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만기본계획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연안해역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발전을 위한 뉴비즈니스 해양치유

  • Eo, Seung-Seop;Kim, Hyeon-Seong;Baek, Sa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4-175
    • /
    • 2019
  •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양자원과 관광자원을 연계한 해양치유산업 기반구축 모델이 2017년부터 해양수산부 R&D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동 R&D 사업을 통해 울진, 태안, 고성, 완도 등 4개 지역이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었으며, 각 지역의 특성화된 해양치유 자원을 바탕으로 의학적 임상연구와 사회경제 현황과 연계한 비즈니스모델 수립 등이 추진되고 있다. 비즈니스모델 수립의 경우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세부 프로그램 도출, 수요 추정, 도입시설의 규모 및 형태 등에 대한 사항을 도출함으로써 해양치유 활동이 이루어질 지역 해양치유센터(가칭)의 설립 기본계획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4개 시범지역 중 울진해양치유센터를 대상으로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자원으로 설정된 해양대기, 심층안반해수, 해사 등과 연계된 아토피 등 피부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계통질환 치유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해당 특성화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수요 창출을 위해 기본적 도입시설과 함께 요구되는 연계 인프라를 제시하였으며, 동 프로그램을 통해 예상되는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Floating Hotel (플로팅 호텔의 건축계획에 대한 사례연구)

  • Moon, Chang-H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6
    • /
    • pp.515-522
    • /
    • 2011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uggest som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future planning of floating hotel, by reviewing the concept of floating hotel and analyzing the realized and planned ones through the search of related documents and homepages. Floating hotel can be defined as a building for living/recreation/work/entertainment with floating system on water, but without navigation tool. In terms of sequence, the River Kawi Jungle Rafts Resort was built in 1976, Four Seasons Hotel in 1988, and Salt & Sill in 2008. Floating hotels are various in scale(height) and size(room numbers), and have basic, cultural, health & marina facilitie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ample facilities can be summarized as self-supporting of the facilities, environmentally friendly architectural planning,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introduction of new plastic composite material, and provision of same view from all bedrooms by rotating the building.

Study on establishing Green Port Policy in Korea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Ulsan Green Port Policy by using AHP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 Kim, Tae-Goun;Kim, Hwan-S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49-559
    • /
    • 2014
  •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seaports have expanded their Green Port Policy, which can promote the public welfare by reducing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ports. Accordingly, in 2010,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had pushed for all Korean p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ir own green port poli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reen Port Policy Plan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riendly operations and developments of Ulsan port, which plans to be the oil hub port of Northeast Asia. To this end,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sues in Ulsan Port and international-&-domestic case studies on establishment of green port policy. With these studies, Ulsan green policy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experts advice, and then were prioritized by adopting AHP survey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ified that LED lights replacement and AMP establishment as the hardware policy and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as the software policy were equally important policy o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lsan Green Port Policy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국내 연안VTS 관제구역 및 VHF채널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Kim, Yeong-Seup;Park, Gw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76-78
    • /
    • 2014
  • 해양경찰청은 지난 '10년도 국내 연안VTS 확대구축에 관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현(現) 진도 여수 연안VTS 인수 구축업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오는 7월 통영 연안VTS 센터가 경남권역 연안해역의 통항선박 안전을 위해 개국예정이다. 이에 제1단계 사업의 종료시점이 도래됨에 따라 서해권역 연안VTS 확대구축 전(前) 기 운영 중인 국 내외 연안VTS 운영방법을 토대로 해양경찰 연안VTS 관제구역과 VHF 통화 채널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향후 이용자 편의성 도모 및 해양환경 보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PDF

Monitoring Tasks & Concurrent Task Management in VTS

  • Jeong, Gi-Nam;Lee, Nam-Yeol;Ha, Yun-Ju;Kim, Yeong-Sin;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46-348
    • /
    • 2014
  • VTS 관제사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는 모니터링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을 처리하는 업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발생 업무의 관리의 소홀 또는 실패가 VTS 관련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고에서는 VTS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발생 업무 관리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방해와 산만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이것이 관제사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미래계획기억과 분산 기억 시스템 이론을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관제사 업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e-Navigation 과 관련하여 VTS 장비에 장착하여 관제사의 모니터링 업무와 동시다발 발생 업무 관리를 도울 수 있는 도구 개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 PDF

북극해 기상정보 Needs 분석

  • Mun, Seong-Bae;Lee, Chun-Gi;Seol, Dong-Il;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96-98
    • /
    • 2014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해빙이 감소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새로운 북극항로와 자원개발에 관심이 국제적으로 증폭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북극 옵서버 자격을 취득하고 범정부 차원의 북극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북극자원 개발과 북극항로 개척에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기관을 비롯한 대학교, 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계에서도 북극해역의 효과적인 활용에 필요한 기초연구와 다양한 개발 프로젝트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고, 이를 위하여 화물선, 어선, 자원 및 환경탐사선 등이 북극해역 항해하고 있으나 북극해역에 대한 이용은 최근에야 부각되었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북극해역의 기상과 같은 해양환경정보는 특정 기관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북극의 항로와 자원개발 등에 관심이 있는 기관들이 필요로 하는 북극해 기상환경정보에 대한 현황과 필요범위 등을 분석하고 이들 정보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책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에 따른 해양문화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67-369
    • /
    • 2014
  • 대한민국에 근대적인 항로표지가 처음으로 개설된 이래 지난 2003년에는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맞이하여 '유인등대 해양문화공간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유인등대 시설보완 및 개방, 등대 박물관 확장 개관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은 폭발적인 성과를 거두어 2001년 한 해 동안 유인등대를 다녀간 방문객이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만 300만 명이 넘게 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의 등대는 40여 개의 유인등대와 60여 개의 무인등대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23개의 등대가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등대가 많은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특히 유인등대는 해양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었고 향후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라 해양문화공간의 조성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침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VTS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박상원;정민지;박혜리;박한선;천민수;유윤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12
    • /
    • 2022
  • 선박교통관제 기본계획에 따라, 우리나라는 '26년까지 전 연안해역에 관제구역을 설치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제구역 사각지대를 없애고 연속적인 관제 실현을 위한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해상교통 및 해양사고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상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상교통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VTS 센터 간 정보공유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IALA에서 권고하고 있는 IVEF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IALA 표준을 개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IS 데이터를 활용한 관제구역 간 연결성 연구

  • 박상원;김소라;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14
    • /
    • 2023
  • IALA에서는 관제구역의 원활한 정보 공유를 위해 IVEF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박교통관제 기본계획에 따라 연안구역을 모두 관제구역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원활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다양한 제조사의 VT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타제조사를 사용하는 관제구역간의 정보 교환은 원활하지 않다. 원활하지 않은 정보공유 시스템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관제사의 효율 및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제구역 간 원활한 정보 공유의 필요성 확보를 위해 AIS 데이터를 활용하여 관제구역 간 선박 이동량 및 연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lanning Criteria for Thalassotherapy Facility (해양치유시설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 Lee, Han-Seok;Kang, Young-Hun;Seong, Hai-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1
    • /
    • pp.20-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lanning criteria for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Among the various contents of the planning criteria, the crucial parts of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planning are the location, facility environment, and room space. To do this, we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and inquired about the thalassotherapy resources and treatments that are the basis of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planning. And then, the overseas qualification criteria related to thalassotherapy facili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riteria for the thalassotherapy facility planning on location, facility environment, and spaces of rooms are presented. The location is within 1km of the coastline, where there is no pollutant emission facility, and the climate conditions are maintained more than 80% throughout the year below 'caution' level of the thermal sensation index and sensory temperature. The water quality of the facility environment meets the stricter criteria among the domestic standards or ISO 17680 standards, and the air quality is 60%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standard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nd SO2, NO2, O3 and PM10 concentration shall ensure that the annual number of exceeding standards meets the EU standard, and noise is less than 50dB per daytime, 40dB per night. Therapy spaces have to meet the standards of the 「Building Act」, the working standard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