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만혁신클러스터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항만혁신클러스터의 성공도 예측과 평가요소 분석 (Analysis for Evaluation Factor and Success Prediction of Port Innovative Cluster Using Kohonen Network)

  • 장운재;금종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7-332
    • /
    • 2005
  • 본 연구는 항만혁신클러스터의 성공도 예측과 평가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만혁신클러스터 정책, 자원, 운영 등 3가지의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3항목은 다시 12개의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평가요소의 중요도는 코호넨 네트웍에 의해 산출되었다. 그 결과 자원요소가 다른 요소에 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만혁신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 for Success of Port Innovative Cluster Using Kohonen Network)

  • 장운재;금종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1
    • /
    • 2006
  • 본 연구는 항만혁신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한 평가요소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만혁신클러스터 성공을 위한 평가항목을 정책, 자원, 운영 등 3가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3항목은 다시 12개의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뉴럴네트웍에 의한 훈련 및 검증을 위해 전체 30개의 설문자료를 훈련용과 검증용으로 각각 15부씩 구분하고, 구분된 자료를 이용하여 훈련 및 검증하였다. 코호넨 네트웍에 의해 수행한 결과 예측의 정확성은 $73.33\%$로 나타났다. 평가항목 및 세부요소의 중요도는 코호넨 네트웍에 의해 산출되었다. 그 결과 항만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을 예측한 그룹의 경우에는 자원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모형에 관한 연구 (Model of Korean Value-added Logistics Cluster)

  • 김경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5-285
    • /
    • 2008
  • "물류산업"은 장래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산업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중국화물의 환적거점으로 기능을 하였으나, 최근 중국 자체항만의 성장으로 대형선단이 중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물류중심의 입지가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물류혁신과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를 새로운 전략으로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의 입지적 산업적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를 제안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한국 항만이 동북아 물류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모형이 제안되었다. 클러스터 구성요소, 물류산업과 타 산업 간의 연관성 분석과 같은 다양한 분석과정이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단계별로 시행되었다. 또한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모형을 물동량 감소로 최근 위기를 맞고 있는 광양항에 적용하였다.

중국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정책과 시사점

  • 박문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4-276
    • /
    • 2012
  • 세계적으로 해양플랜트시장 선점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해양플랜트 대국달성을 목표로 산업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2010년 국가 전략적 신산업의 하나(첨단 제조업에 포함)로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2020 산업혁신 전략', '2020 산업중장기 발전계획'을 마련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다. 즉 2020년 국제시장 점유율 35% 이상, 기자재국산화율 50% 이상이라는 세부 목표를 세우고 이를 위한 재정 금융 세제 지원 강화, 기술개발 확대, 산업클러스터 구축 등을 본격화하고 있어 우리나라와의 경쟁심화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정책과 산업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해양금융과 항만물류산업의 발전방안 연구 -창조형 서비스산업을 근간으로- (Marine Finance and Port Logistics Industry's Development Schemes as a Creative-type Service Industry)

  • 김진구;오학균;이진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3-185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해운항만물류에 있어 창조형 서비스산업으로서 금융특화와 금융지원을 통한 해양금융의 허브화와 해양물류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국제경쟁력강화를 통한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함에 있다. 효과적인 목적달성을 위해 이 연구는 통합적 접근법을 채택하여 효율적인 정책이행에 적용하였으며, 정책수행의 도구로서 창조형 해양금융발전 단계를 수립하여 정책이행시기의 가이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제1단계(조성과 성장정책): 2013~2016(창조형 해양금융산업집적지구축), 제2단계(육성/활성화정책): 2017~2019(창조형 해양금융산업클러스터구축), 제3단계(지속적 발전정책): 2020년 이후 장기과제(창조형 해양금융혁신클러스터구축). 세계해양금융의 경쟁력 열위에 있는 우리나라는 해양금융의 유동성확보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절실한 바, 근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거래를 수반하는 금융 거래의 새로운 대안으로 이슬람금융이 급부상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해양금융의 실무상 우리나라의 잠재형 슬랙을 창출하기 위해 이슬람금융권과의 컨소시엄의 구성을 초기단계에서의 보다 용이한 정책이행의 단초로 제안하고 있다.

  • PDF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에의 투자유치와 혁신클러스터 구축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Device of Innovation Cluster and Investment to Free Economic Zone of Gwangyang Bay)

  • 장흥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132
    • /
    • 2005
  • With the globalization of economy, there is keen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o be a logistics hub and companies are striving to be first in establishing logistics system centering on advantageous sites, especially airport and seaports, to perform suppl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Korea competing with Northeast Asia countries is also working out strategies in order to make Korea penninsula a logistics center of Northeast Asia taking advantage of its geographical strength. Gwangyang port has designated as Free Economic Zone together with Pusan and Jinhae, Incheon from October 24th, 2003. However, the introduction of Free Economic Zone in Korea lagged behind other major countries and it has a lot of operational problems. Approximately 600 areas worldwide are designated and operated as a Free Economic Zone and Gwangyang port and its surrounding area has several points to be settled as one of FEZ. First one is its limited functions and related laws on Gwangyang Bay. Next is imperfection on development, investment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FEZ. Lack of promotion activities could be one of the problems. If we want to activate the FEZ, we must induce investment at Gwangyang Bay. This paper analyzes the above problems and presents various measures to activate Gwangyang Free Economic Zone by inducing investment for innovation cluster as follows Benchmarking to promote Gwangyang Free Economic Zone as follows Benchmarking other countries' system, governmental support, introduction & logistics functions, early development of the hinterland, supply ofeffective one-stop service, investment attraction into the area and diversified promotion & marketing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