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공안전학습프로그램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항공정비 분야의 안전증진을 위한 학습문화 연구 (A Study on Learning Culture for the Safety Promotion in Aviation Maintenance)

  • 김천용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4-129
    • /
    • 2014
  • The organization's safety culture is strongly tied to the success of its safety learning programme. All personnel must understan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Safety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settle the culture which they are willing to share the responsibility of safety, it is essential for service provider as the airline company to develop the technique and knowledge which intenses the organization's safety and to perform safety learning programme to be applied.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learning culture and surveyed how the airmen have acquired the safety lessons learned thru their safety promotion within aviation maintenance organization. Accordingly, it intends to contribute safety promotion by suggestion of the effective and positive learning culture thru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and the safety learning programme suitable to the organization.

경상북도 수학여행과 현장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Focus Group Interview(FGI)를 통한 질적 연구 (A Study on Ways to Activate School Trips and Field Trip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 Focus on the Gyeongsangbuk-do Area)

  • 남태석;허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42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수학여행 및 현장체험학습의 새로운 개념, 체험의 중요성에 따른 투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숙박 책임자, 관광 관련 이해관계자, 관광공무원 이해관계자, 그리고 관광학 교수를 대상으로 FGI(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GI 분석결과를 통해 경상북도 지역의 이해관계자들이 인식하는 경상북도 수학여행 및 현장체험학습을 유치하기 위한 숙박수용태세, 식음료, 안전·서비스 개선 관련의 문제점, 지자체 관광공무원의 협력 관계, 독특한 관광자원·홍보와 연계한 학생단체 방문객에 대한 만족도 제고와 수용태세 진단과 도입, 관리를 통한 지역 주민과 지역관광관계자, 공무원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하여 관광정책 방향성과 프로그램 제시 필요로 하는 연구 계기가 되었고, 경상북도 숙박 수용태세, 식음료 시설 개선, 안전·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구축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관계, 그리고 경상북도 수학여행·현장체험학습 방문객 유치를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의 주제를 도출하였고, 또한, 경상북도 지역의 관광 홍보관 책임자, 관광공무원 이해관계자, 관광 분야 전문가, 다양한 전공 분야의 교수에 대한 표본의 수를 좀 더 확보하여 분석 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질적 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