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 클래스 분류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다중 클래스 분류를 위한 강인한 SVM 설계 방법 - 생체 인식 데이터에의 적용 - (Robust SVM Design for Multi-Class Classification - Application to Biometric data -)

  • 조민국;박혜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760-762
    • /
    • 2005
  • Support vector machine(SVM)은 졸은 일반화 능력을 가진 학습시스템으로, 최근 다양한 패턴 인식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SVM은 기본적으로 이진 분류기이므로 두 개 이상의 클래스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다중 클래스 분류가 가능한 형태로의 설계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각 클래스별로 독립적인 SVM들을 만들어 결과를 병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클래스의 수는 않고 한 클래스 내의 데이터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SVM의 일반화 성능을 저하시키고 노이즈에 민감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클래스내의 데이터간의 유사도 측정을 위한 통계적 정보를 안정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두 데이터의 쌍을 입력으로 받는 새로운 SVM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을 실제 생체인식 데이터에 적용한 실험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분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Q 분류 성능 향상을 위한 클래스 일치 여부 결합 학습 모델 (Jointly learning class coincidence classification for FAQ classification)

  • 양동일;함진아;이강욱;이지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17
    • /
    • 2019
  •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 질의 응답 시스템은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정의하고, 사용자 질의에 대해 정의된 답변 중 가장 알맞는 답변을 추론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정의된 대표 질문 및 대응하는 답변을 클래스(Class)라고 했을 때, FAQ 질의 응답 시스템은 분류(Classification)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FAQ 분류는 동일 클래스 내 동의 문장(Paraphrase)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을 통해 분류 문제를 학습하였으나, 이는 비슷한 단어 구성을 가지면서 한 두 개의 단어에 의해 의미가 다른 문장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며, 특히 서로 다른 클래스에 속한 학습 데이터 간에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문장이 존재할 때 클래스 분류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로 다른 클래스 내의 학습 데이터 문장들이 상이한 클래스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클래스 일치 여부(Class coincidence classification) 문제를 결합 학습(Jointly learning)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동일 클래스 내 학습 문장의 무작위 쌍(Pair)을 생성 및 학습하여 해당 쌍이 같은 클래스에 속한다는 것을 학습하게 하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클래스 간 학습 문장의 무작위 쌍을 생성 및 학습하여 해당 쌍은 상이한 클래스임을 구분해 내는 능력을 함께 학습하도록 유도하였다. 실험을 위해서는 최근 발표되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BERT 의 텍스트 분류 모델을 이용했으며,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모델과의 성능 비교를 위해 한국어 FAQ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분류 문제만 단독으로 학습한 BERT 기본 모델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클래스 일치 여부 결합 학습 모델이 유사한 문장들 간의 차이를 구분하며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클래스 정보에 기반한 유전자 선택 (Gene Selection based on Class Information)

  • 이현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469-472
    • /
    • 2004
  • 여러 분류 문제에 다층퍼셉트론이 적용되어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암 분류를 위한 분류기로 사용되는데 있어서 문제점은 샘플데이터 수에 비해 입력으로 사용되는 유전자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좋은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또한 많은 입력노드로 인해 가중치 파라메터들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학습시에 계산량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많은 유전자중에서 암분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유전자 선택을 위하여 클래스의 정보를 나타내는 척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분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전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렇게 선택된 유전자를 입력으로 하여 분류기를 구성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

학습을 이용한 영상 분류 방법 (Imag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Learning)

  • 신성윤;이현창;신광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85-28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변환 학습을 기반으로 한 다중 클래스 이미지 장면 분류 방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ImageNet 대형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서 사전 훈련 된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하여 다중 클래스의 자연 장면 이미지를 분류하였다. 실험에서 최적화 된 ResNet 모델은 Kaggle의 Intel Image Classification 데이터 세트에 분류되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다중클래스 한국어 감성분석에서 클래스 불균형과 손실 스파이크 문제 해결을 위한 기법 (Methods For Resolving Challenges In Multi-class Korean Sentiment Analysis)

  • 박제윤;양기수;박예원;이문기;이상원;임수연;조재훈;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07-511
    • /
    • 2020
  • 오픈 도메인 대화에서 텍스트에 나타난 태도나 성향과 같은 화자의 주관적인 감정정보를 분석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서 풍부한 응답을 이끌어 내고 동시에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감성분석에서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긍정과 부정 두개의 클래스 분류만을 다루고 있고 이는 현실 화자의 감정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최근에 오픈한 다중클래스로된 한국어 대화 감성분석 데이터셋은 중립 클래스가 전체 데이터셋의 절반을 차지하고 일부 클래스는 사용하기에 매우 적은, 다시 말해 클래스 간의 데이터 불균형 문제가 있어 다루기 굉장히 까다롭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일곱개의 클래스가 존재하는 한국어 대화에서 세션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하는 기법들에 대해 논의한다. 우리는 극심한 클래스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76.56 micro F1을 기록하였다.

  • PDF

허용적 러프집합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분류기준 (The Software Classification Criteria based on the Tolerant Rough Set)

  • 김상용;최완규;김영식;이성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307-310
    • /
    • 2000
  • 소프트웨어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소프트웨어 품질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동치관계의 요구조건인 추이적(transitive) 특성이 항상 만족되는 것은 아니다. 순환수(cyclomatic number)가 거의 비슷한 프로그램에서, 하나는 "구조적인" 프로그램 범주에 속하고 또 다른 하나는 비구조적인 프로그램 범주에 속한다고 명확히 분류 할 수 있는가하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치관계보다는 허용적 관계를 만족하는 허용적 러프집합에 근거한 소프트웨어 분류 기준 제시하고자 한다. 분류기준을 생성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 집합을 수집하고, 집합 내의 각 원소에 관한 허용적 클래스들을 생성한 후, 각 허용적 클래스들의 중심값을 클러스터링하여 분류기준을 생성한다. 생성된 분류기준을 또 다른 실험 집합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생성된 분류기준이 타당함을 보여준다.

  • PDF

프로그램 변환 및 클래스추출기법의 설계 (Program Transformation and Design of Class Extraction Technique)

  • 진영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63-71
    • /
    • 1998
  • 원시 코드로부터 이 언어들을 충분히 다시 표현할 수 있는 공통의 언어 즉 메타 언어를 설계하여 역공학 시스템의 내부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이것을 입력으로 하여 변수와함수 사이의 관계에 기반한 유사도 공식을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클래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래스의 가시성을 자동적으로 분류한다.

  • PDF

ANMM(Average Neighborhood Margin Maximization)에 기반한 피부색과 비피부색 분리력 향상 기법 (Skin and non-skin color separability enhancement based on Average Neighborhood Margin Maximization)

  • 반유석;이상윤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Average Neighborhood Margin Maximization(ANMM)에 기반하여 피부색과 비피부색 영역을 분리하는 이진 분류의 통계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Fisher Linear Discriminant(FLD)와 Average Neighborhood Margin Maximization(ANMM)의 피부색과 비피부색 클래스 내 분산 대비 클래스 간 분산의 비교를 통해 두 클래스 간 분리력 변화를 확인한다. 교사(Supervised) 이진 분류문제에 대하여 Small sample size(SSS) 문제, 가우시안 분포 가정의 문제, 최대 추출 가능 특징 수 제한 문제 등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역적 특성 학습 방법의 도입을 통해 피부색과 비피부색 간 분리력을 향상시킨다.

  • PDF

부분 최소제곱법 기반한 차원 축소 특징을 이용한 얼굴 인식 (Face Recognition using Dimension Reduction Features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s)

  • 이창범;김도향;박혁로;백장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45-748
    • /
    • 2004
  • 얼굴 이미지의 대부분은 표본의 수보다 특징 변수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한 특징 추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특징 벡터의 차원을 축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차원 축소 방법인 주성분 분석은 클래스의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최대 변이를 가지는 성분을 추출하기 때문에, 클래스의 구분에 필요한 특징을 필수적으로 추출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부분 최소제곱법은 클래스 변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성분을 추출한다. 그러므로, 분류를 하는데 있어서는 주성분 분석에 의해 추출된 성분보다는 부분 최소제곱법에 의해 추출된 성분이 보다 더 예측적이다. 맨체스터와 ORL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분류와 차원 축소 측면에서 주성분 분석 방법보다는 부분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방법이 그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어휘 정보와 구문 패턴에 기반한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 (One-Class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Lexical Information and Syntactic Patterns)

  • 이현구;최맹식;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6호
    • /
    • pp.817-822
    • /
    • 2015
  • 관계 추출은 질의응답 및 지식확장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주요 정보추출 기술이다. 정보추출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관계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지도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한 인간의 노력을 줄이기 위해 원거리 감독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원거리 감독법은 분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부정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원거리 감독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부정 데이터 없이 학습이 가능한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입력 데이터로부터 긍정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해서 제안 모델은 벡터 공간 상에서 어휘 정보와 구문 패턴에 기반한 유사도 척도를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가 내부 범주에 속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한다. 실험에서 제안 모델은 대표적인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인 One-class SVM보다 높은 성능(0.6509 F1-점수, 0.6833 정밀도)을 보였다.