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보체활성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8초

괴화((槐花), Flos Sophora japonica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los Sophora japonica L.)

  • 박성진;신언환;함태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3
    • /
    • 2009
  • 괴화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RC_{50}=3.13{\mu}g/mL$), butanol 분획($RC_{50}=6.25{\mu}g/m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alpha}$-tocopherol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다만, fungi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mu}g/mL$, $500{\mu}g/m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층 21%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괴화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토란으로부터 분리한 면역활성 다당 galactomannan의 구조적 특성 규명 (Structural elucid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galactomannan isolated from Colocasia esculenta)

  • 이희원;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95-603
    • /
    • 2020
  • 토란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토란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항보체 활성을 평가하고 구조 분석을 행하였다. 토란으로부터 분리한 조다당 CE를 이온교환수지와 Sephadex G-100 column를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그 중 수율과 활성이 양호한 CE-4a를 최종 획분으로 선정하였다. 초기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체계에 대한 토란 다당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PSK에 준하는 강력한 항보체 활성을 보였고, 시료의 농도차이를 두어 실험한 결과 농도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CE-4a는 분자량 약 182.4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Man, Gal 및 GalA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다. 본 당쇄의 결합양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methlyation analysis를 행한 결과 CE-4a는 terminal Galp. 3-linked-Galp, 4-linked Manp, 2,4,6-linked Manp를 포함한 총 10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CE-4a의 전체구조를 추정하기 위하여 endo-α-(1→4)-polygalacturonase, exo-α-galactosidase 및 endo-β-(1→4)-mannanase를 이용한 연속 가수분해 처리 및 해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토란 유래 다당 CE-4a는 (1→4)-mannan 주쇄로 존재하며 주쇄인 mannose의 C(O)6 위치에서 한가닥 또는 C(O)2, C(O)6 위치에서 동시에 두가닥의 측쇄가 연결되어 존재하고, 측쇄는 주로 galacto oligo당이 측쇄로 분지된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선왕도고가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 3T3-L1의 증식(增殖), 항보체활성(抗補體活性) 및 세포독성(細胞毒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useonwangdogo on the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 3T3-L1 Cells, the Anti-Complementary and the Cytotoxic Effects)

  • 최용후;김호경;고병섭;주영승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5-114
    • /
    • 1999
  • To investigate the anti-complementary and cytotoxic effects of oriental prescription, Kuseonwangdogo, on the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 3T3- L1 cells, we examined biological effects of Kuseonwangdogo.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fter 14 days, the body weight of rats treated with Kuseonwangdogo decreased more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the weights of liver, spleen and kidney were unchanged. In serum biochemical test, we examined the level of glucose (GLU)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The levels of GOT and CHOL in serum were decreased remarkably by the administration of Kuseonwangdogo (p<0.05). The haematological examination of the tes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of white blood cells (WBC), hemoglobin concentration (HGB),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and monocyte (MO). 2. The effect of Kuseonwangdogo on the proliferation of 3T3-L1 cells was tested by the sulforhodamin B(SRB) assay. The high concentration ($100{\mu}l\;and\;200{\mu}l$) of extracts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3T3- L1 cells. The p-value was <0.01, respectively. 3. The extract of Kuseonwangdogo showed a potent anti -complementary activity. It was suggested that the active principle may be a kind of polysaccharide molecule. 4. The cytotoxic effects of Kuseonwang dogo and its composing herbs in human liver cells (WRL68) and monkey kidney cells (Vero) were examined by the SRB and 3- (4,5- Dimethylthiazol-2-yl) -2,5 diphenyl-2H-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Cytotoxic effects were not observed.

  • PDF

계지(桂枝) 열수추출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다당의 정제 (Purification of Complement System-Activating Polysaccharide from Hot Water Extract of Young Stems of Cinnamomum cassia Blume)

  • 권미향;안현정;신광순;나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
    • /
    • 1997
  • 계피나무의 어린가지인 계지의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보체계 활성효과(항보체 활성)를 발견하여 대량으로 열수추출한 추출물(CC-O)에 대하여 메탄올 환류, 에탄올 침전, 투석,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메탄올과 에탄올에 비가용성인 고분자 획분(CC-1)에서 증가된 활성을 보였다. 60.3%의 당과 32.8%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CC-1 획분에서 보체계 활성화 본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pronase처리에 의한 단백질 분해 및 periodate를 이용한 다당부위를 선택적으로 산화시킨 후, 각각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pronase 처리한 CC-1에서는 보체계활성 효과를 그대로 유지한 반면, CC-1의 periodate 산화물은 CC-1에 비하여 활성이 50% 이하로 감소한 사실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물질이 다당임을 확인하였다. CC-1을 양이온 계면 활성제인 cetavlon으로 처리 후 CC-2, CC-3, CC-4 및 CC-5의 4획분으로 분리하였으며 수율과 활성이 가장 높은 CC-2분획을 음이온 교환 수지인 DEAE-Toyopearl 650C column에 흡착시켜 비흡착획분(CC-2-1)과 7개의 흡착획분$(CC-2-II{\rightarrow}CC-2-VIII)$으로 분획하였다. 이 중 0.2 M NaCl로 용출된 CC-2-III 획분을 Sephadex G-100 및 Sepharose CL-6B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주요 활성다당체인 CC-2-IIIa-3를 최종적으로 정제하였다. HPLC상에서 거의 순수한 단일 peak로 확인된 CC-2-IIIa-3는 41.1%의 산성당을 함유하는 산성다당체로서 분자량은 240,000으로 확인되었다. CC-2-IIIa-3의 항보체 활성$(ITCH_{50})$은 1 ㎎/ml의 농도에서 대조군의 94%를 나타내었으며 구성당 조성은 arabinose, xylose, glucose, galactose, galacturonic acid 및 glucuronic acid가 5.56 : 3.77 : 1.87 : 1.00: 5.12 : 3.13의 비율로 존재하였다.

  • PDF

버섯의 항암효과 -영자 균사체 다당류의 항종양 활성-

  • 이준우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년도 창립 10주년기념 학술심포지움 행사집
    • /
    • pp.13-14
    • /
    • 1997
  • 영지의 약리효과는 triterpenoid계의 저분자와 polysaccharide인 고분자로 대별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은 항염증작용, 항알러지작용, 간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혈압 강하작용, 혈소판 응집저해작용 등이 있으며, 고분자 물질은 혈압강하작용, 정혈작용, 고지혈증 개선작용, 혈당 강하작용, 면역 증강작용 및 항종양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의 영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자실체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산지, 환경조건, 채집시기 및 실험자들에 따라 약리 효과 등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들에 대한 효과가 영지의 대표적 약리효과라고 언급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으므로 약리효과가 우수하고 일관성이 있는 영지 유래 다당류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균사체의 대량배양법 및 분리방법이 확립 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항암활성 다당류의 개발을 위해 국내 자생 영지를 채집하여 검색 및 계통적 분류를 행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최적 액체배양 조건, 다당류 분리 조건, 다당류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약리활성 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약리활성이 우수한 G- lucidum IY009 균주를 선발 하였다. 구조적 특징과 종양 면역 활성과의 관계 규명을 위해, G- lucidum IY009 배양균사체로부터 다당류를 T-AS, U-AS, M-AS, S 및 H로 분획 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다당류 GLG의 수율은 열수 추출 분획이 2.98g/l로 가장 높았으며, U-AS및 T-AS에서 각각 2.32g/l, 2.07g/l이었다. GLG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용성과 비수용성으로 분리한 결과 수용성 분획은 비수용성 분획보다 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T-AS 분획은 mouse내의 특정 혈청단백을 증가시켰으며, 항체 생성능의 증가가 관찰되어 effect T 세포의 활성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AS는 생체내 투여시에 대식세포의 탐식능이 증진되었으며, 대식세포 기능 저해제에 의한 대식세포의 기능 저해 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T-AS의 항암 활성은 활성화된 보체 성분 및 당 수용체들이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개입을 시사한다.

  • PDF

국내산 생약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 김현구;김영언;도정룡;이영철;이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0-85
    • /
    • 1995
  • 국내산 재배 생약류의 용매추출물의 항산화력 비교를 위해 28가지 생약류를 methylene chloride로 각각 추출한 후 linoleic acid에 1,000 ppm 첨가하여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28종의 생약 methylene chloride 추출물들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차이는 있으나 모두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황금추출물은 BHA와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목단과 맥문동은 황금보다는 효과가 떨어졌으나 비교적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황금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극성이 서로 다른 9가지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높아졌다. 국내산 생약류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전자공여 작용 그리고 항보체 활성을 조사하였다.

  • PDF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의 항산화 및 면역 활성 (Antioxidant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Cultured Mycelia of Schizophyllum commune)

  • 이준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34-1341
    • /
    • 2014
  •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보체 활성, NO 생성능, 지질 과산화 억제능, OH radical 제거 효과, 미백효과, 항균효과 및 피부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치마버섯 배양균사체 유래 다당류의 항보체 활성은 열수 추출 알코올침전분획(SC-EP)이 $8.9{\pm}0.3%$, 세포내성 다당류(SC-IP)는 $14.7{\pm}1.7%$, 열수 추출 한외여과분획(SC-UP)은 $10.2{\pm}0.8%$, 균사체외성 무처리 분획(SC-NEP)은 $5.2{\pm}0.7%$로 나타났다.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한외여과 처리한 다당류(SC-UP)는 $12.8{\pm}0.7{\mu}M$의 NO를 생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IFN-${\gamma}$와 LPS에서는 각각 $33.4{\pm}1.7{\mu}M$$35.1{\pm}1.5{\mu}M$로 나타났다. AsA-$Fe^{2+}$로 유도된 지질 과산화에 대한 영향은 열수 추출 에탄올 처리 분획(SC-EP) 및 UF 처리 분획(SC-UP)의 경우 각각 $28.9{\pm}0.7nM$$26.5{\pm}0.3nM$의 MDA를 생성시켰다. ADP-NADPH-$Fe^{3+}$로 유도된 지질 과산화에 대한 영향은 배양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에탄올 처리 분획(SC-EP) 및 UF 처리 분획(SC-UP)이 각각 19.8%와 20.8%의 지질 과산화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OH radical의 제거 효과로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OH radical 제거 효과에 대한 $IC_{50}$은 3.32 mg/mL로 조사되었다.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1.0 mg/mL의 농도 처리 시에 19.9%로 나타났다. 또한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위한 MIC 치는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이 10 mg/mL, 균사체외성 다당류(SC-NEP)의 경우는 20 mg/mL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 추출 UF 처리 분획(SC-UP)의 피부투과도는 3시간, 6시간 및 9시간 경과 후 각각 0.47%, 0.73% 및 1.20%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들로부터 치마버섯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의 면역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년초에서 분리한 점질다당의 면역자극 활성 (Immune System-Stimulating Activities of Mucilag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 서이슬;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5-102
    • /
    • 2012
  • 천년초(Opuntia humifusa)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천년초의 주요 다당 CNC-E는 상업용 효소처리, 물 추출 및 ethanol 침전을 거쳐 조제하고 이들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E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CNC-E는 비장세포 유래 림프구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증식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냈다. CNC-E로 자극한 macrophage는 IL-6, IL-12, IL-10 및 TNF-${\alpha}$와 같은 cytokine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켰으며 CNC-E를 mouse에 정맥 주사한 후 얻어진 NK세포는 Yac-1 종양 세포주에 대한 높은 치사작용을 보였다. 특히 CNC-E를 mouse 당 $100{\mu}g$ 처리한 후 얻어진 NK세포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3배 높은 치사활성을 나타냈다. CNC-E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냈으며, anti-human C3를 이용한 면역전기영동실험과 $Ca^{2+}$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 실험을 통해 천년초 다당 CNC-E는 고전경로와 부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국산 선인장 천년초에는 인체에 유익한 면역 활성 다당체를 다량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Flammulina velutipes 항보체 활성다당의 생산에 미치는 영양원의 효과 (The Effect of Nutrients on the Produc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by Flammulina velutipes)

  • 이현경;신광순;송치현;성하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0-367
    • /
    • 1994
  • The effect of various nutrients for the production of th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 ride by Flammulina velutipes, was examined and the partial purification of the polysaccharide was carried out. The culture conditions and medium compositions considerably influenced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When a culture was carried out at 23$\circ$C and pH 5.5 for 6 days in the synthetic medium supplemented with galactose and NaNO$_{3}$, the production of th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 was maximized. The crude polysaccharide, FV-1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 broth and partially purified into two fractions, FV-1-II and FV-1-III by gel filtration using Sephadex G-100. FV-1-II was mainly consisted of xylose, mannose, galactose and glucose, and rhamnose, mannose and galactose, for FV-1-III. Also,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FV-1-III was reduced partially in the absence of the Ca ion. When crossed immunoelect- rophoresis using anti-human C3 serum was carried out after incubation of normal human serum with the FV-1-III in the Ca ion free condition, a cleavage of C3 precipitin line was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de of complement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om Flammulina velutipes is via not only the classical pathway but also the alternative pathway.

  • PDF

한방약재의 오염 미생물 살균, 추출율 및 생리효능에 대한 감마선 조사의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Microbial Decontamination, Extraction Yields and Physiological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al Plants)

  • 육홍선;차보숙;조성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81-589
    • /
    • 1998
  • $5{\sim}10\;kGy$ 범위의 감마선 조사는 한방약재에 오염된 유기체를 완전사멸 시켜 저장중 미생물학적 품질 안전성을 가져왔으며, 한방약재의 유효성분 추출율을 약 $5{\sim}25%$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시간의 단축효과도 나타냈다. 또한 살균 및 유효성분의 추출율이 증대된 조사선량에서 한방약재의 몇 가지 생리적 활성(항산화력, 항보체능력, 아질산염 소거능, 전자공여능)은 비조사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