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중.일

검색결과 2,924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 수도권 서비스업과 한·중·일 20개 도시지역 내 10개 산업부문과의 산업 간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n the Inter-Industry Network between the Service Industry in the Korean Capital Region and 10 Industrial Sectors in 20 City-Regions of China-Japan-Korea)

  • 한지혜;김갑성;정해영
    • 지역연구
    • /
    • 제32권4호
    • /
    • pp.51-73
    • /
    • 2016
  • 본 연구는 한 중 일 간 경제교류의 증대에 따른 한국 서비스업의 중국 및 일본 산업과의 연계 심화를 고려하여 한국 서비스업과 한 중 일 전 산업 간의 네트워크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 서비스업의 산업 간 네트워크가 한 중 일의 공간적 범위에서 설명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향후 한국 도시지역의 산업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서비스업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한국 수도권 서비스업이 지난 1995년~2010년 동안 한 중 일 20개 도시지역의 10개 산업부문과 어떠한 연관관계를 가져왔는지를 단위구조를 활용한 생산연계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 한 중 일 내에 형성되어 있는 한국 수도권 서비스업의 산업 간 네트워크는 아직 많은 부분을 국내 산업, 특히 제조업에 의존하고 있었다. 동시에 중국 및 일본 도시지역 산업들과의 연계 정도가 강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한 중 일 간에 산업 연계가 증가하였다고는 하나, 한국 수도권 서비스업과 관련한 산업 연계는 한 중 일 내에 크게 발달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동향 - "제2차 한.중.일 물류장관회의" 공동성명 전문(동북아시아 물류협력을 위한 오카야마 선언)

  • 한국파렛트컨테이너협회
    • 파렛트 뉴스
    • /
    • 통권50호
    • /
    • pp.17-20
    • /
    • 2008
  • 제2차한 중 일 물류장관회의가 지난 5월17일 일본오카야마에서 개최되어 공동성명(오카야마선언)이 채택되었다. "제2차 한 중 일 물류장관회의"공동 성명 전문과 부속서안 중 아시아 파렛트 표준화와 관련 APSF(Asia Pallet System Federation)의 활동지원 명시 등을 소개한다.

  • PDF

한.중.일 공통표준 제정의 의미와 과제 -5월 29일 '한.중.일 표준협력에 관한 공동성명'을 계기로 실질적 활동에 박차

  • 정병기
    • 기술표준
    • /
    • 통권101호
    • /
    • pp.4-7
    • /
    • 2010
  • 한 중 일 표준협력에 관한 공동성명을 통해 나라는 국제표준의 공동개발과 제안을 위해 주요 관심분야에 대한 공통표준화를 연구하고, 정보와 전문가 교류, 동북아 지역의 국제표준화 및 공통표준화 촉진을 위해 동북아 표준협력포럼을 활성화하며, 무역 촉진을 위해 표준과 적합성 평가의 기여도 향상 방안을 공동으로 연구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러한 동북아 표준협력포럼에 거는 기대는 매우 크다. 공동선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공통표준 제정을 토대로 지역적 표준협력을 넘어 세계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한·중·일 현대도자기디자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of Contemporary Ceramics in Korea, China and Japan)

  • 영현월;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3-434
    • /
    • 2017
  • 한 중 일(韓中日)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다. 오랜기간 삼국 사이에 문화는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그 중 도자기는 한 중 일 교류의 중요한 역사이다. 자기 제조는 중국에서 고대 조선으로 전해져 들어간 후에 또 조선 및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져 들어갔다. 그리고 각 나라마다 자기예술은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전하였다. 한국, 중국, 일본 도자기의 역사, 형태, 재질, 도안 등 비교 연구를 통하며 현대에 이르러 뚜렸한 특징과 차이점이 아직도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점차 디자인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한.중 인쇄문화 교류 새 장 열다

  • 윤재호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8호
    • /
    • pp.58-61
    • /
    • 2004
  • 대한인쇄문화협회(회장 민재기)는 ‘한.중 인쇄문화교류’를 위해 전현직 회장을 포함한 15명으로 대표단을 구성, 지난 9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1999년 인협과 중국인쇄기술 협회가 맺은 한.중 인쇄문화교류의 일환이었으며, 산동성에 위치한 위해 시 인쇄단지 시찰을 위한 목적도 겸해 진행됐다.

  • PDF

한-중-일 수출입의 대체·보완성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Substitutability or Complementary Nature of Export and Import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이현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215-237
    • /
    • 2011
  • 한-중-일 3국간 무역형태는 각국의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여 무역수지가 고착화되고 또한 상호간 수출입 품목의 우선순위도 조정되어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역환경을 감안하여 새로운 형태의 무역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는 것이 중요한 경제현안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공적분추정과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하여 한국, 중국, 및 일본간 수출입의 대체 보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한-중-일 3국간 수출입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보완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호간의 수출증대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중-일 3국 모두 대체관계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호간의 수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무역정책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의존하는 수출입 정책을 채택해도 무리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이나 일본과의 무역에서 대체관계에 따른 수출 감소에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즉, 한-중-일 3국간 무역에서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산업구조를 바탕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율정책이나 무역정책을 중심으로 운용해도 무리가 없겠지만 중장기적으로 무역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구조의 개편이나 한-중-일 3국간 FTA 체결 등은 대체관계를 고려해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 체결 FTA 활용성과와 학습지향성이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formance and Learning Orientation for the Existing FTA of SMEs in Gwangju and Jeonnam on the Using Intention of a Trilateral FTA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송윤아;강지원;이재은
    • 무역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1-62
    • /
    • 2016
  • 본 연구는 메가 FTA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의 통상환경 하에서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 체결 FTA 활용성과와 FTA 학습지향성이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 체결 FTA 활용성과는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TA 학습지향성은 한·중·일 FTA 활용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체결예정인 한·중·일 FTA의 활용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실증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한·중·일 FTA 관련 정책 수립 시 의미 있고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