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할로겐 램프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최근의 메탈하라이드램프의 개발

  • 지철근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29-30
    • /
    • 1976
  • 종래의 고압수은램프의 결점인 광색 및 연색성을 개선한 것이며 고압수은방전등의 석영발광관내에 각종 금속할로겐화합물을 봉입한 것이 메탈하라이드램프이다. 근래의 연구결과로 발광효율의 대폭적인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메탈하라이드램프를 크게 나누면 양광램프, 고효율 하라이드램프, 형광 고효율 하라이드램프 등으로 된다. 메탈하라이드램프는 경질유리외관내에 석영발광관을 봉착시킨 고압방전등으로 종래의 수은램프와 외관상 근사하지만 발광물질로서 금속할로겐화합물이 봉입되어 있으므로 램프설계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배료가 이루워저야 한다.

  • PDF

미래성장 LED 융합 기술 - LED 자동차 융합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Baek, Sang-Hun
    • The Optical Journal
    • /
    • s.145
    • /
    • pp.31-35
    • /
    • 2013
  • 최근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명은 LED가 주를 이루고 있다. 자동차 실내조명, 계기판 등에 사용되는 내부 조명의 경우 대부분 LED를 적용한 제품이며, 헤드램프, 후방 램프 및 방향 지시등과 같은 외부 조명의 경우도 LED로 교체되고 있다. 특히 LED 기반 헤드램프의 경우 과거 3500cc 이상 승용차 등에 한정되었으나 현재는 그 이하 레벨의 승용차 및 SUV 차량으로 범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고효율, 긴 수명 및 빠른 응답 속도가 장점인 LED를 차량용 조명 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할로겐램프나 HID 광원의 대체재로서의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할로겐램프의 경우 청색보다 적색 파장의 광량이 많은 관계로 황색에 가까운 백색을 보이며, HID 램프의 경우 할로겐램프보다는 백색 계열에 더 가깝다. 하지만 LED 램프는 파장의 순도가 높아 보다 완벽한 백색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한 기능을 지닌 헤드램프에서 지능형 헤드램프로의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LED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고효율 LED 소자의 개발과 함께 자동차용 LED 조명에 대한 적용은 급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자동차 조명 분야에서는 'LED 헤드램프/후미등 기술+IT 기술(센서+통신)'이 융합된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LED 자동차 융합 기술 동향 및 전망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 PDF

Lighting Design of Tennis Court by Making use of Lumen Micro (Lumen Micro를 이용한 테니스장 조명 설계)

  • Oh, June-Ho;Eo, Ik-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245_2246
    • /
    • 2009
  • 본 논문은 Lumen Micro를 활용한 테니스장 설계로 1,500W 메탈할라이드램프와 1,500W 할로겐렘프를 사용하여 표준규격의 크기를 통한 모델링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조도분포는 1,500W 메탈할라이드램프가 평균조도 측면에서 할로겐램프보다 4배정도 우수하고, 균제도 측면에서는 두 램프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메탈할라이드램프의 높은 효율성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금후 설계시 전력소모 대비 광속 및 조도분포를 확인하여 설계함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isk of Halogen Lamp for Pigsty Heating and Fire Prevention (축사 난방용 할로겐램프의 위험성 및 화재 예방에 관한 연구)

  • Lee, Jae kyung;Seo, Seong Hyeon;Lee, Jae Wo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553-564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the risk of halogen lamp for pigsty heating and its fire prevention. Halogen lamps are used for keeping warm in pen because of their excellent economy and convenience. However, there is a high risk of fire due to poor safety management and exposure to animal movements. In fact, after exploring old pigsty and cattle shed, it was easy to confirm that they were exposed to fire risks. We noted this point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fire by experiment due to combustible contact with halogen lamp and carelessness in u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After installing halogen lamps to the height used in actual pen, the temperature change was observed with infrared camera with straw, sawdust and rice husks on the floor. And assuming abnormal conditions, the experiment was also conducted under conditions the lamp dropped on the floor or combustible material came into contact with the glass tube inside the lamp. If halogen lamps were used in normal condition, there was no risk of fire. However, in abnormal use environments, smoke comes out or even ignited. Even if it is convenient for use or highly utilized, high risk of fire will require setting up fire prevention measures or regulation of use. Through in-depth fire investigation and research, we should promote the risk of fire and make efforts to prevent fire to minimize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진공챔버 내부의 위성표면온도 제어용 비접촉 적외선 발열장치 개발

  • Jo, Hyeok-Jin;Seo, Hui-Jun;Lee, Sang-Hu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49-49
    • /
    • 2010
  • 본 논문은 진공챔버 내부에서 위성 표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적외선 발열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인공위성이 우주궤도에서 받게 되는 복사에너지를 지상의 진공챔버 내에서 모사하기 위한 비접촉 적외선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챔버 내에서의 비접촉식 발열 방법 중, 진공환경에서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발열 시간 및 냉각 시간이 가장 짧으며, 높은 열효율로 태양복사에너지를 가장 근사하게 모사할 수 있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발열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램프에서 방사되는 열에너지가 위성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위성 표면으로부터의 거리와 램프의 개수, 램프의 배열에 따른 에너지 분포 계산식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공급 전압에 따른 램프의 저항특성을 파악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는 150 VDC, 5 A의 직류전원공급기를 이용해 램프의 발열량을 조절하였으며, 발열량에 따른 위성 표면온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램프를 이용한 비접촉식 적외선 발열장치 개발을 통해 진공환경에서의 시험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열에너지 부과방법 수립이 가능하였다.

  • PDF

Float Zone Growth of Superconduction $Bi_2Sr_2CaCu_2O_8$ Fiber with Halogen Lamp (할로겐 램프 열원을 이용한 초전도성 $Bi_2Sr_2CaCu_2O_8$ Fiber의 Float Zone 성장)

  • 김철진;정준기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7 no.2
    • /
    • pp.147-155
    • /
    • 1996
  • Floating Zone Image furnace with halogen lamps as heat source has been made and applied to the growth of high-Tc superconductor Bi2Sr2CaCu2O8. The manufactured crystal growth equipment is composed of holder unit for setting the halogen lamps at the focal point of the elliptical mirror, image furnace with maximum temperature of 1800℃ with 1kW halogen lamps, cooling unit, feeding unit for supplying source material to the molten zone, pulling unit for crystal growth, and the control unit in the range of 2mm/hr -40 mm/hr vertical movement and 15rpm - 12rpm rotation. Bi2Sr2CaCu2O8 fibers have been grown with 300W halogen lamps and characterized with XRD, SEM and EDS. The growth condition was air atmosphere, growth speed 3∼4mm/hr, rotation speed of upper and lower part 20∼25 rpm. The fiber was composed of 20∼25 rpm matrix phase and secondary phases such as (Sr,Ca)CuO2 and (Sr,Ca)2CuO3.

  • PDF

Early Detection of Clear Egg in Incubation Using VIS/NIR Spectroscopy (VIS/NIR 분광분석법을 이용한 미부화란의 조기 검출)

  • Kim, Hak Sung;Kim, Ghi Seok;Kim, Yong Ro;Kang, Seok Won;Noh, Sa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4-104
    • /
    • 2017
  • 정상적인 부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1차 검란은 일반적으로 5일~7일 이후에 시행된다. 미부화란을 이보다 더 빠른 시간 안에 검출할 경우 부화에 소요되는 에너지의 감소 효과 및 미부화란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산란계인 하이라인 브라운 품종의 유정란 29개와 인위적인 미부화란을 만들기 위한 동일 품종의 무정란 11개를 사용하였으며 $38^{\circ}C$, 70% 조건의 항온항습기에서 96시간 동안 부화하였다. 스펙트럼 획득 장치의 광원은 녹색영역을 발광하는 LED램프와 일반 할로겐 광원을 별도로 사용하였으며 스펙트로미터는 VIS/NIR 영역인 520~1,180nm영역과 NIR영역인 900~1,700nm영역의 것을 사용하였다. 부화 시작 전과 부화 시작 후 1일 간격으로 각각 1개의 샘플에 대한 1개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 영역은 LED광원을 이용한 경우는 520~1,1800nm, 할로겐광원을 이용한 경우에는 520~1,180nm와 900~1,700nm이었다. 정상 부화여부는 4일차에서 할란하여 확인하였고, 측정 일자별로 PLS-DA분석법을 이용한 판별 모델을 개발하였다. 4일차에서 유정란 29개 중 11개가 정상 부화하였고, 18개는 미부화하였다. 3일차에서 판별 모델의 정확도는 LED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 할로겐 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70%, 할로겐 광원의 NIR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70%였다. 4일차에서 판별 모델의 정확도는 LED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 할로겐 광원의 VIS/NIR 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90%, 할로겐 광원의 NIR영역 스펙트럼을 이용한 경우는 100%였다. 부화 3일차는 정상 부화할 경우 피가 생성되는 시기이다. 피가 형성된 이후의 부화 여부를 판단하는 광원으로는 할로겐램프보다 LED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lementation of golf simulator using low cost industrial camera (저가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터의 구현)

  • Kong, Kyung-Bae;Kwon, Jung-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5-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카메라가 아닌 일반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존의 초고속 카메라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 골프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골프공 인식 카메라의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고, 사용하는 조명의 특성을 비교하여 카메라특성에 맞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 조명장치를 설계 제작하였다.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의 속도, 방향, 높이 및 스핀을 계산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였다. 또한 게임 프로그램적인 요소를 반영하여 실제 데모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ology using infrared thermography and near infrared heating for detecting inside-defects of concrete structures (근적외선과 열화상 기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내부 공극 검출)

  • Sim, Jun-Gi;Zi, Goang-Seup;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21-1024
    • /
    • 2008
  • Near infrared heat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heating techniques for thermography -NDT is tried in this paper. A concrete specimen containing a defect was heated by the near infrared ray and the thermography-NDT technique was applied. Using a dimensinless temperature, the defects were detected. It was found that the near infrared ray could efficiently heat up the concrete specimen compared to others conventional methods like lamps, heat flow, e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