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추정량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시군구 실업자 추정에서 분산 추정

  • Lee, Gye-O;Kim, Gy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7-12
    • /
    • 2002
  •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시군구의 실업자를 추정하는데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 추정법과 복합 추정법을 이용한 시군구 실업통계 작성법을 소개하였고 추정량이 편향이므로 잭나이프 방법을 이용한 추정량의 정도를 계산하는 절차를 설명하였으며, 광주광역시의 구별 실업통계작성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Using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소지역 추정방법을 이용한 실업자 수 추정 사례연구)

  • Kwon, Se-Hyug
    • Survey Research
    • /
    • v.10 no.1
    • /
    • pp.141-154
    • /
    • 2009
  • With the current sampling scheme, the sampling variance is getting larger in producing smaller regional statistics than the designed area, The larger sample size can make the variance reduced but the efficiency of sample survey lower. The desired confidence level of sampling survey can be obtained using the current sample scheme with the same sample size and administrative data. In this paper, the number of the unemployed of 5 regions in Daejon are estimated using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and the CV values in each estimation method is calculated and compared for their estimation efficiency as empirical study. Jackknife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the MSE of synthetic estimator and composite estimator more accurately.

  • PDF

Design-Based Small Area Estimation for the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시군구 실업자 총계 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 정연수;이계오;이우일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6 no.1
    • /
    • pp.1-14
    • /
    • 2003
  •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method of small area estimation based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APS) data in producing unemployment statistics for the local self-government areas (LSGAs) within large areas. The small area estimators considered are design-based indirect estimators such as the synthetic and composite estimators. The jackknife mean square error was used as a measure of accuracy of such small area estimators. The total unemployed and jackknife mean square errors of the 10 LSGAs within the large area of ChoongBuk region are derived from the estimation procedure suggested in this study, using EAPS data of December 2000. The reliability of small area estimators was assessed using the relative bias values and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s of these estimators. We find that under the current Korean EAPS system, the composite estimator turns out to be much more stable than other estimators.

Estimations of Forest Growing Stocks in Small-area Level Considering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산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시군구 임목축적량 통계 산출 기법 개발)

  • Kim, Eun-Sook;Kim, Cheol-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1
    • /
    • pp.117-126
    • /
    • 2015
  • Forest statistics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many social needs, nevertheless we have some difficulties for working out an accurate statistics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in small-area level. Thus, new small-area estimation method has to set aside additional data, decrease errors of statistics and consider the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spatial divisions that can set aside additional data for statistics production and satisfy the major premise, which is "forest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visions have to be equal to that of small-area". And we compared synthetic estimation methods based on three different spatial divisions(provinces, neighbor districts and new expanded districts). New expanded districts were divided based on the criteria of climate, soil type and tree species composition that affects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Small-area statistics were assessed in terms of the ability to estimate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and consistency within large-area statistics. As a result, new expanded districts synthetic estimation was assessed to calculate statistics that reflects local forest characteristics better than other two estimation methods. Moreover, this synthetic estimation method produced the statistics that was included within 95% confidence interval of large-area statistics and was the closer to large-area statistics than the neighbor districts synthetic estimation.

A Study on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by Extraction Method of Geomorphological Factors (지형인자 추출방법에 따른 홍수유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 Jeong, Ha-Ok;Park, Sang-Woo;Jang, S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99-703
    • /
    • 2008
  • 현재 홍수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실무에선 각 하천마다 유출량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한 실정으로 Clark 및 Snyder 등의 여러 가지 합성단위도법을 이용하여 홍수유출량을 추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합성단위도법을 이용하여 유출량 추정시 가장 중요시 되는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등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수자원분야에서도 GIS의 기법을 도입하여 대상유역의 수문학적 지형인자들을 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방법에 비하여 손쉽고 정확하며 신뢰성 있는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하천망 생성 및 유역분할 등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 적용시킨 모형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방법들에 의해 추출되어지고 있는 지형인자들을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추출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에 적용시켜 자연하천유역의 홍수유출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지형인자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우-유출 모의시 중요시되는 매개변수 산정을 위해 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국내기술로 개발된 HyGIS 모형과 기존의 지형인자 추출 방법 중에 하나인 Arcview GIS 모형을 적용하여 분할된 소유역 및 격자크기별로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두 모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매개변수 및 홍수유출량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추정된 유출량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측된 유량자료로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한 홍수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At-site Low 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ayesian MCMC: II. Application and Comparative Studies (Bayesian MCMC를 이용한 저수량 점 빈도분석: II. 빈도분석의 적용 및 결과의 평가)

  • Kim, Sang-Ug;Lee, Kil-Seong;Kim, K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25-1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MCMC 방법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방법 방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본류지점인 낙동, 왜관, 고령교, 진동지점에 대한 점 빈도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로써 불확실성을 포함한 빈도곡선을 작성하였다. 통계적 실험을 통한 두 가지 추정방법의 분석을 위하여 먼저 자료의 길이가 100인 8개의 합성 유량자료 셋을 생성하여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자료길이 36인 실측 유량자료의 추정결과와 비교하였다. Bayesian MCMC 방법에 의한 평균값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취우추정방법에 의한 모드에서의 2모수 Weibull 분포의 모수 추정값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하한값과 상한값의 차이는 Bayesian MCMC 방법이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취우추정방법보다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측 유량자료를 이용한 결과,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방법의 경우 자료의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불확실성의 범위가 합성 유량자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되지만, Bayesian MCMC 방법의 경우에는 자료의 길이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저수량 빈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자료를 확보할 수 없는 국내의 상황을 감안할 때, 위와 같은 결론으로부터 Bayesian MCMC 방법이 불확실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2차 근사식을 이용한 최우추정방법에 비해 합리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Design of the 2.9kbps LP-SMBE vocoder (2.9kbps LP-SMBE 음성부호기 개발)

  • 김승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175-17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선형 예측 방법과 다중 대역 여기 방법의 장점을 조합하여 낮은 전송률에서 고품질의 합성음을 제공하는 LP-SMBE 부호기를 제안한다. LP-SMBE 부호기에서는 선형 예측 방법과 단순화된 여기 신호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성도 특성 정보와 여기 신호를 분리 추정한다. 제안한 단순화된 여기 신호 추정 방법은 정규화된 스펙트럼 영역에서 원음 스펙트럼과 합성 스펙트럼을 비교하여 여기 신호를 추정한다. 이 방법은 기존 MBE 방법의 여기 신호 추정 방법보다 연산량이 적고, 여기 신호르 F보다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 PDF

Simulation of continuous snow accumulation data using stochastic method (추계론적 방법을 통한 연속 적설 자료 모의)

  • Park, Jeongha;Kim, Dongkyun;Lee,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0-6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적설 추정 알고리즘과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하여 관측 적설의 특성을 재현하는 연속 적설심 자료 모의 방법을 소개한다. 적설 추정 알고리즘은 강수 유형 판단, Snow Ratio 추정, 그리고 적설 깊이 감소량 추정까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강수 발생시 지상기온과 상대습도를 지표로 활용하여 강수 유형을 판단하고, 강수가 적설로 판별되었을 때 강수량을 신적설심으로 환산하는 Snow Ratio를 추정한다. Snow Ratio는 지상 기온과의 sigmoid 함수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precipitation rate 조건(5 mm/3hr 미만 및 이상)에 따라 두 가지 함수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설 깊이 감소량은 온도 지표 snowmelt 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매개변수는 적설 깊이 및 온도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속초 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 및 검증하여 높은 NSE(보정기간 : 0.8671, 검증기간 : 0.7432)를 달성하였으며, 이 알고리즘을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 모의한 합성 기상 자료(강수량, 지상기온, 습도)에 적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하였다. 모의 자료는 관측 자료의 통계 및 극한값을 매우 정확하게 재현하였으며, 현행 건축구조기준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을 통하여 적설 위험 분석 분야뿐 아니라 기후 전망 자료와의 결합, 미계측 지역에 대한 자료 모의 등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imulation of synthetic snow depth time-series using stochastic weather generation model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한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 Park, Jeongha;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9-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자료와 적설 특성 자료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와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에서는 적설량을 직접 모의하지 않기 때문에 강수량을 적설량으로 변환해야한다. 이를 위해 도입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상청 적설 예보의 적설 유무 판단 기준을 이용하였다. 이 기준에서는 상대습도와 지상기온에 따라 강수의 형태를 비, 눈, 진눈깨비로 구분한다. 둘째로 강수가 적설로 판단되었을 때 강수량을 신적설심으로 환산하는 수상당량비를 지상기온과 회귀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라 3시간 1 mm 이상 5 mm 이하 강수와 3시간 5 mm 이상 강수 사상에 대하여 나누어 sigmoid형 곡선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융설에 의한 적설심 감소량을 지상기온과 복사량의 함수로 표현하였으며, 각 변수의 계수는 입자 군집 최적화 방법을 통하여 보정하였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는 AWE-GE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시험 자료로 강릉(105) 종관기상관측소의 24년 기간(1982-2005) 자료를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생성하였다.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 합성 일기 자료 생성, (2) 강수 발생 시 적설 유무 판단, (3) 적설로 판단 시 수상당량비를 계산하여 신적설심 추정, (4) 기존 적설심에 신적설심을 더하고, 적설심 감소량만큼 감소. 위와 같은 과정으로 200년 길이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한 결과 극한 사상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나타나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Using Uncertainty Analysis of Rainfall-Frequency Curves (강우-빈도 곡선의 불확실성 분석을 이용한 매개변수 추정법의 평가)

  • Han, Jeong-Woo;Kwon, Hyun-Ha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72-1276
    • /
    • 2009
  • 극치강우사상에 의한 설계 홍수량의 갑작스런 증 감은 홍수, 가뭄과 같은 기상학적 요인에 기인한 재난을 발생시킨다. 많은 연구자들은 보다 정확한 확률강우량의 예측과 유출량의 예측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강우-빈도곡선의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관측 자료의 수집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고자 ARMA 모형을 이용하여 합성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발생된 합성강우량을 Bootstrap 방법을 이용하여 대규모의 자료집단으로 발생시킴으로서 신뢰구간에 사용할 자료집단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극치강우사상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Gumbel 분포와 일반극치 분포(GEV 분포)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각 확률분포모형에 대한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 그리고 베이지안 추론방법을 사용하여 각 매개변수의 최후 추정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원 자료를 이용하여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 그리고 베이지안 추론방법을 통해 매개변수를 산정 후 강우-빈도 곡선을 추정하여 합성강우자료의 Bootstrap 방법에 의해 발생된 자료로부터 산정한 강우-빈도 곡선의 신뢰구간과 비교함으로서 불확실성이 낮은 확률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평가하고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