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 군집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cene Change Detection with 3-Step Process (3단계 과정의 장면 전환검출)

  • Yoon, Shin-Seong;Won, Rhee-Y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6
    • /
    • pp.147-154
    • /
    • 2008
  • First, this paper compute difference value between frames using the composed method of $X^2$ histogram and color histogram and the normalization. Next, cluster representative frame was decided by using the clustering for distance and the k-mean grouping. Finally, representative frame of group was decided by using the likelihood ratio. Proposed method can be known by experiment as outstanding of detection rather than other methods, due to computing of difference value, clustering and grouping, and detecting of representative frame.

  • PDF

Simulation of synthetic snow depth time-series using stochastic weather generation model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한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 Park, Jeongha;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9-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자료와 적설 특성 자료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와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에서는 적설량을 직접 모의하지 않기 때문에 강수량을 적설량으로 변환해야한다. 이를 위해 도입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상청 적설 예보의 적설 유무 판단 기준을 이용하였다. 이 기준에서는 상대습도와 지상기온에 따라 강수의 형태를 비, 눈, 진눈깨비로 구분한다. 둘째로 강수가 적설로 판단되었을 때 강수량을 신적설심으로 환산하는 수상당량비를 지상기온과 회귀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라 3시간 1 mm 이상 5 mm 이하 강수와 3시간 5 mm 이상 강수 사상에 대하여 나누어 sigmoid형 곡선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융설에 의한 적설심 감소량을 지상기온과 복사량의 함수로 표현하였으며, 각 변수의 계수는 입자 군집 최적화 방법을 통하여 보정하였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는 AWE-GE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시험 자료로 강릉(105) 종관기상관측소의 24년 기간(1982-2005) 자료를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생성하였다.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 합성 일기 자료 생성, (2) 강수 발생 시 적설 유무 판단, (3) 적설로 판단 시 수상당량비를 계산하여 신적설심 추정, (4) 기존 적설심에 신적설심을 더하고, 적설심 감소량만큼 감소. 위와 같은 과정으로 200년 길이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한 결과 극한 사상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나타나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A Tree-based Reduction of Speech DB in a Large Corpus-based Korean TTS (대용량 한국어 TTS의 결정트리기반 음성 DB 감축 방안)

  • Lee, J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7
    • /
    • pp.91-98
    • /
    • 2010
  • Large corpus-based concatenating Text-to-Speech (TTS) systems can generate natural synthetic speech without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Because the improvements in the natualness, personality, speaking style, emotions of synthetic speech need the increase of the size of speech DB, it is necessary to prune the redundant speech segments in a large speech segment DB.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construct a segmental speech DB for the Korean TTS system based on a clustering algorithm to downsize the segmental speech DB. For the performance test, the synthetic speech was generated using the Korean TTS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language processing module, prosody processing module, segment selection module, speech concatenation module, and segmental speech DB. And MOS test was executed with the a set of synthetic speech generated with 4 different segmental speech DBs. We constructed 4 different segmental speech DB by combining CM1(or CM2) tree clustering method and full DB (or reduced DB).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size of speech DB by 23% and get high MOS in the perception test.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make a small sized TTS.

Spontaneous Speech Translation System Development (대화체 음성언어 번역 시스템 개발)

  • Park, Jun;Lee, Young-jik;Y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281-286
    • /
    • 1998
  • ETRI에서 개발 중인 대화체 음성언어번역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현재, ETRI는 DAM성언어번역 국제 공동 연구콘서시움인 C-STAR에 핵심참가기관으로 참여하여, 한일, 한영음성언어번역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1999년 국제 공동시험을 계획하고 이?. 최근의 연구 진행상황을 간추리면, 먼저 음성인식분야에서 유무성음 및 묵음정보를 미리 추출하여 이를 탐색에 활용하였으며, 음향모델 규모의 설정을 위한 교차 엔트로피 기반 변이음 군집화 알고리즘이 구현되었다. 또한 대상어휘의 확장을 위하여 의사형태소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언어번역분야에서는 이전과 같은 개념기반의 번역을 시도하고 있으며, C-STAR 회원기관과 공동으로 중간언어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음성합성분야에서는 훈련형 합성기를 개발하여 합성데이타베이스 구축기간을 현저하게 줄였다.

  • PDF

Decision Tree Based Context Clustering with Cross Likelihood Ratio for HMM-based TTS (HMM 기반의 TTS를 위한 상호유사도 비율을 이용한 결정트리 기반의 문맥 군집화)

  • Jung, Chi-Sang;Kang, Hong-G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2
    • /
    • pp.174-180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decision tree based context clustering algorithm for HMM-based speech synthesis systems using the cross likelihood ratio with a hierarchical prior (CLRHP). Conventional algorithms tie the context-dependent HMM states that have similar statistical characteristics, but they do not consider the statistical similarity of split child nodes, which does not guarantee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leaf nodes. The proposed CLRHP algorithm improves the reliability of model parameters by taking a criterion of minimizing the statistical similarity of split child nodes.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pproach to conventional ones.

Hardware Implementation of Social Insect Behavior for Adaptive Routing in Packet Switched Networks (패킷 방식 네트워크상의 적응적 경로 선정을 위한 군집체 특성 적용 하드웨어 구현)

  • 안진호;오재석;강성호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1 no.3
    • /
    • pp.71-82
    • /
    • 2004
  • Recently, network model inspired by social insect behavior attracts the public attention. The AntNet is an adaptive and distributed routing algorithm using mobile agents, called ants, that mimic the activities of social insect.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hardware architecture to realize an AntNet-based routing in practical system on a chip application. The modified AntNet algorithm for hardware implementation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algorithm on the various traffic patterns and topologies. Implement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suitable and efficient to realize adaptive routing based on the AntNet.

Split Image Coordinate for Automatic Vanishing Point Detection in 3D images (3차원 영상의 자동 소실점 검출을 위한 분할 영상 좌표계)

  • 이정화;김종화;서경석;최흥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891-18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분할 영상 좌보계 (split image coordinate: SIC)를 제안하여 3차원 영상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유, 무한 소실점을 그 위치의 무한성이나 카메라의 보정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자동 추출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가우시안 구 (Gaussian sphere) 기반의 기존 방법들과는 달리 영상 공간을 누적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보정이나 영상의 사전정보가 없어도 원 영상의 정보 손실 없이 소실점을 추출할 수 있고, 영상을 무한대까지 확장한 후 분할하여 재정의 함으로써 유, 무한 소실점을 모두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확한 소실점의 검출을 위하여 직선 검출 과정에서는 방향성 마스크 (mask)를 사용하였으며, 직선들의 군집화 (clustering) 과정에서는 기울기 히스토그램 방법과 수평/수직 군집화 방법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합성 영상 및 건축물 (man-made environment) 영상에 적용시켜 유, 무한 소실점들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DB Pruning Method in a Large Corpus-Based TTS with Multiple Candidate Speech Segments (대용량 복수후보 TTS 방식에서 합성용 DB의 감량 방법)

  • Lee, Jung-Chul;Kang, Tae-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6
    • /
    • pp.572-577
    • /
    • 2009
  • Large corpus-based concatenating Text-to-Speech (TTS) systems can generate natural synthetic speech without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To prune the redundant speech segments in a large speech segment DB, we can utilize a decision-tree based triphone clustering algorithm widely used in speech recognition area. But,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problems in representing the acoustic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hones and in applying context questions with hierarchic prio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lustering algorithm to downsize the speech DB. Firstly, three 13th order MFCC vectors from first, medial, and final frame of a phone are combined into a 39 dimensional vector to represent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a phone. And then the hierarchically grouped three question sets are used to construct the triphone trees. For the performance test, we used DTW algorithm to calculate the acoustic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triphone and the triphone from the tree search resul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size of speech DB by 23% and select better phones with higher acoustic similarity.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make a small sized T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아까시나무림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 Cho, Kwang-Jin;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8 no.1
    • /
    • pp.15-23
    • /
    • 2005
  • Th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orests were studied by a phytosociological approach.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characterize the vegetation classification, distribution pattern, and ecological flora of the syntaxa classified. A total of 38 releves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UPGMA as the clustering method, and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or ordination. Ecological flora analyzed by plant character sets such as scrambler, annual and biennial plants, forest elements, and actual urbanization index. The analyzed data are based on site-releve matrix with 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r-NCD) of species. A total of 77 families, 193 genera and 323 species of vascular plants are recorded. Camellino-Robinietum pseudoacaciae ass. nov. and Phragmites-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were described. Main cluster and ordination could be separated: 1) urban type, 2) rural type, 3) riparian type, and 4) combined type. It is defined that the Robinietum is a representative unit on the black locust afforestation, Phragmites-Robinia community on the lentic zone in the river ecosystem, and Cameliino-Robinietum ailanthetosum altissimae as an urban forest type. The Robinietum was considered as a perpetual community.

CSP driven RANSAC Algorith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Homography (호모그래피 정확도 향상을 위한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CSP) 기반의 RANSAC 알고리즘)

  • Jang, Chol-Hee;Lee, Kee-Sung;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318-320
    • /
    • 2012
  • 증강현실 콘텐츠를 2D 이미지기반으로 저작할 때, 작성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카메라 시점과 일치시켜 합성하기 위해 호모그래피를 이용한다. 이때 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질감 없이 합성하기위해 정확한 호모그래피 행렬을 추정해야 한다. 그러나 호모그래피 행렬 추정 시 사용되는 특징점들이 선형을 이루거나, 특정 영역에 군집을 이루는 경우 정확한 호모그래피 행렬을 추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형제약, 거리제약을 적용한 CSP 기반의 RANSAC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호모그래피 행렬 추정 시 CSP를 적용한 RANSAC 알고리즘이 기존의 랜덤샘플링 또는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샘플링을 적용한 RANSAC 알고리즘보다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