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내정온도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Enhancement of circulation of harbor waters by overflow levee (월류제를 이용한 항만의 해수순환에 대한 연구)

  • 오병철;전인식;정태성;이달수;심재설;민인기;조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134-143
    • /
    • 2002
  •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 및 어항의 개발시 항내의 정온 및 가동률 확보를 위해서 설치되는 방파제 등 외곽시설이 외해로부터의 침입파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물이 해수에 대하여 비투과성이므로 항만의 폐쇄성을 증대시켜 해수순환성이 저하되어 항만 수질오염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투과성 방파제가 설치되면 항내 외간의 해수교환력이 떨어져서 오염물질 등이 항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항내의 오염이 가속될 뿐만 아니라 오염원에 포함됨 유기물이 분해됨에 따라 항내 해수의 용존산소가 다량 소모되어 빈 산소상태를 야기시켜 항내의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Wave Simulation for the Optimum Design of Jangjeon Harbour (장전항 최적 설계를 위한 정온도 해석)

  • Hong Keyyong;Yang Cha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2
    • /
    • pp.49-59
    • /
    • 2000
  • Wave distribution in Jangjeon Harbour is numerically simulated for an optimum design of the harbour facilities. A deep-water design wave is estimated based on stochastic extreme wave analysis of wind data in the vicinity of the harbour, and it is applied to the boundary condition at open sea. Boussinesq wave theory that includes effects of frequency dispersion and nonlinearity is employed for the wave simulation. The porosity and sponge layer are adapted at beach to depict partial reflection and complete absorption of waves, respectively. The design wave for breakwater is computed in global domain with coarse grids and the wave distribution inside of wharf is simulated in local domain with fine grids.

  • PDF

A Study of Environment-friendly outer wall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port pollution (항내오염 개선을 위한 친환경 외곽시설에 관한 연구)

  • 김강민;강석형;유하상;김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5-170
    • /
    • 2003
  • Due to the impermeability of outer wall facilities such a Breakwaters which dissipates the wave energy and keeps harbor tranquility, the water exchange can be worse and increased enclosed at the harbor. Recent trends of port development protect water quality and emphasize Water-Front, so the method which enhances the circulation of harbor waters and the dilution of the water pollutants are studied. The best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s a remove of pollutant source on land, but an enclosed port must be enhanced the tidal exchange. To this hence, the best improvement may be made on drain-route on the existing outer wall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numerical computations were carried out to predict the circulation of harbor waters and the tidal exchange in the polluted harbor(Samchonpo-guhang) located at the east coast of South Sea. Computational models adopting FDM(Finite Difference Method) were used here and were already verifi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ocean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idal exchange in Samchonpo-guhang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drain-route is assessed.

  • PDF

Impact Analysis of Dredging Work to Coastal Finishing the development (연안도서해역에서의 준설작업이 정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Sang-Heon;Ha, Chang-Sik;Moon, Sung-Hyo;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7-129
    • /
    • 2016
  • 근래 소규모항만이 흩어져 있는 연안도서해역에서는 빈번한 폭풍의 내습으로 신규 외곽시설을 포함한 항만정비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항만의 경우 늘어나는 물동량에 대응하기 위해 수역시설 및 부두의 배치에 변화를 가져오고 일부 항만의 경우 만입구, 항내, 수로 등 특정해역의 준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어서 개발과 유지 준설에 따른 정온도의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 파랑상호간 간섭, 흐름과의 상호작용, 쇄파 및 구조물에 대한 반사를 반영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하고 특히 준설작업의 규모, 방향에 따른 정온도에서 결과에 차이를 나타내어 평면배치계획에 수정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수치실험에는 50면 재현빈도 심해설계파 내습시 영역을 광역, 중간역, 상세역으로 하여 네스팅 기법으로 개방해역조건을 반영하였으며 외곽시설에서 해수소통 개구부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Calibration of Underestimated Wave Heights Measured by Wave and Tide Gauge (WTG) (저평가된 수압식 파고계(WTG) 관측 파고값 보정방안 연구)

  • Jeong, Weon Mu;Chang, Yeon S.;Oh, Sang-Ho;Baek, Won D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5
    • /
    • pp.296-306
    • /
    • 2020
  •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wave heights measured by Wave and Tide gauges (WTG) have been underestimated, and thus it is important to improve its measuring accuracy for enhancing estimation of harbor tranquility.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wave heights from WTG were calibrated using measured data from AWAC and Waverider buoys moored at the same four locations with the WTG. It was observed that the product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peak wave period, HT, was not underestimated but linearly proportional between the measurements by two instruments. This linearity was applied to develop 3rd order polynomial functions that best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T and significant wave heights measured by WTG. These functions were then applied to calibrate the WTG significant wave heights that were lower than 0.7 m, the critical value established for the low waves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nearity between the AWAC (or Waverider buoy) and calibrated wave heights were improved, and the magnitude of underestimated WTG wave heights were increased to be more real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applied for other data sets obtained by WTG only, to increase the observation accuracy of WTG and to improve the estimation of harbor tranquility.

Calmness Analysis of Jeju Harbor by Finite Element Technique

  • Kim, Nam-Hyeong;Hur, Young-Teck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7 no.1
    • /
    • pp.16-2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입사파에 의한 항내 정온도 계산 시 사용되는 수치해석 기법에 대한 검증 및 실제 항만에 대한 적용을 하였다. 해석기법은 유한요소기법 (finite element technique) 을 사용하였고 기본방정식은 경계조건과 마찰을 고려한 완경사방정식 (mild-slope equation) 을 사용하였다. 해석의 검증을 위하여 임의형상 항만에 대해 본 해석법을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한 결과와 다른 수치해석결과 및 실험결과를 비교했을 때 좋은 일치를 나타내었다. 제주항에 대해서 2가지의 각기 다른 입사파 조건을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 제주항이 방파제 설계파인 NNW방향 (Case 2)인 경우가 NE 방향 (Case 1)인 경우보다 약간 양호한 정온을 확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ranquility Analysis of Seokwipo Harbor after Breakwater Construction (서귀포항 방파제 건설에 따른 항내 정온도 검토)

  • 홍길표;이성대;정원무;이신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59-62
    • /
    • 1993
  • 우리나라 제1종항 중 최남단에 위치하는 서귀포항은 인근 중문 단지의 개발 및 그 위치의 특성상 관광 개발 계획과 제주 남부 지역의 중심지로서 균형적인 발전과 연안 수송 수단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고자 최근 서귀포항 외항 방파제의 실시 설계가 완료되었으며 이와 병행하여 안벽 축조 등의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on Life-Force Impact on Piles and Landing Pier (잔교식 안벽의 상부와 Pile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ang-Kil;Kim, Ki-Hyun;Kim, Woo-Seang;Park, Byung-Yul;Kang, De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552-556
    • /
    • 2006
  • 항만건설에 있어서 항만의 내부시설 중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시설물은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켜 하역할 수 있는 안벽시설물이다. 안벽구조 형식의 결정은 항만의 이용목적 등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항만의 건설입지조건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안벽구조형식 중에서 잔교 식 안벽은 무엇보다도 단기간에 건설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장래에도 이용도가 증가되리라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안선을 이용한 위락시설이 건설되면서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여 보조시설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 설계되어 잔교를 설계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항내의 정온이 잘 유지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반사율과 잔교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태풍이 내습할 경우 기존의 항내로 높은 파랑이 침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항내에서도 잔교의 파괴로 인한 자연재해가 대형화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 처음부터 안벽을 설계할 때에 대형화의 잔교 식 안벽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잔교 식 안벽 구조물을 잔교의 상부 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분포와 잔교 전면의 반사율 등이 구조물의 유지관리 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반사율 검토와 양압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연구의 대상은 일정 해역에 잔교 식 안벽을 설계하고자 할때 최적의 안벽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구조물의 안전과 항내정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수리모형실험으로 인한 연구는 잔교 식 안벽에 대한 반사율과 상부에 작용하는 양압력, 잔교말뚝(pile)에 작용하는 수평압력을 검토하여 잔교 식 안벽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혈청을 이용한 동결보존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지에 더해주면 세포의 증식이 개선될 것이다. 그래서 몇 가지 첨가물을 이용해 세포의 증식력에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첨가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IGF-I의 경우 장기간 배양에서 세포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계대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IGF-I이 어느정도 세포의 증식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무혈청 배지에서 비적응 CHO 세포의 계대 배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세포주기가 멈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세포주기가 멈추는 growth factor와 같이 세포의 증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무혈청 배지에서는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IGF-I과 같은 첨가물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진다.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임상에서 니켈-티타늄 합금 와이어에 굴곡을 부여하기 위해 열처리하는 경우 초탄성 특성은 유지될 수 있으나, 부하-변위 곡선의 상방 증가가 나타나므로, 와이어에 의한 교정력이 증가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ay^{-1}$인 인공습지), scenario 2(면적 4.2ha인 저류지)가 각각 연평균 6.9%, 4.8%, 7.1%의 감소를 보였다. TN은 4.7%, 3.4%, 13.4%의 삭감율을 나타내었으며, TP는 5.6%, 3.9%, 7.3%의 삭감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 PDF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Hybrid Quay Wall According to Floating Breakwater (부유식 방파제에 따른 안벽 내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on, Hyok Ju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53-53
    • /
    • 2011
  • 최근에 세계화, 무역자유화에 따른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발맞추어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등장하게 되고 신개념, 고효율의 항만인프라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 따라 최근에 국내외에서 부유식 안벽에 관한 기술 개발 및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부유식 안벽은 이동가능한 부유식 구조로 기존 항만의 확장 또는 신규 항만 건설시 환경문제를 최소화하고 기항, 선박수 및 선박의 크기에 따른 안벽 배열을 최적화 할 수 있어 항만 기능을 고도화함으로써 녹색항만을 구현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양현하역과 환적이 가능하게 되어 컨테이너 터미널의 화물처리능력을 확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항선박의 체류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크고 작은 항만들이 해안선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항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는 항만 기본시설인 외곽시설 중의 가장 중요한 구조물이다. 국내에 설치된 방파제는 대부분 사석이나 케이슨을 이용한 중력식 방파제로써 해저에 고정되어 해수면상으로 건설되므로 항내 외 해수교환을 차단하여 항내 수질악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심에 따라 막대한 건설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새로운 형식의 방파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중 하나의 대안인 부유식 방파제는 공사기간이 짧고 비교적 수심에 대한 제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해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력식 방파제에 비해 경제적이며, 환경적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부유식 방파제에 대한 국내 및 해외에서의 연구는 이론적인 해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부유식 방파제 실용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 안벽 내에서 정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부유식 방파제를 설치하고 소파성능과 부유식 안벽내의 영향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

Harbor Tranquility Analysis with the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of Floating Breakwaters (부유식 방파제의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적용한 항만 정온도의 해석)

  • 전인식;최민호;심재설;오병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1
    • /
    • pp.76-85
    • /
    • 2002
  • The floating breakwater generally has an excellent water exchanging capability, but with some lowering harbor tranquility due to the wave transmission underneath floating body. In the initial stage of design, it is thus required to investigate several alternatives of breakwater layout for their performance of harbor tranquil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formulate a sort of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of floating breakwater so that the existing numerical method using time dependent mild slope equation can still be applied to the case of floating breakwaters. The two and three dimensional tests were each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boundary con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round the breakwater were well reproduced by the boundary condition. Finally, the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were applied to a floating breakwater installed in an imaginary harbor with an irregular shape and bottom topography. The results surely showed that the present numerical method can effectively used in practical works related to the real sea construction of floating breakwa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