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산소기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MTBE contents on Exhaust Emissions and Fuel Economy of MPI and GDi Vehicles (MTBE 함량 변화가 MPI 및 GDi 차량의 배출가스 및 연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Song, Hoyoung;Lee, Minho;Kim, Kiho;Lim, Taeyoon;Kim, Hongjip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4
    • /
    • pp.159-169
    • /
    • 2016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TBE contents as oxygenates in gasoline on exhaust emissions and fuel economy in MPI and GDi vehicles have been investigated. Various oxygen contents have been selected such as 0, 1.0, 2.3 and 2.7 wt%. FTP-75 and HWFET modes as fuel economy test methods which are widely used in Republic of Korea and U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exhaust emissions from the test vehicles. Emissions of CO, NMHC and NOx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xygen contents in gasoline fuels, although having slight difference with these contents. In addition, CO2 emission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 respect to oxygen content. But in case of warm-up and FTP-75 and HWFET modes including high speed regimes, CO2 emissions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oxygen contents. Particulate number concentratio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oxygen contents, having the minimum value at the condition of 2.3 wt%. In case of fuel economy through carbon balance method, the highest value has been obtained at 2.3 wt% an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oxygen contents and fuel economy.

Quality property of bioethanol blends & counterplan of infrastructure (바이오에탄올 혼합가솔린 품질특성 및 유통인프라 대응)

  • Jung, Choong-Sub
    • New & Renewable Energy
    • /
    • v.2 no.4 s.8
    • /
    • pp.102-106
    • /
    • 2006
  • 에탄올은 금속, 고무 수지를 부식시키고 열화시키기 때문에 FFV 등 알코올 대응차량이 아닌 경우 에탄올 허용도가 제한되고 있으며, 물과의 상호용해성과 흡습성으로 수분혼입에 의한 상분리가 발생하여 혼합가솔린의 유통에서의 취급에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또한, 에탄올은 가솔린과 혼합되면 공비현상으로 인하여 50% 유출온도가 크게 떨어지고 증기압이 7kPa 정도 상승을 초래하는 점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용휘발유에 에탄올을 혼입하여 사용할 경우, 가솔린기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적정품질을 유지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에탄을 혼입농도에 따른 저장탱크와 주유기 등의 부품에의 영향과 저장시의 상분리 문제를 충분히 규명하여 유통인프라에서의 적절한 대응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유통 인프라 대응을 위해서는 우선 생산단계에서 수분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저유소의 출하지점에서 서브옥탄가솔린과 에탄올을 라인브랜딩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이 가장 타당하며, 수송부문에서는 탱크로리 등의 공급라인인 파이프와 실링 재질 등에 대해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유소에서의 대응은 에탄을 혼합연료와 직접 접촉하는 연료계 등 부품재질을 내부식성의 재질로 변환시켜야 하며, 수분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중탱크 설치, 지하탱크 환기구내의 대기벨브 설치 등이 필요하며, 기타, 품질 및 수분관리 대책 등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4
    • /
    • pp.98-10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시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을 거쳐 2000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0.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란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

Actual Assessment to Introduce Bio-ethanol Blended Fuel in Domestic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 Yim, Eui-Soon;Min, Kyung-Il;Jeon, Cheol-Hwan;Lee, Don-Min;Kim, Jong-Ryeol;Kim, Seung-Soo;Jang, Eun-Jung;Park, Cheon-Kyu;Jung, Chung-Sub;Kim, Jae-Kon;Lim, Young-Kwan;Shin, Seong-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49-653
    • /
    • 2007
  •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빛 온실가스배출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사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n)을 거쳐 2006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O.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탄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