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만운영정보 시스템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항만 유형과 정보시스템 역할에 관한 연구

  • Park, Nam-Gyu;Choe, Hyeong-Rim;Lee, Chang-Seop;Gang, Mu-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62-374
    • /
    • 2005
  • 항만정보시스템의 기능과 항만유형과는 관련성이 있는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선진항만들의 유형과 정보시스템 기능 분석을 통하여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항만들은 자산의소유와 운영의 주체에 따라 국유제, 공영자치제, 지방자치제(지방정부자치제) 및 사유제의 4가지로 유형으로 구분된다. 유형에 따른 항만들의 주요 활동도 달라진다. 국유제와 지방자치제의 경우는 행정처리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공영자치제와 사유제는 고객서비스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항만의 유형과 정보시스템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국유제, 지방자치제 항만에는 업무처리 중심의 시스템이 발달하여 있으며, 사유제 및 공영자치제 항만에는 고객서비스를 최우선으로하는 커뮤니티 시스템과 e-Business 시스템이 발달되어 있었다. 항만유형별 정보시스템의 차이는 부산항만정보시스템의 개선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그동안 국유제 항만으로서 운영되던 부산항이 공영자치제 유형의 운영방식으로 변경됨에 따라 항만정보시스템도 추세에 따라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3단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 1단계가 미러링(Mirroring) 단계로서 항만운영을 안정화시키는 단계이며, 제 2단계에서는 커뮤니티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의 서비스를 제고시키는 협업화단계로 설정하였으며, 제 3단계는 부가가치창출을 위한 수익형 시스템을 개발하는e-Business 개발단계로 설정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Container Pre-Notification System based on SOAP Message (SOAP 메시지 기반의 컨테이너운송예정정보망 시스템 구축)

  • Jo, Hun Sang;Choi, Jin Young;Cho, Ju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673-1676
    • /
    • 2012
  • 국내 주요 항만으로 반입되는 모든 운송사의 수출입 컨테이너는 반드시 항만을 관리하는 터미널 운영사에 해당 컨테이너의 주요 정보를 사전에 통지해야 하며 이를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라 부른다. 이는 항만 터미널 운영사가 반입 거점의 컨테이너의 야드 운영과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사전에 계획하기 위함이다. 현재 국내 항만 터미널 운영사로 전송되는 컨테이너 반입 예정 정보는 특정 VAN 사업자를 통하여 EDI 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국내외 운송사들이 수출입 컨테이너를 항만에 반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VAN 사업자의 EDI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VAN 사업자의 EDI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 할 경우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전송할 다른 방법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 기반의 SOAP 메시지 전송을 통하여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송수신 하는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운송사와 항만 터미널 운영사는 VAN 사의 EDI 시스템 이외에 컨테이너 운송 예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비 전송망을 구축 할 수 있으며 EDI 사용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Analysis and Operation System of the Information System of the Pilot and Tugs (도·예선 정보체계 분석 및 운영 시스템 개발)

  • Woo-Lee;Sang-Hyun Kim;Seung-Hong Oh;Min-Woo Son;Won-Jung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1
    • /
    • pp.143-148
    • /
    • 2023
  • Currently, pilots and tugs perform the function of minimizing or eliminating property damage by preventing accidents on ships, ports, and human life by supporting docking/unloading and access and departure of ships. The piloting/tuging system is an essential function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the port, and it is the system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argo volume of the por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pilot and tugs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nd operating system that can improve port operation efficiency, reduce the waiting time of ships, optimize the operation of ships, and allocate optimal pilots and tugs by utiliz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ugbosts.

Integration for 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항만건설사업관리시스템 통합화)

  • Jeong, Seong-yun;Kim, Young-jin;Kim, Tae-hak;Ok,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1-432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 중인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통합화하였다. 도로와 항만 건설사업관리는 대상목적물만 다르고 기본적인 업무프로세스는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안정적으로 통합화하기 위해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을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보다 시스템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 및 관리기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통합화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타 시스템을 통합화할 경우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201을 적용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의 표준 설계

  • Yeo, Ji-Min;Yu, Yong-Su;Han, Ju-Seop;Kim,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83-184
    • /
    • 2017
  •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은 항로표지 상태정보의 감시제어 및 정보 제공 등을 위하여 지방청별로 설치시기 및 용역사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을 도입한 지방청들은 표준화되지 않은 관리운영 S/W를 현장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각 지방청별로 관리운영 S/W의 구축 및 관리운영 예산의 중복투자 및 관리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IALA(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해사 안전 분야 국제표준인 S-100에 따른 항로표지 정보 표준인 S-201 규격을 개발 중에 있다. 이에 e-Navigation 도입을 대비하여 고도화된 항로표지 정보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제공을 위해 S-201을 적용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의 표준 S/W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항로표지 관리운영 시스템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S-201 구조를 기반으로 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용 DB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개선한 새로운 표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 표준 S/W 개발

  • Yeo, Ji-Min;Yu, Yong-Su;Han, Ju-Seop;Kim,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92-94
    • /
    • 2018
  •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은 항로표지 상태정보 및 해양기상정보의 감시제어 및 정보 제공 등을 위하여 지방청별로 설치 시기 및 용역사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운영하고 있다.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을 도입한 지방청들은 표준화되지 않은 관리운영 S/W 및 데이터 베이스를 현장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각 지방청별로 관리운영 S/W의 유지보수 예산의 중복투자 및 관리자의 관리 운영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IALA(국제항로표지협회)는 해사 안전 분야 데이터 교환 국제표준인 S-100에 따른 항로표지 정보 표준인 S-201 규격의 개발이 진행중이다. 이에 e-Navigation 도입을 대비하여 고도화된 항로표지 정보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제공을 위해 S-201을 적용한 일원화된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의 표준 S/W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201을 적용한 DB 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개선한 새로운 항로표지 관리운영시스템 S/W를 개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Successful Factors for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Maritime Transport Sector (우리나라 컨테이너 물류 정보 시스템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TAE-WOO LEE;NAM-KYU PARK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6 no.1
    • /
    • pp.143-158
    • /
    • 1997
  • 물류산업 분야에서 EDI를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해양수산부와 항만 운영회사를 중 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물류 ED 시스템 은 종이 서류를 전자 서류로 대신하는 시스템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출현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논문은 우리 나라에 도입되어 운 영되고 있는 물류 EDI 시스템이 보다 한 차원 높게 발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의 성공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국가 또는 항만 단위의 물류정보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 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자 문서 전송방식보다는 데이터의 공동 이용 방식을 채택하는 시스 템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항만을 중심으로 전송되는 물류 데이터는 그 특성상 약 간의 수정을 거쳐 반복적으로 물류 조직 사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 일본 등 발전된 물류정보 시스템이 검토되며, 아울러 KL-Net이라 불리 우는 우리 나라 물류정보 시스템의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진화된 항만의 물류정보 시 스템으로부터 시스템의 성공 요인이 도출되며 이 시스템을 실현하는데 경험하게 될 몇 가지 어려운 점이 논의되고 있다.

  • PDF

우리 나라 컨테이너 물류정보 시스템의 성공 요인데 관한 연구

  • 박남규;이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b
    • /
    • pp.155-169
    • /
    • 1997
  • 물류산업분야에서는 이디아이를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해양수산부와 항만운영회사 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의 물류이디 아이시스템은 종이서류를 전자서류로 대신하는 시스템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 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출현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논문은 우리 나라에 도 입되고 있는 이디아이 시스템이 보다 한 차원 높게 발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스템의 성공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국가 또는 항만단위의 물류정보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 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자문서 전송 방식보다는 데이터의 공동이용 방식을 채택하는 시스템 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항만을 중심으로 전송되는 물류데이타는 그 특성상 약간의 수정을 거쳐 반복적으로 물류 조직 사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위해, 독 일, 프랑스, 영국, 미국, 일본 등 발전된 물류 정보시스템이 검토되며, 아울러 KL-Net이라 불리우는 우리 나라 물류정보시스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진화 된 항만의 물류정보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의 중요 요인이 도출되며 이 시스템을 실현하는데 경험하게 될 몇 가지 어려운 점이 논의되고 있다.

  • PDF

Optimized Design for Yard Operating System Layout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자동화항만의 야드 운영시스템 레이아웃 설계)

  • Hong, Dong-Hee;Chung, Tae-Cho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1
    • /
    • pp.101-108
    • /
    • 2003
  • Construction of automated terminal it urgently demanded to gain the foundation of hub-port in north east Asia. Therefore we suggest an adequate operating system layout of automated terminal in Korea. In this paper the aim of automated terminal operating system is satisfied. four basic models are divided according to moving course of export and import cargo of each automated equipments, several input data are changed and analyzed dynamically by Trial and Error method, and then an optimized operating system model is selected, and designed for yard operating system layout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odel. Particularly, the productivity of automated port is up to the kind of automated equipments. However, because expense and present work process must be considered actually.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work, the method to optimize the present work and substitute prevent equipments and automated equipments was designed. It is a premise that ail the yard equipments described in this paper must be automatic except quay crane.

차세대 VTS 클라우드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 개발

  • 유경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6-38
    • /
    • 2022
  • 차세대 VTS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사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해상교통관제센터에서 수집한 관제정보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관제 및 유관 기관에 선박교통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 구축될 IaaS 클라우드 플랫폼을 쉽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연구과제 특성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