shown to induce or exacerbate RLS. We nee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commonly prescribed medications can be the cause of RLS.

  • PDF

항정신병약물 클로자핀이 흰쥐 뇌실로 주입한 인슐린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zapine on Central Insulin Response in Rats)

  • 김세현;유현숙;박소영;김민경;박홍근;김용식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4호
    • /
    • pp.187-192
    • /
    • 2012
  • Objectives Although antipsychotic drug clozapine has superior efficacy, this is hampered by metabolic side effects such as weight gain and diabetes. Recent studies demonstrate that clozapine induces insulin resistance. However, the identity and location of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clozapine has not been clarifi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lozapine on central insulin response was investigated in rats.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received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lozapine or vehicle, which was followed by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insulin or its vehicle. The effects of clozapine on insulin-induced changes in blood glucose level and Akt phosphorylation in hypothalamus were investigated. Results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lozapine (20 mg/kg) increased blood glucose in rats.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insulin reduced blood glucose in rats, which was blunted by pretreatment of clozapine. Accompanied with the antagonistic effect of clozapine to central insulin action in terms of blood glucose, clozapine inhibited the insulin-induced phosphorylation of Akt at Ser473 in rat hypothalamus.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clozapine inhibited the central insulin-induced changes in blood glucose and Akt phosphorylation in rat hypothalam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ypothalamus could be the site of action for the clozapine-induced insulin resistance.

네트웍 프로그램이 항정신병약물 및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체중과 식이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Network Program for Preventing Obesity of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s or Antidepressants)

  • 김소야자;성경미;황영신;김숙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26-534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etwork program to prevent obesity and improve dietary habits for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s or antidepressants. Method: Thirty-seven patients in two hospital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21 patients) or an intervention group ( 16 patients). The intervention group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network program for six weeks after the program.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ate of increased body weigh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tervention group. Notably, the body weight of both groups before the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after the intervention the body weight of the intervention group rarely increased, whereas, the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expected. There was an observed difference in die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aloric intake per day of the intervention group decreased. Also, the duration of the meal of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was longer than before. Conclusion: The network program for preventing obesity and improving dietary habits of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s or antidepressants was effective. The study shows that a network program can be an important part of a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복용 중인 과체중 환자에서 체중 감량을 위한 행동수정요법의 개발 - 예비연구 -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in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 Preliminary Study -)

  • 신홍범;박종호;차보석;김병수;이숙경;김학령;김용식;안용민;강웅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186-196
    • /
    • 2003
  • Objects:The authors devebp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for oveweight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will had t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to outpatients Methods:Two men and nine women who had b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will had gained at least 5 percent of their pre-treatment body weight for 10 weeks, attend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The patients' weight, body mass index and the diet-activity scale were assess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matched comparison group will dd not atten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sults:The body weight of patients who attende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duc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et-related items but not in activity-related items of the diet-activity scale Conclusions: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bility of a eehavioral mc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to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frrst time in Korea Additional large scale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 PDF

항정신병약물로 인한 QTc 지연과 5-HTTLPR의 연관성 (Association of Antipsychotic-Induced QTc Prolongation with 5-HTTLPR)

  • 서범주;이정구;박성우;공보금;정도운;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11권1호
    • /
    • pp.49-53
    • /
    • 2004
  • Objective:A Comparison of QTc prolongation for various antipsychotics and an analysis of QTc prolongation for the various types of serotonin transporter polymorphism were performed. Method:EKG was checked, followed by QTc measurement as Bazett's correction, and the serotonin transporter polymorphism was examined in 110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ere performed EKG before 24 weeks ago. We defiened QTc prolongation as over 450ms. The risk factor of sudden cardiac death were defiend as QTc prolongation and or 60ms in delta value. Result:The prevalence of QTc prolongation in this study was 7.3%, and the prevalence of over 60ms was 4.5%. Patients who had the risk factors were 10(9.1%). 6/52 who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s and 2/58 who prescribed haloperidol showed QTc prolongation. The prevalence who had the risk factor of sudden cardiac death were 16% in atypical antipsychotics group, 3.4% in haloperidol group. QTc prolongation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l/l type than s/s type. l allele frequency were 50% in QTc prolongated group, 19% in not prolongated group. l allele had an association with QTc prolongation(p<0.01). Conclusion:The prevalence of QTc prolongatin was frequent i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s. It has strong association with l allele of 5-HTTLPR.

  • PD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 다형성과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하지불안증후군의 연관 연구 (Association between Antipsychotic-Induced Restless Legs Syndrom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M1, Gst-T1 and Gst-P1 Gene Polymorphisms)

  • 강승걸;박영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2권1호
    • /
    • pp.25-29
    • /
    • 2015
  • 목 적 :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 RLS)의 병인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유전적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스트레스는 RLS, 지연성운동장애, 파킨슨병, 뚜렛장애 등의 운동장애에서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에 의해 유발된 RLS 증상이 산화손상의 해독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다형성과 연관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의 진단기준으로 190명의 한국인 조현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RLS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유전자형분석은 중합효소연쇄반응기법을 사용하여 GST-M1, GST-T1, GST-P1의 세 가지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해서 시행되었다. 결 과 : RLS 증상군 96명과 무증상군 94명으로 피험자들을 분류하였다. GST-M1 (${\chi}^2=3.56$, p = 0.059), GST-T1 (${\chi}^2=0.51$, p = 0.476), GST-P1 (${\chi}^2=0.57$, p = 0.821)의 유전자형 빈도에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RLS 척도의 점수도 GST-M1 (t = -1.54, p = 0.125), GST-T1 (t = -0.02, p = 0.985), GST-P1 (F = 0.58, p = 0.560)의 세 가지 SN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GST 유전자 다형성이 항정신병약물로 유발된 RLS 증상 발생의 민감성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산화손상과 관련된 다른 후보 유전자들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클로자핀 투약시 나타나는 발열의 원인 (A Review on the Cause of Fever During Clozapine Treatment)

  • 송지혜;제성석;이재종;이승윤;이승훈;이은영;소형석;최하연;최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66-72
    • /
    • 2022
  • 클로자핀은 치료 저항성 조현병 약물치료의 "최적 표준(gold standard)"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클로자핀은 다른 항정신병약물에서 흔히 나타나는 추체외로 증후군, 지연이상 운동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고 고프로락틴의 일시적인 상승만 보이는 한편, 발열 등의 약물 이상반응이 흔하게 나타난다. 치료 시작 시기에 드물게 무과립구증,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과 연관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클로자핀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 그러나 발열의 양성 원인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보다 훨씬 빈번하므로 치료 시작 시기에 발열을 보이는 경우 무조건 클로자핀을 중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치료 유지 시기에도 언제든지 발열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폐렴의 위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지 않으며, 클로자핀은 다른 항정신병약물 보다 폐렴의 위험이 높으므로 항상 이를 염두에 두고 치료제 모니터링을 통하여 약물 용량을 결정하는것이 권장된다.

심각한 소아 ${\cdot}$ 청소년 강박장애로 입원한 환아들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WITH SEVE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황준원;유소영;장준환;신민섭;조수철;홍강의;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43-151
    • /
    • 2004
  • 연구목적: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는 낮은 약물반응, 높은 공존장애율, 강한 유전적 경향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강박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유전부하, 약물 반응양상, 퇴원후의 경과등을 조사하여,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소아·청소년 강박장애 군의 특성을 파악하려 하였다. 방 법:최근 9년사이에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한 환아 20명(남 16, 여 4)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진단 및 임상 상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무기록지, 심리학적 보고서, 가족 면담 자료, 간호 보고서를 모두 고려하였고, 퇴원시 확정된 진단을 일차진단으로 하였다. 결 과:1) 환아의 성비는 남성이 4:1로 우위였다. 2) 강박사고에 있어서 가장 흔한 형태는 병적의심이었고, 이어서 더러움에 대한 공포, 공격적 사고, 대칭에의 요구, 성적 강박 사고였다. 강박행동에서 가장 흔한 내용은 확인, 씻기, 숨쉬기, 움직임, 대칭, 반복적 질문, 물건수집, 정신적 강박행동 등이었다. 3) 가장 흔한 공존 장애는 우울증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다른 불안장애, 틱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였다. 드물게 강박사고에 대한 현실검증력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아동도 발견되었다. 4)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가족력을 살펴본 결과, 17 가족(85%)에서 2차 친척 중 정신과 장애를 앓는 사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강박 스펙트럼 장애로 의심되는 친척을 둔 아동이 전체의 45%(9명)이었다. 5) 약물치료로서 사분의 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6) 퇴원 후의 외래 추적 결과, 지속적인 증상의 관해를 보인 경우는 5명(25%)이었고, 부분적인 증상을 가진 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10명(50%)이었다. 결 론:심각한 소아·청소년 강박장애약물 환아들의 임상상을 국내에서는 최초로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공존장애율, 높은 정신과장애의 가족력, 높은 항정신병약물 복용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증상면에서도 공격적-성적 강박사고의 비율이 높았으며, 숨쉬기, 움직이기 등의 특이한 강박행동이 발견되었다. 치료로서 사분의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 PDF

위약효과와 신경정신약물의 임상시험 (Placebo Effects and Clinical Trials of Neuropsychiatric Drugs)

  • 김성완;장지은;윤진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4호
    • /
    • pp.164-171
    • /
    • 2012
  • The placebo effect, a response observed during the placebo arm of a clinical trial, is produced by the psychobiological action of the placebo as well as by other potential contributors to symptom amelioration such as spontaneous improvement, regression to the mean, biases, concurrent treatments, and study design. From a psychological viewpoint, there are many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placebo effects, including expectations, conditioning, learning, and anxiety reduction. Placebo responses are also mediated by opioid and non-opioid mechanisms including dopamine, serotonin, cholecystokinin, and immune mediators. During recent years, a trend towards increased placebo effects in clinical trials of neuropsychiatric drugs has been noted. Indeed, the placebo effects observed in clinical trial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blem and interfere with signal-detection analyses of potential treatments. Several potential factors including protocol/study design and conduct related factors may account for the placebo effect observed in clinical trials. This paper reviews key issues related to this problem and aims to identify potential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