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광학

Search Result 58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T융합 UVC대역 코로나방전 영상검출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 Gyeong-Yeol
    • 기계와재료
    • /
    • v.22 no.2
    • /
    • pp.82-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력설비의 절연성능을 주간에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태양광에서 지구에 도달하지 못하는 UVC 파장대역을 선택적으로 투과한 코로나 영상과 방전 횟수를 보여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선택적인 파장대역을 투과하기 위해 광학계를 개발하였고 광증폭기를 거쳐 나오는 코로나 방전 영상과 가시광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영상합성 및 제어기를 개발하여 휴대하기 편리한 코로나 방전 영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Morphology Control of ZnO Nanowalls and Nanowires by Manipulation of Growth Parameters (성장변수 조작을 통한 ZnO nanowall과 nanowire의 형상제어)

  • Choi, Min-Yeol;Lee, Sam-Dong;Kim, Sang-Woo;Yoon, D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22-422
    • /
    • 2008
  • 본 연구에서, 금 촉매가 4nm 증착된 GaN/$Al_2O_3$ 기판위에 nanowire와 nanowall과 같은 ZnO 나노구조물을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시켰다. 합성된 ZnO 나노구조물의 형상은 성장시간과 성장온도 조작을 통하여 제어하였다. 합성된 ZnO 나노구조물의 협상을 관찰하기 위해,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을 측정하였다. ZnO 나노구조물은 성장 온도가 $1000^{\circ}C$에서 $11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불균일한 막, nanowire, nanowall 형태로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하였으며, 또한 각각의 성장온도에서 성장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와이어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합성된 ZnO 나노구조물의 결정성과 광학특성을 X-ray diffraction pattern과 상온 photoluminescence spectrum을 이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이룰 통하여 합성된 ZnO 나노구조물은 wurzite 결정구조를 가지며, 380nm 영역에서 near band edge emission 에 의한 발광 peak와 500~550nm 영역에서 deep level emission에 의한 발광 peak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Bi2Te3 나노구조의 합성에서 그래핀 층의 효과

  • Park, Sang-Jun;Nam, Jeong-Tae;Lee, Im-Bok;Bae, Dong-Jae;Kim, Geun-Su;Kim, Hwa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85.1-385.1
    • /
    • 2014
  • $Bi_2Te_3$는 전기적, 열적 특성 등이 아주 흥미로운 소재로, 열전소자 응용 및 위상절연체(Topologycal insulator: TI)로써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소재이다. 한편,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열적 특성들이 매우 뛰어나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그래핀은 나노소재의 합성 분야에서도 기판으로 활용되어, 최근에는 그래핀을 기판으로 한 고품질 나노소재의 합성에 관한 연구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을 $SiO_2$에 전사한 기판 및 $SiO_2$ 기판 위에 $Bi_2Te_3$ 나노 구조를 합성하고 다양한 분석을 하였다. 라만 스펙트럼 및 XRD를 통해 $Bi_2Te_3$ 임을 확인하였고, 비정질 $SiO_2$기판과 결정질 그래핀/$SiO_2$기판 그리고 구리호일과 그래핀/구리 호일 위에서 합성된 $Bi_2Te_3$ 나노구조를 SEM 및 TEM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기초적인 전기물성을 평가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inated Poly (maleimide-co-methacrylate)s for Optical Waveguiding Materials (광도파로용 Fluorinated Poly(maleimide-co-methacrylate)s의 합성과 특성)

  • 김원래;한학수;한관수;장웅상;이철주
    • Polymer(Korea)
    • /
    • v.26 no.2
    • /
    • pp.253-25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rmally stable and low optical loss polymers for optical waveguiding materials. The crosslinkable poly (maleimide-co-methacrylate)s were synthesized using a pentafluorophenylmaleimide (an optical loss reducer), two methacrylate derivatives (refractive index controllers), and a glycidylmethacrylate (a crosslinker). These copolymers exhibited good thermal stability and could be thermally crosslinked by heat treatment.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copolymers could be precisely controlled by the variation of comonomer feed ratio, which was in the range of 1.45 ~ 1.49. These copolymers had very low birefringence of $6{ imes}10^{-4}$ ~ $1{ imes}10^{-4}$. These copolymers were crosslinked by contact printing and then developed by wet etching to obtain high quality waveguide pattern.

Oxidation Added Wet Cleaning Process for Synthetic Diamonds (합성 다이아몬드를 위한 산화제가 첨가된 세정공정)

  • Song, Jeongho;Lee, Jiheon;Song, Ohs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597-3601
    • /
    • 2013
  • In this study, a wet cleaning process, P II, using aqua-regia and sulfuric acid mixture with oxidant agent ($K_2S_2O_8$, $P_2O_5$, $KMnO_4$, $H_2O_2$ etc) is proposed to remove the metastable phase of graphite such as graphene and DLC for high quality synthetic diamonds. The process employed the conventional acid cleaning process (P I) as well as P I+P II to remove the graphite related impurities from the 200um-diamond powders synthesized at 7GPa-$1500^{\circ}C$-5minutes. The degree of cleaning after P I and P I+P II has been observed by naked-eye, optical microscopy, micro-Raman spectroscopy, and TGA-DTA. After P I+P II, the color of diamond became more vividly yellow with enhanced saturation with naked eye and optical microscopy analysis. Moreover, the disappearance of diamond-like-carbon (DLC) peak ($1440cm^{-1}$) observed by Raman spectroscopy confirmed the decrease in amount of remaining impurities. TGA-DTA results showed that the graphite impurities first started to dissolve at $770.91^{\circ}C$ after PI process. However, the pyrolysis started at $892.18^{\circ}C$ after P I+P II process because of the dissolution of pure diamonds. This result proved the effective dissolution of the metastable phase of graphit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P II process may enhance the quality of diamonds through effective removal of surface impurities.

Optical Properties of Mn-doped $ZnGa_2O_4$ for FED phosphor (Field Emission Display 응용을 위한 Mn-doped $ZnGa_2O_4$ 형광체의 광학적특성)

  • Sin, Han;Park, 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d
    • /
    • pp.1517-1519
    • /
    • 1999
  • FED용 형광체로 사용되는 $ZnGa_2O_4$를 Glycine Nitrate Process로 합성하여 고상 반응법으로 합성한 $ZnGa_2O_4$ 분말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Glycine Nitrate Process로 제조시 Mn의 doping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조성비에 따른 발광특성을 알아보았다. TGA 측정 결과 GNP법으로 합성된 $ZnGa_2O_4$의 경우약 $300^{\circ}C$이상에서 무게감량이 없으며, XRD 상분석 결과 연소반응 후 이미 상형성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L측정을 결과 GP(Glycine Nitrate Process)로 제조된 $ZnGa_2O_4$ 분말의 발광효율이 고상 반응법으로 제조된 분말보다 우수하였으며, 균일하고 비표면적이 큰 단일상임이 관찰되었고, 더 작은 에너지와 시간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 PDF

나트륨 Flux 혼합첨가에 따른 MgWO4:Tb3+ 형광체의 합성과 발광 특성

  • Gang, Dong-Gyun;Lee, Seong-Jae;Jo, Seo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21-221
    • /
    • 2016
  • 최근에 희토류 이온이 도핑된 텅스텐산(tungstates) 형광체에 대한 연구가 재조명되고 있다. 텅스텐산 형광체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과 높은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X-선 증강 스크린(X-ray intensifying screens), 광고판용 형광 램프,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섬광체(scintillator),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영역에 그 응용성을 넓히고 있다. 본 연구는 모체 결정 MgWO4에 희토류 이온인 Tb3+와 융제(flux)의 몰 비를 변화 시켜 고상반응법을 사용하여 합성을 하였다. 합성한 형광체를 여기 파장 281 nm로 제어하였을 시, 545 nm의 녹색 발광 스펙트럼을 관찰 하였다. Tb3+이온이 0.10 mol일 때, 가장 발광 세기가 컸으며, 몰비가 증가 할수록 발광의 세기는 점차 커지다가 0.12 mol에서 작아졌다. 주 발광 신호 이외에도 489 nm, 586 nm, 621 nm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발광 스펙트럼을 보였다. XRD를 통해 분석한 결정구조는 단사정계임을 알 수 있었으며 주 피크는 $23.9^{\circ}$에서 발생 하였고 이는 (110)면에서 발생한 회절 신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